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통일과 평화 14권 2호] 2022.12
▫️ 반이민 정서 모형을 이용한 부정적 통일의식 분석 / 정승호, 조용신, 김규철
▫️ 한국 국민의 통일의식은 남북관계에 영향을 받는가? / 김규철
▫️ 통일 필요성 인식에서의 거주지 효과 / 서민진, 김병연, 이정민
▫️ 김정은 시대 '새 시대 농촌강령'의 등장 배경 및 내용 / 송현진
▫️ 김정은시대 북한의 대외 적대담론 연구: 『로동신문』 속 '미제', '일제', '남조선괴뢰'를 중심으로 / 임수진
▫️ 아시아 패러독스(Asian Paradox)와 인도태평양전략: 상업적 평화론 대 상호의존의 무기화 / 이왕휘
▫️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사회통합의 과제 / 심승우
▫️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과 '평화・통일 사회적 대화'의 유효성 / 정주진
[힌국동북아논총 27권 4호] 2022.12
▫️ 북한의 핵실험과 김정은 체제 구축 / 민병룡, 윤성석
▫️ 북한정치에서 김여정의 위상과 역할 / 박은혜, 안문석
▫️ 북한 경제체제 전환 가능성 연구: 김정은 집권 이후 경제정책 및 동향 변화를 중심으로 / 윤진형
▫️ 북한의 핵무기 사용가능성에 대한 전망과 군사적 대비방향 / 이상택
▫️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기금 운용실태와 정책적 함의 / 전성만, 신유호
▫️ 북한이탈주민 남성의 자기표상과 타인표상에 관한 연구 / 조민희
▫️ Viewing the Implications of the U.S. Indo-Pacific Strategy on South Korea Security through IRT: One Region, Three Lenses / 박동휘, 문장권
▫️ What does the China-North Korea relationship look like in the future?: Focusing on China-North Korea Military Alliance / 권준택, 앨리슨 그레이프
▫️ A Crisis of Identity: Social Experience and Collective Memory Among the New Generation in Korea / 천자현, 황태희, 이유정
[동북아연구 37권 2호] 2022.12
▫️ 사회연대경제(SSE)를 통한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모델 탐색 / 조성찬
▫️ 북한의 대외정세 인식과 국방력 강화에 관한 연구 / 박형준, 박성용
▫️ 북한의 다자협력제도 참여와 군사갈등 관계 / 오종문
▫️ 핵무기 개발과 국가행위의 변화: 핵보유 전후의 UN총회 표결에 나타난 외교행태 / 손한별
▫️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기상기후 연구 동향 분석: 1982~2022년 북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/ 허선혜
▫️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용변의 사회기술사: 고난의 행군 이후 주민-용변-화장실 연결망의 재배치 / 박민주
[북한학연구 18권 2호] 2022.12
▫️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이 향후 북한 경제 내구력에 미칠 영향과 한반도 정세에 주는 시사점 / 이영훈, 최장호
▫️ 1954년 제네바 정치회담에 관한 연구: 정부의 통일방안 수정에 대한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 / 김종수
▫️ '포전담당책임제'와 '임농복합경영제'로 살펴본 북한 정책결정과정 연구 / 박소영, 최위정
▫️ 북한 역사학의 민족주의적 특징과 고대사 인식체계 / 김동후
▫️ 북한 심리학의 변화와 특징: 2000년~2019년 학술지 분석을 중심으로 / 이형종
▫️ 反공간들의 혼종: 헤테로토피아, 평양과 특구 / 차문석
▫️ 북한의 공업부문 과학기술인력 양성체계 마련과 활용(1945~1953년) / 장초
▫️ Z세대의 통일・북한 인식 유형 연구: Q방법론을 중심으로 / 하승희
[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8권 2호] 2022.12
▫️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를 활용한 남북 산업협력 방안 / 김수정, 김영민, 정유석
▫️ 김정은 시대 문화정책과 남북 문화교류 방향 / 박영하
▫️ 美 바이든 행정부의 '對中정책'과 '北中관계' 동학: 美中 '경쟁과 갈등'을 중심으로 / 김남성
[북한법연구 28호] 2022.12
▫️ 1948~2019년 북한의 사회복지 정책 변동에 대한 소고: 북한헌법을 중심으로 / 이철수
