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현대북한연구 26권 3호] 2023.12
▫️ 1970~75년 북한의 쁠럭불가담(non-alignment) 인식과 활동: 쁠럭불가담 회의를 중심으로 / 김도민
▫️ 사회주의 당의 영도원칙과 헌법 준수 의무의 관계 / 이준식
▫️ 북한의 소나무 '국수' 지정과 함의 / 오삼언, 배재수
▫️ 시스템 사고를 통한 농촌 재생에너지 확산 경로 분석 및 함의 / 김은진, 고도연
▫️ 윤석열 정부의 통일·대북정책 검토와 과제: 국내 수준의 합의 도모와 성과 추구 / 신종대
▫️ 북핵 협상의 2차 효과: 한반도 위기관리와 북한 핵·미사일 개발의 지체 / 김상기
[북한연구학회보 27권 2호] 2023.12
▫️ 시장화 이후 북한도시에서 공식 및 비공식 노동의 상호작용 패턴에 관한 연구: 평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/ 백명숙
▫️ 딥러닝 기반 북한 도시공간 연구: 개성시 공간격차를 중심으로 / 이시효
▫️ 북한의 과학기술 노선 강화 따른 남북 기후변화 협력 방향 검토: 재난재해 대응을 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/ 이경희
▫️ 평화통일교육의 정치적 목적과 실천방안의 재정립: 학습자의 정치적 자율성과 주체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/ 윤철기
[통일정책연구 32권 2호] 2023.12
▫️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담의 전략적 함의와 향후 과제 / 전재성
▫️ 캠프 데이비드 선언: 미국의 외적 균형과 중국의 내적 균형 전략 경쟁의 결과 / 주재우
▫️ '캠프 데이비드' 한미일 협력과 한국 외교의 과제 / 박인휘
▫️ 북러 군사협력 논의와 평양의 지향점: 미 확장억제 공약에 대한 도전 / 황일도
▫️ 주체사상의 형성과 정치적 기능 / 오경섭
▫️ 북한의 권력 엘리트 조용원의 부상과 역할 변화 연구 / 이준희
▫️ 김정은 집권 이후 자연보호구 정책의 특징 / 오삼언, 박소영
▫️ 공급망 질서 재편과 통일한국 첨단제조 미래구상 / 김호철
[북한학보 48권 2호] 2023.12
▫️ 6·25전쟁 납북피해자에 대한 배·보상 문제 / 제성호
▫️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 통일교육 방향과 과제 / 전영선, 이윤식
▫️ 북한의 소방대에 관한 연구 / 오형근
▫️ 남북한의 문화산업 협력을 위한 정책 연구 / 주민욱, 이지훈
[국가안보와 전략 23권 4호] 2023.12
▫️ 팬데믹 이후 사회분열로 인한 테러위기와 수단에 관한 연구: 비핵 전자기펄스 (NNEMP) 공격의 위험성을 중심으로 / 신형석, 김영훈, 전제환, 이현우
▫️ 미·중 전략경쟁, 전쟁으로 갈 것인가? 세력우위론적 접근 / 남궁영, 장시영
▫️ 전쟁 양상 변화에 따른 우리 군의 미래 '합동성' 발전 방향 연구 / 한윤기, 배진석
▫️ 주한미군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행태 분석: 정권안보와 위협균형의 관점에서 / 류인석
[한국정치학회보 57권 4호] 2023.12
▫️ 청년 세대의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인식과 탈북자 수용에 관한 태도 / 김한나, 박원호
▫️ 평화 구축 규범들에 대한 비서구, 비자유주의적 신흥 강대국들의 접근법: 중국과 러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/ 강수정
[국제정치논총 63권 4호] 2023.12
▫️ 한국의 군사·안보적 대외 의존과 독자적 외교정책 선택: 유엔해양법협약(UNCLOS) 사례를 중심으로 / 임재현, 배종윤
▫️ 국제규범 현지화(Localization)와 북한의 SDGs 수용 양태: 북한과 라오스 VNR의 비교 / 홍지영, 강우철
[한국과 국제정치 39권 4호] 2023.12
▫️ 미중 데탕트와 주한미군 / 류인석
▫️ 역사적 기억의 외교적 활용: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러 '축전외교' / 이상우
▫️ 김정은 집권기 북·중·러 삼각관계: 세 개 양자관계의 역동성 / 김연철
[신아세아 30권 4호] 2023.12
▫️ Power Transition or Peaking Power Trap in Explaining the Hegemonic Competition / 조해지, 김우상
▫️ 미·중 전략경쟁 분석: 구조와 경쟁 그리고 대결 / 전가림
▫️ 신 국제질서의 등장과 한국 외교: 동맹전략을 중심으로 / 박인휘
▫️ 북한 관리 정책 / 김영수
▫️ 새 시대 국제환경과 한국의 대응전략: 군사적 대응으로서 자위력 구축방향 / 박창권
[국제관계연구 28권 2호] 2023.12
▫️ 한반도 통일을 위한 외교 안보 전략 / 김성한
