profile_image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1월호
2022. 1. 12.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1월호
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?


▍KPI OLIVE LETTER는 연구자 및 학술 관심자를 위해 북한 ∙ 통일 분야 학술논문, 한반도 관련 주요 언론기사, 학술회의 영상, 단행본 신간 등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료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월간 뉴스레터 서비스입니다.

▫️ [통일연구원 현안분석] 북한의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4차 전원회의 분석 /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(2022.1.1)
▫️ [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-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평화나눔센터] 2022 북 신년사 분석과 정세 전망 (2022.1.3)
▫️ [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슈브리프 318호]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8기 4차 전원회의 경제부문 결과 분석 / 임수호 (2022.1.4)
▫️ [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제83차 통일학 포럼] 2022년 북한 신년사(전원회의) 분석 / 서보혁, 임수호, 홍헉훈, 장철운, 홍제환, 김병로 (2022.1.4)
▫️ 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IFES Brief]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4차 전원회의의 정치적 의미 / 김상범 (2022.1.5)
▫️ 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제69차 통일전략포럼] 2021년 북한 정세 평가 및 2022년 전망 / 김갑식, 김동엽, 임을출, 전봉근, 양무진 (2022.1.7)

[북한연구학회보 25권 2호] 2021.12
▫️ 북한 지방경제 시기별 변화 연구:『경제연구』를 중심으로 / 윤세라
▫️ 북한 주민-전력 연결망의 재구조화와 기술·사회 변화 / 박민주
▫️ 김정은 시대 산림복구의 성과와 양상 분석 / 오삼언, 김은희
▫️ 정치적 풍경으로서 북한의 명산 연구 / 김서린, 성종상
▫️ 평화가 삶이 되는 ‘회복적 통일교육’ 교과목 개발: 비폭력대화와 북한 영화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/ 안지영

[현대북한연구 24권 3호] 2021.12
▫️ 북한의 국제보호지역 정책 동향 연구 / 김명신
▫️ 북한의 ‘남북 공동올림픽 개최’ 논의 과정 연구: 1988년·2032년 올림픽 사례를 중심으로 / 허정필
▫️ 북한 전통문화의 문화유산화 과정과 주민 일상의 변화: 비물질문화유산 지정과 주민 생활문화의 변화를 중심으로 / 권혁희
▫️ 북한이탈주민의 송금 분석: 행위자-연결망 이론(ANT)을 중심으로 / 김경렬
▫️ 독일통일 후 동독 출신자의 지각된 차별감과 통일에 대한 태도 / 양계민, 이우영
▫️ 북한 ‘달러라이제이션’의 정치학: 5차 화폐개혁 이후 국가-사회 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/ 윤철기

[북한학연구 17권 2호] 2021.12
▫️ 김정은 정권 10년의 ‘혁명활동’과 대남혁명노선 변화의 의미 / 진희관
▫️ 북한의 ‘남북 공동올림픽 개최’ 논의 과정 연구: 1988년·2032년 올림픽 사례를 중심으로 / 허정필
▫️ 딥러닝 기법을 활용한 북한의 대내외 인식 변화 분석 - 2016부터 2019년까지의 로동신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/ 이형종, 이규민, 송상헌, 유석훈
▫️ 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김정은 시기 경제정책 연구 -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/ 이가영
▫️ 김정은 시대 북한 무역의 비교우위에 관한 경험적 연구: RCA 지수 변화를 중심으로 / 탁용달
▫️ 개성공단 전면중단 전후 개성공단 투자기업의 경영성과 비교 분석 / 유상원
▫️ 북한의 개발금융 도입 필요성과 과제 / 최재헌
▫️ 김정은 시기 무용연구: 전통의 복원과 국가문화유산으로 '조선민족무용기본' 체제 정립 / 김지니

