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한국정치학회보 57권 1호] 2023.03
▫️ 우리는 누구인가? 우리 형성의 헤게모니 투쟁으로서 국민보도연맹 사건 / 김학노
▫️ 신흥평화의 개념적 탐구: '창발(emergence)'의 시각에서 본 평화연구의 새로운 지평 / 김상배
▫️ 1954년 제네바정치회의에서의 '중립국' 문제: '중립' 개념을 둘러싼 진영 간 대립과 한국정부의 저항 / 양준석
[국제정치논총 63권 1호] 2023.03
▫️ 안보위협과 대일인식: 한일관계 개선·한미일 군사안보협력에 대한 여론 분석(2018~2021) / 정상미
▫️ 평화의 형이상학과 경합주의적 개념화 / 민병원
[한국과 국제정치 39권 1호] 2023.03
▫️ 한반도 정전체제와 북핵체제를 넘어: 불완전 주권성의 전개와 극복 / 전재성
▫️ 한국전쟁의 본질과 성격: 세계내전(Ⅰ) / 박명림
▫️ 동상이몽: 한국전쟁 시기 중국과 북한의 동맹관계: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아 / 션즈화
▫️ 한반도 정전체제와 냉전문화 / 김귀옥
▫️ 냉전의 변용과 정전체제의 지속: 통일과 공존의 갈등 구조 / 이종원
▫️ 정전협정을 넘어 평화협정으로: 한반도 평화협정의 특수성과 주요 쟁점 / 도경옥
[한국국가전략 8권 1호] 2023.03
▫️ 점증하는 북한의 핵 위협과 한미 대응 / 로버트 아인혼
▫️ 북한의 핵정책 법제화와 핵무기 선제사용 기능성 평가 / 이호령
▫️ 한미동맹의 미래: 한반도를 넘어 / 브루스 클링너
▫️ 북한 핵위협 상쇄를 위한 우리의 대응 전략 / 정연봉
▫️ 북한 핵위협 공동 대응을 위한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 / 앤드류 여
[Asian Perspective 47권 1호] 2023.03
▫️ The US-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Emerging Technologies in the Indo-Pacific Region: Strategies for Building, Dominating, and Managing Networks / Hyun Ji Rim
▫️ Institutional Dilemma: Quad and ASEAN in the Indo-Pacific / Kei Koga
▫️ China’s Rising Space Power and the CCP’s Survival in the Indo-Pacific Era / Fumiko Sasaki
▫️ Bilateral Alliances in an Interconnected Cyber World: Cyber Deterrence and Operational Control in the US Indo-Pacific Strategy / James E. Platte
▫️ From Conceptual Idea to Strategic Reality: ‘Indo-Pacific Strategy’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cholars / Li Li, Tianjiao Jiang
▫️ A Two-level Game Approach to Hanoi’s Foreign Policy Proactivism / Vu Thi Thu Ngan, Le Dinh Tinh
▫️ The Yin and Yang of China’s Power: How the Force of Chinese Hard Power Limits the Quest and Effect of Its Soft Power / Shree Jain, Sukalpa Chakrabarti
[통일인문학 93권] 2023.03
▫️ 한국 현대 지성사의 존재론적 조건과 탈식민주의 비판: 냉전-분단체제에서 탈식민화로서 지성사 / 박영균
▫️ 해방공간의 천도교 민주주의론: 복간 개벽에 나타난 '인민주권', '좌우합작', '남북통일'의 민주주의적 기획들 / 박민철
▫️ 분단국가의 국가주의와 기억의 국가이념적 영토화: 독립기념관 분석을 중심으로 / 박솔지
▫️ 북한·중국 토지개혁서사에 나타난 반봉건적 성격: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를 중심으로 / 임추락
▫️ 북한 주민의 일상의료 경험: 2000년대 이후 의료지형의 환경조건과 영역별 주민 실천을 중심으로 / 박민주
[국가안보와 전략 23권 1호] 2023.03
▫️ 김정은 체제의 반사회주의·비사회주의 대응전략 / 조윤영