▫️ 미·중 경쟁 시대 독일의 지정학적 헤징 전략: 일대일로 vs. 인도-태평양 / 장희경
[국제정치연구 26권 4호] 2023.12
▫️ 한국 진보-보수 진영의 한미동맹에 대한 태도에 관한 국제정치학적 분석 / 김석준
▫️ 동독의 국제사회로의 편입: 동-서독 ICT 분야 통합을 중심으로 / 김주희
▫️ The Dual Faces of U.S. Alliances: Deterence Effects and Vulnerabilities in Northeast Asia / 이진명
[한국과 국제사회 7권 6호] 2023.12
▫️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인권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: 인권외교 개념을 중심으로 / 김지영
▫️ 민주시민교육과 통일교육의 관계모델 탐색: 관계유형과 사례논의의 시사점 / 채진원
[통일인문학 96권] 2023.12
▫️ 김정은 시대 민족문화유산의 계승발전과 활용: 김치 생산 공업화의 추진 양상을 중심으로 / 임사라, 김민지
▫️ 북한 고전소설 윤색의 양상과 의미 연구: <영영전>과 <토끼전>의 사례를 중심으로 / 김종군
▫️ 김정은시대 전민과학 기술을 통한 인재화의 꿈 / 김은정
[민주평화연구 6권 2호] 2023.12
▫️ 북한 인권 개선 정책의 과제와 한계 / 최정진
▫️ '통일감수성'의 교육적 기능성으로서의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·청소년 문학 연구 / 구연주
▫️ 통일 이미지 인식변화 및 통일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성: 통일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/ 최장현
[기독교와 통일 14권 3호] 2023.12
▫️ 한국교회를 향해 제시하는 성경적 통일: 기독교통일학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/ 안인섭
▫️ 조동진의 북한선교: 생애와 사상을 중심으로 / 하광민
▫️ 다차원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DMZ지역 평화자유도시 개발 연구: 강원도 중심으로서 철원 / 최준호
[접경지역통일연구 7권 2호] 2023.12
▫️ 9·19 남북 군사합의의 안보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/ 문성묵
▫️ 정전 70년 북한의 대남도발과 한국의 방어·억제기제 / 김강녕
▫️ 통일시기 접경지역의 북한주민 수용을 위한 역할과 대비방안: 북한이탈주민의 유투브 대담내용을 중심으로 / 박영택, 권보경, 이정화
▫️ 2022~2023년 김정은 도발·행태 분석 및 우리의 대응 방안 / 손기웅
▫️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 사례 분석을 통한 접경지역의 통합방위태세 구축 방안: 2023년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초기 공격 사례 분석 / 박정곤
▫️ 이스라엘-하마스 공격 전술과 북한의 접경지역에 대한 하이브리드전 대비 연구 / 문계성, 권찬주, 송애연
▫️ 한국 접경지역의 지정학적 인식 연구: 군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/ 나승학
▫️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의사소통(상담) 강화 개선 방안 연구 / 노길수
▫️ 한반도 통일과 독일 통일의 성격 비교분석: 고려의 후삼국 통일을 중심으로 / 강경표
▫️ 군사사상 차원의 북한 사이버전 의미와 위협 분석: 북한의 '주체군사상'과 사이버전을 중심으로 / 유판덕, 이병우
[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(IJKUS) 32권 2호] 2023.12
▫️ A Roadmap for ROK-US-Japan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(TSC) / 이수훈
▫️ Tackling Asia's Paradox: Economic Dependence, Foreign Policy, and Demestic Split / 백승준
▫️ A Stable Peninsula in an Unstable World: How Russia's Invasion of Ukraine Increases Korean Security / Tobias Dahlqvist, 백선우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경제와 사회 140호] 가치동맹의 패러독스: 냉전과 신냉전 사이의 한반도 / 이유철 (2023.12)
▫️ [동서연구 35권 4호] 미중경쟁과 동북아 지역질서 시나리오: 군사적 억지균형과 경제적 상호의존을 중심으로 / 윤대엽 (2023.12)