[통일인문학 88호] 2021.12
▫️ 남북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코리언의 문학적 상상력과 치유의 길 / 박재인
▫️ 통일 이후 과거청산을 위한 ‘듣기의 윤리’ / 김종곤
▫️ 북한이탈여성의 학습생애사를 통해 본 학습과 삶의 관계 / 송현진
▫️ 분단인의 이론적 정립에 관한 연구: 비판이론의 전체주의 이론의 적용을 통하여 / 안승대
▫️ 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사회의 북한 관련 ‘불안’ 감정 연구 / 남경우
▫️ 2기 4·3특별법 체제의 쟁점과 난점 / 고성만
▫️ 북한의 '정치적 풍경화' 연구: 기억과 망각의 정치적 장치 / 박상희
▫️ 김정은 시대 북한의 초급중학교 음악 교과서 내용 고찰 / 김성희
▫️ 여성주의 시각으로부터 본 연변부련회 활동 및 한계: 연변주부련회 자료를 중심으로 / 방미화
▫️ 현기영과 메도루마 슌(目取真俊)의 소설에 나타난 무교(巫敎)의 증언적 기능과 의미: 현기영의 「목마른 신들」과 메도루마 슌의 「혼 불어넣기(魂込め(まぶいぐみ)」를 중심으로 / 이명원
▫️ 1950년대 후반 여성 작가 장편소설에 나타난 서울 장소성 / 조미숙
▫️ 개인이 바랄만한 개인주의: 동아시아 문화에서 개인주의 발견의 정당성 / 모기룡

[통일정책연구 30권 2호] 2021.12
▫️ 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북한의 전국 혁명론 변화 / 김태경, 이정철
▫️ 민간 대북전단의 목적과 효과 연구 / 장도경, 김영석, 황정남, 주은우
▫️ 법령과 문헌을 통해 본 북한 명승지의 유형과 특성 / 김서린, 성종상

[국가안보와 전략 21권 4호] 2021.12
▫️ 북한의 ‘코로나(COVID)-19’ 대응실태 분석: 로동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/ 이승열
▫️ 김정일 시대 경제성장 전략의 평가와 함의 / 조동호

[한국동북아논총 26권 4호] 2021.12
▫️ 유럽연합 지역협력정책과 평화구축: INTERREG 사례를 통해 본 신한반도체제에의 함의 / 허지영
▫️ 비대면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: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/ 조은희
▫️ 북한 비핵화 협상의 실패: 구성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/ 김동수

[아세아연구 64권 4호] 2021.12
▫️ 북한의 대강대국 외교 전략의 기원과 전개 과정: 최근 대미 협상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/ 장광열
▫️ 김정은 시대 북한 정치 변화의 함의: ‘당-국가체제’와 ‘정치 제도화’ 개념을 중심으로 / 안경모

[한국과 국제사회 5권 6호] 2021.12
▫️ 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 분석: 6·25전쟁∼1970년대를 중심으로 / 김강녕
▫️ 북한 접경지역 경제사회 현황과 남북 접경지역 교류협력 가능성 모색 / 허정필
▫️ 북한의 전술핵무기 개발과 함의 / 박재완, 심윤섭