▫️ 김정은 정권의 대외무역 정책과 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/ 이철
[국제정치연구 26권 1호] 2023.03
▫️ 터커의 이론을 통한 김정일·김정은 정치리더십과 북한 핵정책의 변화 분석 / 안대경
▫️ 적극적 사회통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정책 전환 방안 / 권숙도
[신아세아 30권 1호] 2023.03
▫️ 한반도 신냉전 체제의 강화: 미북 정상회담 결렬의 경위와 후과 분석 / 김충근
▫️ 한반도 군비통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: 학술연구와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/ 김동훈
▫️ 한국의 지정학적 국가전략과 과제: 인도-태평양 전략과 희생양 가설 / 주동진
[동북아역사논총 79권] 2023.03
▫️ 「정전협정」 이후 중국의 북한 경제지원과 북·중 관계, 1953~1957 / 이상민
▫️ 조중고고발굴대의 조사와 북한-중국의 고조선 역사 갈등: 『안지민 일기』를 중심으로 / 강인욱
[민주주의와 인권 23권 1호] 2023.03
▫️ 통일의 내재적·외재적 가치 인식 / 지병근
▫️ 로컬리티에 기반한 남북한의 사회문화 교류방안 모색: 광주광역시와 NGO의 사회문화 교류협력 방안을 중심으로 / 김희송
[한국군사학논총 12권 1호] 2023.03
▫️ DMZ세계평화공원 조성방안에 대한 연구 / 이세영
▫️ 6·25전쟁과 러시아-우크라이나전쟁 휴전(종전) 협상 비교연구 / 김유석
▫️ 유럽 재래식 군사력 감축(CFE) 협상 사례분석을 통한 한반도 군비통제 적용방안 연구 / 이진욱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경제와 사회 137권] 생애사가 밝혀낸 분단국 여성들의 경험세계 / 김성경 (2023.03)
▫️ [국제·지역연구 32권 1호] 한미·북미관계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: 빅데이터를 이용한 통계분석 / 정승철 (2023.03)
▫️ [인문과학연구 48권] 북한체제의 숨겨진 작동 기제(mechanism), 儒敎 / 김신 (2023.03)
▫️ [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권 3호]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김정은의 정책기조 변화 분석: 로즈노(J. Rosenau)의 연계이론(Linkage Theory)을 중심으로 / 송유계 (2023.03)
▫️ [한독사회과학논총 33권 1호] 유럽연합(EU)의 대북제재: 제재 논리와 대외적 행위자 개념을 중심으로 / 고주현 (2023.03)
▫️ [한국테러학회보 16권 1호] 군집드론 테러 대비방안 고찰: 북한 무인기 침투와 우크라이나 전쟁 사례 중심으로 / 강호증 (2023.03)
▫️ [법학연구 23권 1호] 정상회담 선물과 대통령기록물 / 이철호 (2023.03)
▫️ [관광학연구 47권 2호] AHP 분석을 통한 남북관광 개발협력사업 지원기준 우선순위 도출: 국제개발협력 관점을 중심으로 / 김남현, 이충기 (2023.03)
▫️ [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7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의 여가활동을 통한 활동적 노화와 재사회화 / 배재윤 (2023.03)
▫️ [사회복지연구 54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/ 김안나, 최승아, 김효진 (2023.03)
▫️ [구술사연구 14권 1호] 구술로 본 38선 이북 마을의 식민지와 해방·전쟁의 경험: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A마을 여성의 가족이야기 / 김영미 (2023.03)
▫️ [한국여성학 39권 1호] 초국적 공간에서 북한 여성의 노동과 재현의 정치: 젠더, 인종, 계급의 교차와 '북한적인 것'의 구성 / 이지연 (2023.03)
▫️ [국어국문학 202권] 전후 여성 작가와 열전사회의 반공담론: 김말봉의 『별들의 고향』(1953)과 임옥인의 『월남전후』(1956)를 중심으로 / 이민영 (2023.03)
▫️ [국어국문학 202권] 黃鋼의 북한 소재 작품집 『리신자꾸우냥』 연구 / 신선옥 (2023.03)
▫️ [한국예술연구 39권] 남북한 근대 동요의 원형과 변형 찾기: 『아동가요곡선』에 나타나는 금지곡과 개작된 노래의 실제 / 최윤실 (2023.03)