▫️ [한독사회과학논총 33권 4호] 북한의 현실주의적 국제정치: 동유럽의 대 북한 원조를 중심으로 / 이시연 (2023.12)
▫️ [한국경제연구 41권 4호] 체제전환과 북한의 향후 경제성장 / 신석하 (2023.12)
▫️ [아태연구 30권 4호] 북한의 시장화와 경제구조전환: 시장과 계획의 관계변화 / 선슬기 (2023.12)
▫️ [질서경제저널 26권 4호] 통일 과도기 남북한 연금제도의 통합 방안: 세대간 계약의 원리를 바탕으로 / 이정우 (2023.12)
▫️ [베트남연구 21권 2호] 베트남-북한의 상속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/ 나정원, 노은경 (2023.12)
▫️ [비교경제연구 30권 2호] 베트남 투입산출표를 이용한 국제금융기구 지원의 경제적 효과 분석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/ 진윤호 (2023.12)
▫️ [한국지적학회지 39권 3호] 북한과 중국의 토지관리제도의 비교 연구 / 황보상원 (2023.12)
▫️ [국토지리학회지 57권 4호] 북한 평안북도 의주 통군정의 장소 인식 변천과 명소 성립 / 김해경, 박세린 (2023.12)
▫️ [평화와 종교 16호] 한반도 평화를 위한 주변 강국의 협력적 거버넌스 / 박범종 (2023.12)
▫️ [서울국제법연구 30권 2호] 영공침입 사건에 관한 대응 검토: 북한 무인기 영공침범 사건을 중심으로 / 김회동 (2023.12)
▫️ [법과 정책 29권 3호] 북한 여성의 건강권과 국제협력 / 임예준 (2023.12)
▫️ [법학연구 23권 4호] The Regulatory Framework in North Korea to Marine Plastic and International Plastic Convention / 단호정 (2023.12)
▫️ [안보군사학연구 20권 2호] 사이버 전쟁에서의 인지전 전략과 미래 방향성: 이스라엘·하마스 전쟁 사례 연구 / 이주환, 나승학 (2023.12)
▫️ [한국군사 14호] 북한과 중국의 당-군 관계 비교연구 / 권지민 (2023.12)
▫️ [한국해양안보논총 6권 2호] 북한 핵 위협에 대한 한국 해군의 억제력 수준 분석: Arthur F. Lykke Jr.의 군사전략 3가지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/ 임명수 (2023.12)
▫️ [군사연구 156호] 1990년대 북한 선군정치와 군사력 강화의 외생 변인 연구 / 황원준, 노진엽 (2023.12)
▫️ [군사연구 156호] 6·25전쟁기 서해도서 피난민의 활동 및 월남 과정 연구: 유엔군의 피난민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/ 김인승 (2023.12)
▫️ [경찰학연구 23권 4호] 남북통일 후 과거청산을 위한 경찰의 역할에 관한 연구 / 김성훈 (2023.12)
▫️ [동아인문학 65호] 중국과 한국의 평화 통일 접근법 비교 연구 / 황염, 곽덕환 (2023.12)
▫️ [한국민족운동사연구 117호]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/ 강혜경 (2023.12)
▫️ [동북아역사논총 82호] 1980년대 리영희의 핵 인식과 반핵: 한반도의 비핵지대화, 핵 불감증 비판, 군사 주권의 회복 / 이행선 (2023.12)
▫️ [역사와 경계 127호] 제2공화국 전후 한국과 북한 언론에서 만들어낸 적대적 이미지의 양상 / 김진흠 (2023.12)
▫️ [다문화와 평화 17권 3호] 노동자 출신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정체성 재구성에 대한 연구: 주체사상 극복을 중심으로 / 이재관, 김서영 (2023.12)
▫️ [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5권 3호]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 간의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: 상호문화역량의 영향을 중심으로 / 김학령, 김선화, 이민영 (2023.12)
▫️ [문화콘텐츠 연구 29호] 다문화 이주민의 디지털 격차 진단과 영향요인 연구: 북한이탈주민·결혼이주민과 일반 국민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/ 조경재, 황용석 (2023.12)
▫️ [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4권 6호]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/ 조성희 (2023.12)
▫️ [산업융합연구 21권 12호] 북한이탈여성의 현황 및 건강 임파워먼트 / 임세미, 이경미 (2023.12)