[한국과 국제정치 37권 4호] 2021.12
▫️ 2018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구조적 분석: ‘제재의 정치’와 북한의 미래 / 안경모
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 [국제관계연구 26권 2호] Conditions for Achieving Strategic Integration between the U.S. and South Korea / 정성윤
▫️ [사회과학연구 47권 3호] 북한출신주민의 이주배경과 정체성 연구에 관한 분석 / 손명아
▫️ [경제분석 27권 4호] 김정은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 변화 - 북한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/ 김민정, 문성민
▫️ [동북아경제연구 33권 3호] 해외투자이론을 통한 개성공단 생산성 분석 / 조성택
▫️ [국제경제연구 27권 4호] 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기간 중 북한과 국제 쌀 가격에 대한 일물일가 원칙 검정 / 정희원, 박철범
▫️ [국제.지역연구 30권 4호] 국제적 차원에서의 북한의 과학기술체제 구조에 대한 연구: 과학계량학 기법을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/ 윤정원 
▫️ [한민족문화연구 76권 76호] 탈북민 문학의 현황과 전망 -『망명 북한 작가 PEN 문학』을 중심으로 / 김효석
▫️ [한민족문화연구 76권 76호] 북한 잡지에 나타난 한반도 평화 체제에 대한 기대 양상 고찰 –『조선문학』과 『천리마』 2018~19년 1~12호를 중심으로 / 오태호
▫️ [일본공간 30호] 아베정치와 북일 관계: 납치문제의 정치화, 북핵위협의 안보화 / 윤대엽
▫️ [일본공간 30호] 일본의 주변국 네트워크 외교: 미중 전략경쟁 속 대만과 북한문제에 대한 딜레마 / 오승희 
▫️ [인문연구 97호] 남북한 영화 속 외국인 영웅상 비교: 인천상륙작전 의 맥아더와 영원한 전우 의 노비첸코 / 강응천
▫️ [문화와 사회 29권 3호] 조선왕조실록 번역사업과 남북한 체제경쟁: 1970년대와 1980년대를 중심으로 / 권오헌
▫️ [윤리연구 1권 135호] 통일의식에서 현대적 성차의 함의 / 변종헌
▫️ [윤리연구 1권 135호] 북한 사회주의도덕 개념 기초 연구 / 박보람
▫️ [한국민족운동사연구 109호] ‘남북대화’ 원형으로서의 1970년대 남북적십자회담 / 강혜경
▫️ [한국보훈논총 20권 4호] DMZ일원 평화적 활용방안에 대한 비판적 연구 / 이세영
▫️ [한국보훈논총 20권 4호] 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의 현황 연구 / 이계형
▫️ [한국군사 10권] 북한의 '적아(敵我) 역량관계(COF)' 분석과 새로운 방위전략 / 김태현
▫️ [한국군사 10권] 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한 군사 영역별 대응 요소에 관한 연구 / 이장규
▫️ [한일군사문화연구 33권] 북한의 마약류 생산 및 밀매의 발단 - 1945~1959년 대남혁명 활동을 중심으로 / 이관형
▫️ [육군군사연구 152호] 동서독 회담을 통해 본 남북한 군사회담 추진방안 / 이미숙, 김태산
▫️ [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권 5호] 남북연합과 남북 형사사법 협력에 대한 연구 / 남완우
▫️ [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권 5호] 북한의 사이버테러 조직의 역량 평가 고찰 / 양철호, 김윤영
▫️ [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권 5호] 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로의 안전한 정착을 위한 선행과제 / 조성희, 김정귀
▫️ [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47권 2호] 부대 유형과 북한지역 취사여건을 고려한 전시 전투식량 소요 산정논리 연구 / 정성규, 이채화, 이태경, 김용필
▫️ [아시아교육연구 22권 4호] 북한 고등교육 학계에서 인식한 ‘세계 교육발전 추세’ 분석 / 김유연, 유성상
▫️ [상담학연구 22권 6호] 북한배경 청소년들의 사회․문화 자본 관련 국내 진로상담연구 동향 및 사회정의옹호상담 적용방안 / 신윤정, 지은, 윤효정, 이희재, 강유진, 전주람
▫️ [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9권 4호] 북한이탈주민의 PTSD와 우울의 동반이환과 자살시도에 관한 연구 / 김준범, 전진호
▫️ [사회법연구 45호] 북한의 ICT 산업 인력 관련 법・정책 / Dean J. Ouellette
▫️ [저스티스 187호] 북한 난민신청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제3국의 해석: 난민과 국민 지위 간 딜레마와 그 해결방안 / 김효권
▫️ [한국테러학회보 14권 3호] 북한이탈주민의 법태도가 준법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: 법태도의 인지적·정서적·행동적 영역을 중심으로 / 홍성주
▫️ [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33권 4호] 삼각협력을 활용한 대(對) 북한 산림부문 협력 전략 / 최은호, 김은희
▫️ [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16권 2호] 기후변화대응 관점에서 북한 전력인프라 협력방안 연구 / 신지윤, 이정희
▫️ [MICE관광연구 21권 4호] 남북교류협력을 위한 MICE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: 수정된 중요도-성과(IPA) 분석 / 김태칠, 김미견
▫️ [한국지리정보학회지 24권 4호] RapidEye 위성영상과 구글 어스를 활용한 북한 DMZ의 산림현황 및 산림황폐지 변화 분석 / 권수경, 김은희, 임중빈, 양아람
▫️ [신아세아 28권 4호] 북핵 군비통제 카드의 위험성 추적: 북핵 거부와 군비통제 담론 비교 / 반길주
▫️ [한국범죄심리연구 17권 4호] 북한이탈여성의 남한정착에 나타난 심리적응과정분석 / 남지연
▫️ [벤처창업연구 16권 6호] 북한이탈주민의 가치체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/ 노규덕, 이정희, 이일한
▫️ [한국도로학회논문집 23권 6호] 북한 민자고속도로 건설방안의 실증적 연구: 민간투자방식을 위주로 / 정대형, 이정희
▫️ [장신논단 53권 5호] 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 - 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/ 조수진 