▫️ [한중인문학연구 78권] 1945-50년 공산체제 형성기 기초 지방행정 리(里)의 재편: 속초 양양지역을 중심으로 / 이세진 (2023.03)
▫️ [동서연구 35권 1호] 북한의 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 정체성: 제국과 혁명투쟁을 둘러싼 서술(1905-1945) / 야스이 유타로 (2023.03)
▫️ [서지학연구 93권] 북한산성 행궁과 「돈녕보첩」의 봉안 / 이혜정 (2023.03)
▫️ [윤리연구 140권] 2020년대 중반 이후 통일교육의 지향 / 박찬석 (2023.03)
▫️ [한국초등교육 34권 1호] 소학교 교사 출신 통일전담교육사의 북한과 남한에서의 학생 교육 및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/ 노은희 (2023.03)
▫️ [국어교육학연구 58권 1호] 통일 관련 국어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/ 정진석, 강보선 (2023.03)
▫️ [문화기술의 융합 9권 2호] 북한의 무인기 위협과 대응 자세 / 김현식, 박찬영 (2023.03)
▫️ [문화기술의 융합 9권 2호] 북한 산림 황폐화 실태와 복구를 위한 남·북한 협력방안 연구 / 박상혁, 이재건, 왕승우 (2023.03)
▫️ [환경정책 31권 1호] 북한의 재자원화정책과 순환경제 / 오윤정, 박순성 (2023.03)
▫️ [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5권 1호] 북한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언론 보도 연구 / 권성욱, 송중길 (2023.03)
▫️ [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5권 1호] 선도대학 통일교육의 효과성 연구 / 최경원, 최인숙 (2023.03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인도-태평양"경제안보"개념의 요인 분석과 시사점 / 최윤정 (2023.03.28)
[한국국제정치학회]
▫️ 2023 북한 NPT 탈퇴 선언 30년 특별학술회의 북한 NPT 탈퇴 선언 30년 회고와 전망, 그리고 접경지역 교류 방안 1 / (2023.03.24)
▫️ 2023 북한 NPT 탈퇴 선언 30년 특별학술회의 북한 NPT 탈퇴 선언 30년 회고와 전망, 그리고 접경지역 교류 방안 2 / (2023.03.24)
▫️ [평화재단] 한국 자체 핵무장은 가능한가: 남북한 핵능력 비교 / 이춘근 (2023.03.16)
[통일부]
▫️ 2023 북한인권보고서 (2023.03.30)
[통일연구원]
▫️ [현안분석] 북한의 4대세습과 김주애 / 오경섭 (2023.03.13)
▫️ [현안분석] 2023년 중국 양회(兩會)를 통해 본 '피크차이나(Peak Chinah)' 가능성과 한반도에 주는 함의 / 이재영 (2023.03.15)
▫️ [현안분석] 북한 문학의 팬데믹 재현: 재난 리더십과 코로나19 경험 / 이지순 (2023.03.29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2023 미국 사이버 안보 전략 주요내용과 한국에의 시사점 / 김소정 (2023.03.08)
▫️[이슈브리프] 양회를 넘어서 이제는 장기집권으로: 중국 2023년 양회 평가와 함의 / 양갑용 (2023.03.20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정책연구시리즈] 인도-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지역적 역할 확대 추진 방향 / 최원기 (2023.04.05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한국의 "인도-태평양 전략"에 대한 중국시각 고찰 / 정재흥 외 (2023.03.22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미일동맹의 현대화와 한국의 대응방향: 일본의 안보3문서 개정을 중심으로 / 이면우 (2023.03.24)
▫️ [정세와 정책] 북핵 위협과 한미 확장억제 / 이상현 (2023.04.03)
▫️ [정세와 정책] 한국의 자체 핵보유, 한반도 평화를 위한 불가피한 전략적 선택 / 정성장 (2023.04.03)
▫️ [정세와 정책] 2023년 중국 양회(两会): 시진핑 1인 중심 체제 공고화와 다극화된 국제질서 추동 / 정재흥 (2023.04.03)