▫️ [倫理硏究 143호] 통일교육의 내용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/ 김병연 (2023.12)
▫️ [교육문화연구 29권 6호] 서독과 남한의 통일교육지침 비교 연구 / 김상무 (2023.12)
▫️ [한국교육학연구 29권 4호] 중학교 도덕 검정교과서에 나타난 통일교육의 관점: 통일의 필요성 서술을 중심으로 / 이의연, 홍후조 (2023.12)
▫️ [특수아동교육연구 25권 4호] 북한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/ 안상권, 홍정숙 (2023.12)
▫️ [한국문학과 예술 48호] 김정은 시대 북한 '문학' 교과서에 반영된 당 문예정책의 변화양상 연구: 2014년판 고급중학교 1, 2, 3학년 『국어문학』을 중심으로 / 김경숙 (2023.12)
▫️ [국어국문학 205호] 1960년대 『조선문학』(1960.1~1969.12)에 게재된 북한 대표 단편소설 연구: 천리마 시대를 형상화한 사회주의 현실 주제의 현실적 생동감을 중심으로 / 오태호 (2023.12)
▫️ [국어국문학 205호] 북한 고전문학 속 이계관 연구: <금강산 팔선녀>와 <토끼전>을 중심으로 / 나윤하 (2023.12)
▫️ [현대소설연구 92호] 북한의 전쟁문학 속 '공화국 영웅': 군사적 이상형의 기원과 문화적 진화에 관한 연구 / 배개화 (2023.12)
▫️ [기록과 정보·문화 연구 17호] 미국 국립기록관리청(NARA) 소장 북한 노획 대형 포스터의 기록화 스토리텔링/ 이선옥 (2023.12)
▫️ [한국예술연구 42호] 스코핑 고찰을 활용한 2005년~2023년 북한음악정치 연구동향 분석: 등재학술지 중심으로 / 남지연
▫️ [민주주의와 인권 23권 4호] 남북한 독립군가·혁명가요의 이념적 차이와 1980년대 체제에 따른 여성 중심 작품 수록 여부 / 이민규, 김태웅 (2023.12)
▫️ [기독교와 문화 20호] 북한의 양식업(1956~1963)과 진재환 단편소설 「고기떼는 강으로 나간다」(1964, 1978)의 개작 양상 연구 / 김성희 (2023.12)
▫️ [영화연구 98호] 교류·관계사적 측면에서 바라본 남북한 영화의 상호 표상(1980~1994) / 임인재, 함충범 (2023.12)
▫️ [한국산림과학학회지 112권 4호] 북한 주요 지역의 산림면적 변화 특성 분석 / 윤성호, 김은희, 박진우 (2023.12)
▫️ [한국작물학회지 68권 4호] 북한 지역 기온과 일장 환경 적응 벼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 분석 / 양운호, 강신구, 이대우, 채미진 (2023.12)
▫️ [해양정책연구 38권 2호] 북한의 시기별 고래자원 이용에 관한 연구: 북한신문 기사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(2023.12)
▫️ [해양관광학연구 16권 4호]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Z세대의 관광교류인식이 북한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/ 강숙영 (2023.12)
▫️ [대한건축학회논문집 39권 12호] 남북 미래세대 교류 활성화를 위한 DMZ 내 가변적 보이드의 구축 / 대한건축학회 (2023.12)
▫️ [생명과 말씀 37권 3호]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 지원 선교 / 윤혜경, 손동신 (2023.12)
[통일연구원]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북한 대외 및 대남 전략 / 김진하 (2023.12.15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러·북 밀착과 중·러·북 연대 가능성 전망 / 현승수, 이재영 (2023.12.15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남북관계 정상화 가능성? / 조한범 (2023.12.15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북한 인권 실태와 개선 전망 / 이규창 (2023.12.15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북한의 핵·미사일 고도화와 김정은 통치전략 / 홍민 (2023.12.13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북한 경제의 대내외 여건 평가와 전망 / 최지영, 정은미 (2023.12.13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북한 비핵화 대화 재개 가능성 / 정성윤 (2023.12.13)