[통일연구원] 2021 북한도시포럼 '코로나 시대 북한도시: 비상방역레짐과 분단의 지리학' (21.12.1)
▫️ [오프닝세션] 코로나 시대, 북한도시에 던지는 질문들 / 홍민, 임동근, 정창현
▫️ [세션1] 코로나 시대 북한 도시와 일상 / 안진희, 강채연, 김인태, 정은이
▫️ [세션2] 코로나와 북한 경제지리 / 홍다솜, 정은이, 최지영, 신혜란
▫️ [세션3] 코로나와 분단의 지리학 / 김준수
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 2021 Global Intelligence Summit (21.12.15-16)
▫️ 
[스페셜세션] 정보와 지역평화 / 안드레이 체르네츠키, 아누꾼 첨몽콘, 청 샤오허, 앤드류 김,  캐슬린 스티븐스, 그레고리 트레버턴
▫️ 한반도 평화프로세스 평가와 과제 / 김용현, 배종윤, 안병민, 양문수, 이우영, 이희옥, 전재성, 천자현, 최대석 
▫️ 2022년의 한반도와 동북아 / 공평원, 이용중, 이혜정, 이호철, 차창훈, 최아진, 홍기준, 황재호

[세종연구소] 세종영상브리프 (21.12.19-20)
▫️ 한반도 종전선언에 대한 북한의 입장 평가 / 정성장
▫️ 김정은 정권의 대남정책 결정 요인 지속과 변화 / 정성장

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-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] 한·미 평화통일포럼 (21.12.10)
▫️ '한반도 정세 변화와 평화체제 구축' / 이정철, 권영경, 조지프 디트라니, 김연호, 제니 타운, 프랭크 자누치, 양무진, 최용환 

[그 외 학술회의/동영상]
▫️ [통일연구원] 30주년 기념 국제 학술회의 '한반도 30년, 통일연구원 30년  회고와 전망' / 안킷 판다, 김상기, 전봉근, 부형욱, 수 미 테리, 양무진, 이무철, 이기동, 박종철, 데이비드 강, 한센동, 박영규, 서재진, 전성훈, 김연철 (21.12.9)
▫️ [통일연구원] 2021 제11회 샤이오포럼 '북한의 사회불평등과 인권 증진 방안' / 김성희, 이요한, 박상민, 엄주현, 김수암, 이주영, 박환보, 김정원, 황희건, 이금순 (21.12.14)
▫️ [국회평화외교포럼-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-한반도종전평화캠페인] 평화로 가는 길, 한반도 종전선언에 관한 대토론회 / 고유환, 이용선, 김준형, 조영미, 김준표, 임갑수 (21.12.14)
▫️ [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] 제11차 평화학 포럼 'Food and Nutrition Support for Women and Children in DPRK as a Step to Peace and Stability' / 윤선희 (2021.12.16)
▫️ [통일연구원] KINU 전문가 세미나 '동아시아 자본주의 다양성과 북한 (저)발전의 정치경제' / 임혜란, 이왕휘, 이승주, 지주형, 임혜란, 최은경, 이민자, 서문기, 이재영, 김정 (21.12.23)