▫️ [정세와 정책] 중·러 정상회담과 한국의 외교안보 과제 / 홍현익(2023.04.03)
▫️ [세종논평] '김주애 연출'의 의도와 그 시사점 / 김규범 (2023.03.09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2023년 중국 '양회'의 주요 이슈와 시사점 / 전재우 (2023.03.17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 2023년 3월] 중국의 제3기 시진핑 체제와 국제질서 그리고 한반도, 중국 시진핑3기 국내외 정치분석: 2023년 양회와 시진핑 시대 전략, 중국의 시진핑 3기 체제 등장과 양회 결과 분석, 제14차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이후 중국의 외교 행보,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중국의 입장, 북한의 시장환율과 시장가격 자료, 김진호 외 (2023.04.04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[Global NK 논평] 북한의 신냉전 인식과 한국의 대외전략 / 황지환 (2023.04.05)
[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 [북한도시브리프] 북한 관광산업의 변화와 북한의 기대, 북한 도시 동향, GIS 위성으로 보는 북한 도시: 김정은의 신도시들, 빅데이터로 본 북한 도시 키워드 / 류경아 외 (2023.03)
[KB 경영연구소]
▫️ 2023년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대한 평가와 전망 / 이정진 (2023.03.24)
[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]
▫️ 자문위원 연수자료집(22-23년 상반기): 한반도 통일과 비핵.평화 번영의 길 (2023.02.01)
▫️ [중앙일보] 정용수, 남매정치 대이은 김정은, 이번엔 10세 딸 내세운 가족정치 (평양사람들)(2023.03.09)
▫️ [국민일보] 김동엽, 한반도 평화의 치료사 (한반도포커스)(2023.03.13)
▫️ [프레시안] 정욱식, 남북미의 "압도적 대응"이 일으키는 '압도적 불안' (칼럼)(2023.03.13)
▫️ [VOA]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, "안보리 의제서 '북한인권' 빼려는 세력 있어…인권 없이 핵문제 해결 안돼" (인터뷰) (2023.03.16)
▫️ [한겨레] 김연철, 휴전 70년과 한미 연합훈련 (칼럼)(2023.03.19)
▫️ [국민일보] 차두현, 北 '허 찌르기' 도발 대응하려면 (한반도포커스)(2023.03.20)
▫️ [DAILY NK] 곽길섭, 김정은의 벼랑끝전술 (북한정론)(2023.03.20)
▫️ [중앙일보] 에버라드, 미사일 발사에 올인하는 북한 (칼럼)(2023.03.24)
▫️ [중앙일보] 신각수, 혼돈의 국제질서, 북한의 대남·대미 핵 공갈 유혹도 증가 (한반도평화워치)(2023.03.24)
▫️ [통일뉴스] 곽태환, 한반도 비핵·평화체제 구축 5단계 로드맵 구상: 재조명 (칼럼)(2023.03.24)
▫️ [중앙일보] 김병연, 핵이 파괴한 김정은의 꿈 (중앙시평)(2023.03.29)
▫️ [국민일보] 박원곤, 한·미의 북침 전쟁연습? (한반도포커스)(2023.04.03)
▫️ 『북한이주민과 지역사회복지』 전주람, 임해영, 권진, 한국학술정보 (2023.03.03)
▫️ 『북한 왜 이럴까?』 안희창, 나남출판 (2023.03.08)
▫️ 『기후 위기와 감염병으로 읽는 남북한 교류 협력 이야기』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, 열린책들 (2023.03.10)
▫️ 『분단 이전 북한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?』 주영하, 열린책들 (2023.03.10)
▫️ 『농인의 눈으로 본 북한』 임서희, 열린책들 (2023.03.10)
▫️ 『섬으로 간 전쟁, 섬에서 만난 평화』 김진환, 열린책들 (2023.03.10)
▫️ 『북한 원시형 세습통치체제 형태의 변화과정과 특성』 정병일, 좋은땅 (2023.03.11)
▫️ 『글로벌교육과 동아시아 평화』 박성인, 한국삭술정보 (2023.01.05)
▫️ 『정세현의 통찰』 정세현, 푸른숲 (2023.02.16)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