▫️ [2024 한반도 정세 전망] 미국 인도·태평양 전략과 미중 전략경쟁 / 민태은 (2023.12.13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글로벌 복합위기와 북한 인권 개선: 공동 대응을 향하여 / 리스로트 오드가르드 외 (2023.12.11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[2023년도 하반기 북한군사포럼] 국제분쟁이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 / 남성욱 외 (2023.12.13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Yoon's Government's NK Policy after Camp David: "Free and Peaceful, Unified Korea" / 김영호, 손열 (2023.12.13)
▫️ [북한과 세계] 2023년 북한의 '선택과 집중', 그리고 2024년 전망 / 박원곤 (2023.12.29)
▫️ [보이는 논평] 2024 세계질서 변화와 한국의 대응 / 하영선 (2024.01.03)
[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]
▫️ [통일학포럼] 통일안보전략의 방향 / 김성한 (2023.12.18)
▫️ [기타보고서] 북한 주요 도시 경제 인프라 지도 / 홍민, 김진하, 박영자, 홍제환, 정은미, 황진태, 김혁 (2023.11.09)
▫️ [정책연구시리즈] 담대한 구상의 여건 조성 방향 / 정성윤, 김민성, 김현욱, 조동호, 황태희 (2023.12.14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북한 외교·안보 담론의 특징과 함의 / 서보혁 (2023.12.07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제5차 전국어머니대회 개최와 함의 / 정은미 (2023.12.12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고체연료 ICBM <화성-18>형 발사훈련 분석 / 홍민 (2023.12.20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조선인권연구협회 백서와 인권문제에 대한 북한의 대응논리 / 김수암 (2023.12.22)
▫️ [통일연구 브리프] 통일연구 브리프 2023년 11월/12월호 Vol.1 / 통일연구 브리프 편집위원회 (2023.11.21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의 대외 무기거래 실태와 최근 러북 군사무기 거래 파급효과 / 이수석 (2023.12.15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의 주요 도발 요인 및 행태 분석 / 고재홍 (2023.12.22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의 영향력 공작과 우리의 대응 방향 / 김일기 (2023.12.22)
▫️ [이슈브리프] 자유민주주의적 기본질서에 기반한 통일·대북정책 추진 방향 / 김일기 (2023.12.22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주요국제문제분석] 한국민의 자체 핵무장 지지 여론 분석 / 정상미 (2024.01.02)
▫️ [IFANS FOCUS] BRICS Expansion in 2023: A Beginning of Geopolitical Reshuffling? / 강선주 (2023.12.18)
▫️ [IFANS FOCUS] 2024 미국 대선과 대외 정책 전망 / 민정훈 (2023.12.18)
▫️ [IFANS PERSPECTIVES] China's Response and Outlook on the 2023 North Korea-Russia Summit: China's Concerns about North Korea-China-Russia Cooperation / 김한권 (2024.01.03)
▫️ [정책연구시리즈]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과 유럽의 전략문화: 위협 인식 변화와 방위 협력 진전 / 전혜원 (2023.12.29)
▫️ [국제정세전망] 2024 국제정세전망 / 외교안보연구소 (2023.12.21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새로운 국제 질서 출현 시기의 중러간 전략적 경제안보 협력 본격화 및 한계 / 정재흥, 이동민 (2023.12.11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'글로벌 사우스'와 한국 외교 / 최윤정 (2023.12.21)
▫️ [정세와 정책] 2024년 국제정세 전망 / 이상현 (2024.01.02)
▫️ [정세와 정책] 2024년도 미국 대선 전망과 우리의 대응 / 서정건 (2024.01.02)
▫️ [정세와 정책] 2023년 중국의 대외전략 평가와 2024년 전망 / 정재흥 (2024.01.02)