[통일연구원]
▫️ [2021 북한도시포럼] 코로나 시대 북한도시: 비상방역레짐과 분단의 지리학 / 홍민, 정은이, 최지영, 황진태, 권주현, 강채연, 김왕배, 김인태, 김준수, 신혜란, 홍다솜, 안진희, 임동근, 정창현, 지상현 (2021.12.1)
▫️ [개원 3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] 한반도 30년, 통일연구원 30년: 회고와 전망 / 안킷 판다, 김상기, 전봉근, 부형욱, 수 미 테리, 양무진, 이무철, 이기동, 박종철, 데이비드 강, 한센동, 박영규, 서재진, 전성훈, 김연철 (2021.12.9)
▫️ [제11회 샤이오포럼] 북한의 사회불평등과 인권 증진 방안 / 이우태, 김성희, 이요한, 박상민, 엄주현, 김수암, 조정아, 이주영, 박환보, 김정원, 황희건, 이금순 (2021.12.14)
▫️ [2021 KINU-RISS 한러 전략대화] 동북아 정세와 한러 및 북러관계 / Konstantin Kokarev, Yulia Kryachkina, Roman Lobov, Anna Dudar, 엄구호, 한동호, 이기태, 민태은, 신종호, 정성윤, 최지영, 용혜민 (2021.12.16) 
▫️ [현안분석] ‘김정은주의’인가? ‘김정은사상’인가? / 김갑식, 장철운 (2021.12.16) 
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 [주요국제문제분석] 최근 북한의 핵 협상 프레임 전환 움직임 / 황일도 (2021.12.10)
▫️ [주요국제문제분석] 신기술 무기의 안보적 효과와 주요 쟁점 / 송태은 (2021.12.13)
▫️ [국제정세전망] 2022 국제정세전망 (2021.12.21)
▫️ [IFANS FOCUS] Recent Changes in North Korea’s Framework for Nuclear Talks / 황일도 (2021.12.28)
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 [전략보고 153호] 김정은 시대 북한의 남북대화 전략과 정책적 고려사항 / 김일기, 김호홍 (2021.12.22)
▫️ [전략보고 154호] 북한의「개정 당규약」과 대남혁명전략 변화 전망 / 김일기, 채재병 (2021.12.27)
▫️ [전략보고 155호] 신뢰형성 조치로서의 종전선언 / 이기동, 최용환 (2021.12.30)

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]
▫️ [2021 평화포럼] 팬데믹 이후의 동아시아 세계 질서 수립 / Yang Philip, Lin Hsuan-Hsiang, Lenz Hartmut, Chung Jaewook, Sasaki Satoshi, Kim Jung, Wang Shun-Wen, Lee Byong-Chul, Hanssen Ulv, Chen Wan-Jiun (2021.12.10)
▫️ [한·미 평화통일포럼] 한반도 정세 변화와 평화체제 구축 / 이정철, 권영경, 조지프 디트라니, 김연호, 제니 타운, 프랭크 자누치, 양무진, 최용환 (2021.12.10)
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 [한국개발연구원 북한경제리뷰 2021년 12월호] 특집기사: 새로운 연구자, 새로운 시각, 새로운 이슈 (2021.12.30)

▫️ 남북 민생협력의 효율적 추진방안: 추진체계, 사업기획 및 성과관리 / 김석진, 홍제환
▫️ 북한의 사회불평등 연구: 건강 및 교육 불평등과 인권 / 최규빈, 박환보, 이요한 
▫️ 국가상징의 문화적 형상과 북한의 브랜드 전략 / 이지순, 이무경, 전영선
▫️ 남북 지식협력: 현황 및 추진 방향 / 김수암, 최규빈, 문경연, 박지연 
▫️ 유네스코 공동등재를 활용한 남북 문화유산협력 / 이우태, 나용우, 권재범, 엄현숙
▫️ 평화‧통일 공공외교 추진기반 조성을 위한 민간의 역할과 개선방안: 주변 4국을 중심으로 / 전병곤, 김상기, 이기태, 정기웅, 이기현, 제성훈, 최원근
▫️ 김정은 지배체제 구축과 권력 안정화 / 오경섭, 김진하, 박형중, 한병진, 김에스라
▫️ 김정은 시대 북한경제: 경제정책, 대외무역, 주민생활 / 홍제환, 김석진
▫️ 세계질서의 재편과 신한반도체제 / 박은주, 전재성, 이용욱, 윤정현, 차태서, 김애경, 임은정, 김종법, 박인휘, 이효원, 정성철