▫️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에 관한 헌법합치적 고찰: 「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」 분석을 중심으로 / 박원연
▫️ 북한주민 재산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/ 남윤표
▫️ 재외 탈북자 보호 관련 국제법적 검토: 대량탈북 사태 시 대응방안을 포함하여 / 조정현
▫️ 최근 북한입법의 변화 분석 / 류지성
[역사와 현실 126호] 2022.12
▫️ 해방 이후 남북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월남의사의 정착 / 김진혁
▫️ 1950~60년대 판문점 개방과 남북한의 체제 선전 / 류기현
▫️ 1950년대 냉전기 중립주의의 발흥과 남・북한의 반응 / 김도민
▫️ 분단시대의 우상(偶像): 서해5도 수역을 둘러싼 안보 개념의 '발명'과 '변주' / 예대열
[국제지역연구 27권 1호] 2023.01
▫️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과 변화하는 세계질서 / 제성훈
▫️ 한반도 통일과 통일교육에서 평화의 의미 / 김용신
[통일전략 22권 4호] 2022.12
▫️ 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과 우리의 대북전략의 방향 / 오일환, 정경환
▫️ 북한의 핵 개발 실태 및 기회비용에 대한 소고(小考) / 이용희
[평화학연구 23권 4호] 2022.12
▫️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외교 활성화를 위한 과제: 평화공공외교 / 나용우
▫️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과 대외정책의 과제와 전망 / 김병규, 주우철
[문화와 정치 9권 4호] 2022.12
▫️ 세계기아지수를 활용한 북한의 지역 간 불평등의 변화 / 고혜진, 민기채
▫️ 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에서 본 중장기적 남북한 보건협력 재 고찰 / 송철종
[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권 1호] 2023.01
▫️ 북한이탈여성의 가족 이산과 재구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/ 김선숙, 김서영
▫️ 북한이탈주민의 담화 전략 특성 연구: 윤설미TV 유튜브 방송 담화를 중심으로 / 조위수
[통일교육연구 19권 2호] 2022.12
▫️ 정부 통일교육 자료 공급체계 평가와 개선 방안 / 김진환
▫️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초등 통일교육 학습과정에 관한 연구 / 박찬석, 조인호
[윤리교육연구 67호] 2023.01
▫️ 건전한 민족 정체성 함양을 위한 통일교육: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/ 이한진
▫️ 스포츠와 평화의 정치: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영향 / 김홍수
[기독교와 통일 13권 3호] 2022.12
▫️ 북한어 사역 성경의 방향성 제안: 모퉁이돌 선교회, 성경전서/남북한병행성경 빌레몬서를 예시로 / 김주한
▫️ 제4차 산업혁명과 성경적 통일 / 이수봉
▫️ 월남민과 탈북민 목회로 살펴본 예장합동교단의 북한선교 / 하광민
▫️ 북한이탈주민들의 Diaspora로서 구성한 통일의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/ 이근무, 지상선, 현은자
▫️ 북한이탈주민 지원체계로서의 기독교의 역할 / 장보석
▫️ 『윤석열 정부의 외교 안보 도전』 21세기평화연구소, 화정평화재단 (2022.12.25)
▫️ 『평화학이란 무엇인가: 계보와 쟁점』 구민교, 김범수, 김성철, 김태균, 박성우, 신성호, 윤순진, 전재성, 홍종호,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(2022.12.30)
▫️ 『두 개의 고향』 김덕영, 다큐스토리 (2023.01.12)
▫️ 『아직, 역사는 끝나지 않았다』 장시정, 렛츠북 (2023.01.25)
▫️ 『살아남은 여자들은 세계를 만든다』 김성경, 창비 (2023.01.30)
▫️ 『통일교육과 시민교육』 추병완, 한국문화사 (2023.01.30)
▫️ 『통일을 앞당겨 주소서』 강석진, 박성배, 조요셉, 최용준, 추상미, 신동만, 박영환, 박호용 (2023.01.31)
▫️ 『북한의 민속 2』 강정원, 민속원 (2023.01.31)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