▫️ [정세와 정책] 2024 러시아 정세전망 / 정은숙 (2024.01.02)
▫️ [정세와 정책] 일본정치의 2024년 전망 / 이면우 (2024.01.02)
[아산정책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바이든 정부의 대전략과 한국 외교안보에 대한 시사점 / 최진욱 (2023.12.08)
▫️ [이슈브리프] 한국인의 쿼드 인식과 외교정책 / 피터 리, 강충구 (2023.12.11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 경제 실태 평가 및 시사점 / 김중호 (2023.12.13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러 군사밀착과 중국: 북중러 3각 연대로 나아가는가? / 이동규, 김지연 (2023.12.20)
▫️ [이슈브리프] 최근 북러 밀착과 북-중-러 연대 강화 가능성: 북한의 접근 / 차두현 (2023.12.22)
▫️ [이슈브리프] 같은 듯 다른 뉴질랜드와 호주의 인태 전략: 한국에 대한 함의 / 이재현, 김민주 (2023.12.27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러 관계 회복의 의미와 전망: 러시아의 시각 / 이상준 (2023.12.28)
▫️ [이슈브리프] 2023년 북한 핵개발 현황 및 평가: 국방력 강화 속에 지속될 2024년 도발 / 양욱 (2023.12.28)
▫️ 2024 아산 국제정세전망 (2023.12.18)
▫️ [2024 아산 국제정세전망] 주요국들의 연대결성 경쟁, 계속되는 상호 견제 (2024.01.02)
▫️ [Country Report] China (December 2023) / Danielle F. S. Cohen (2024.01.02)
▫️ [Country Report] South Korea (December 2023) / Daeun Choi, Shinhyung Lee (2024.01.02)
▫️ [Global NK 논평] 한반도 재래식 군사충돌 가능성과 위기관리 방안 / 이호령 (2023.12.12)
▫️ [ADRN Issue Briefing] State of Democracy in Asia and the Pacific: The End of the Decline? / Michael Runey (2023.12.27)
▫️ [신년기획 특별논평] ① 반도체 인공지능 기술 경쟁과 2024년 세계정치 변화 / 배영자 (2024.01.03)
▫️ [신년기획 특별논평] ② 2024년 세계 경제 질서 전망: 미중 전략 경쟁, 공급망 재편, 그리고 재세계화 / 이승주 (2024.01.04)
▫️ [신년기획 특별논평] ③ 2024년 세계 군사질서와 한국: 정확성과 투명성 혁명에 따른 공격 우위 시대 한국의 안보정책 / 김양규 (2024.01.05)
[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]
▫️ [북한사회 Brief 47호] 도시화 주요 자료, 정보화 주요 자료, 소비화 주요 자료, 재해재난 주요 자료 (2023.12)
▫️ 『DMZ의 역사: 한반도 정전체제와 비무장지대』 한모니까, 돌베개, 2023.11.27.
▫️ 『Women in North Korea: From Revolution to Markets』 Miryang Youn, 굿플러스북, 2023.11.30.
▫️ 『통일로 향한 윤미량의 삶과 글』 윤미량 삶과 글 간행위원회, 굿플러스북, 2023.11.30.
▫️ 『코리안드림 & 통일한국 비전과 국제협력』 AKU교수협회, GDC Media, 2023.11.30.
▫️ 『북한인권 실태 보고서』 이석배, 부크크(bookk), 2023.12.05.
▫️ 『남과 북, 좌와 우의 경계에서: 서울에서 띄우는 평양 소식』 주성하, 싱긋, 2023.12.07.
▫️ 『북한미술의 역사와 전통』 박계리, 솔과학, 2023.12.12.
▫️ 『조선인민군과 정전협정』 주권연구소, 도민재, 2023.12.15.
▫️ 『남북 공동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인도적 대북협력 전략 구상』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, 김현, 이희진, 차지호, 인간사랑, 2023.12.20.
▫️ 『남·북한 10대 해전과 한반도 위기』 권주혁, 퓨어웨이 픽쳐스, 2023.12.26.
▫️ 『리얼리티와 유니티: 북한이탈주민의 이슈와 비전에 관한 보고서』 조경일, 이소노미아, 2023.12.29.
▫️ 『북한은 어떻게 1인 지배체제가 되었는가?』 주연종, 선인, 2023.12.31.
▫️ 『북한 정권과 북한군』 변상문, 청미디어, 2024.01.05.
▫️ 『미국의 전략문화와 한반도 개입정책: 한국전쟁 발발 전후 미국의 개입정책 분석』 하성우, 한국학술정보, 2024.01.08.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