▫️ [한겨레] 이종석, “지소미아 필요성 회의적이지만 국가간 합의 존중해야”(인터뷰) (2021.12.1)
▫️ [중앙일보] 존 에버라드, 한·미·일, 한물간 대북정책 되풀이하는 이유(에버라드 칼럼) (2021.12.3)
▫️ [중앙일보] 윤영관, 전략마인드 갖고 큰 그림 보는 국익 외교를(선데이 칼럼) (2021.12.4)
▫️ [중앙일보] 김병연, 북한에서 일어나는 조용한 혁명(중앙시평) (2021.12.8)
▫️ [동아일보] 영김, “北 비핵화 없는 종전선언, 지역 안보에 파멸적 결과”(인터뷰) (2021.12.14)
▫️ [경향신문] 김동엽, 2021년 남북관계 반성문(정동칼럼) (2021.12.14)
▫️ [동아일보] 에이브럼스, “한국, 전작권 전환 몇년 더 필요… 2028년쯤 역량 갖출듯”(파워인터뷰) (2021.12.15)
▫️ [KBS] 정세현, “종전선언은 북미수교로 이어지는 마중물…文정부 대중압박 적극 동참 조건으로 종전선언 추진 美 설득해야”(최강시사) (2021.12.17)
▫️ [BBC] 북에서 온 10인, 김정은 통치 10년을 말하다(인터뷰) (2021.12.17)
▫️ [경향신문] 이정철, 올림픽 외교와 2015년 트라우마(정동칼럼) (2021.12.21)
▫️ [조선일보] 에론 아놀드, UN 대북제재위 前위원 “국제사회, 한국 정부 면밀히 지켜볼 것”(인터뷰) (2021.12.28)
▫️ [중앙일보] 존 에버라드, 평양에서 다시 성대한 성탄파티가 열릴까(에버라드 칼럼) (2021.12.31)
▫️ [조선일보] 야이르 라피드, “아랍권과 관계 개선 지속할 것… 이란엔 절대 핵 쥐여줘선 안돼”(인터뷰) (2021.12.31)

▫️ 『한반도 소나타』우호태, 국학자료원, 2021.12.10
▫️ 『아오지까지 : 세 번 탈북한 소년의 나라』조경일, 이소노미아, 2021.12.15
▫️ 『나는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: MZ세대와 한반도 도약을 위한 스마트 플랜』김지수, 라이스메이커, 2021.12.18
▫️ 『북핵 미중 갈등과 한반도』화정평화재단 & 21세기평화연구소, 화정평화재단, 2021.12.27
▫️ 『비커밍 김정은』박정현, 다산북스, 2021.12.27
▫️ 『통일 한국의 집을 짓다』이경희, 진애드, 2021.12.30
▫️ 『한반도 평화번영론의 새구상』백영서 외, 경인문화사, 2021.12.30
〈올리브레터〉구독신청 
〈올리브레터〉의견남기기
💡 더 조사가 필요하거나 추가할만한 학술지가 있다면 
본 설문에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.
올리브레터 6호(2021.12) ㅣ 올리브레터 5호(2021.11)
💾 올리브레터 아카이브로 지난호 다시보기
❝한반도평화연구원은 평화의 한반도를 앞당기기 위해 
연구하고 전파하고 교육하는 일을 계속하면서 
연구자들과 현장활동가, 관심자 분들을 돕겠습니다.❞
사단법인 한반도평화연구원
kpi@koreapeace.or.kr
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27 하늬솔빌딩A 403호 
02-744-7109 
수신거부 Unsubscribe
공유하기
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를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
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

이전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12월호
2021. 12. 9.
다음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2월호
2022. 2. 11.
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
성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