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통일과 평화 16권 2호] 2024.09
▫️‘하나의 조선’에서 ‘두 조선’으로: 중국의 한국 인식과 정책 전환(1978~1992) / 션즈화 (2024.09)
▫️1980년대 중반 북한 외교정책 전환의 원인과 그 결과: 한국의 대중관계 개선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/ 이상숙 (2024.09)
▫️‘국제합법성(國際合法性)’의 경쟁: 남북 올림픽회담 분석(1984~1988) / 씨에딩원, 고양개 (2024.09)
▫️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남한의 통일방안 / 정대진 (2024.09)
▫️김정은 시기 재생에너지에 관한 북한 내 연구와 국제 협력 연구 동향 / 윤순진, 박정현, 김은진 (2024.09)
▫️국제 수학학술지에 수록된 북한 피인용 논문 실적 분석 / 김수연 (2024.09)
▫️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(PTSD)와 디스트레스(Distress)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/ 김경미 (2024.09)
[한국동북아논총 29권 3호] 2024.09
▫️러시아의 디지털 지정학 / 윤민우 (2024.09)
▫️경쟁적 다자주의와 중국의 제도균형 그리고 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/ 이기현 (2024.08)
▫️대만해협 긴장이 한중 해양논쟁에 미치는 영향 분석 / 주민욱 (2024.09)
▫️현대전에서 대내외 여론전의 역할: 이스라엘-하마스전쟁을 중심으로 / 최정준 (2024.09)
▫️김정은 시대 당‧군 관계와 조선인민군에 대한 당적 통제 연구: ‘이중적 후견관계’를 중심으로 / 장석준 (2024.09)
[평화연구 32권 2호] 2024.10
▫️중국 핵전력 증강 의미의 재검토: 피해제한 대응으로서의 생존가능한 핵전력 / 구산하, 고봉준 (2024.10)
▫️다중 전쟁 동시 지속 상황과 한국의 안보 전략 / 설인효 (2024.10)
▫️외부 지원과 내전의 강도 간 상관관계 연구: 지원국 특성을 중심으로 / 김동석, 최현진 (2024.10)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[국제지역연구 28권 4호] 냉전 시대로의 회귀? 윤석열 정부의 대러정책과 한·러 관계 / 홍완석 (2024.10)
▫️[국제지역연구 28권 4호]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의 종결 전망 및 전략적 함의 관련 한국군의 평가와 미군 전훈 분석에 대한 소고(小考) / 김혜림 (2024.10)
▫️[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7권 2호] 문재인 정부시기(2017-2022) 대한민국 핵무장 찬성여론 영향력 분석과 그 함의 / 선슬기 (2024.10)
▫️[한국과 국제사회 8권 5호]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북핵 및 미사일 위협에 관한 담론 분석 / 김동훈, 김법헌 (2024.10)
▫️[산업진흥연구 9권 4호] 러시아의 하이브리드전을 통해 본 한국의 사이버전 발전방안 / 이세훈, 이승훈 (2024.10)
▫️[국방연구 67권 3호] 김정은 시대 조선인민군의 ‘은닉 대본’과 당·군 관계: 이론적 분석과 정치적 함의 / 백승국, 장석준 (2024.09)
▫️[문화기술의 융합 10권 5호] 김일성 시기 북한의 평화협정 담론 변화와 함의 / 이은미 (2024.09)
▫️[담론201 27권 3호] 유네스코 <평화, 인권,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 권고> 채택의 의미: 합의 도출 과정과 내용을 중심으로 / 한건수 (2024.10)
▫️[한국군사학논집 80권 3호] 북한 핵 능력 고도화 억제를 위한 군비통제 전략: 전략물자 통제를 중심으로 / 이경진, 성재우, 서천규 (2024.10)
▫️[국방정책연구 40권 3호] 닉슨-포드 행정부의 한국군 현대화 정책 고찰: 한반도에서의 ‘이중억제’ 전략의 맥락에서 / 류인석 (2024.10)
▫️[국방정책연구 40권 3호] 연합작전에서의 상호운용성 개념 및 한국군 발전방안: 한미연합사단 사례를 중심으로 / 강신욱 (2024.10)
▫️[국방정책연구 40권 3호] 사이버 기술의 발전과 무력충돌 시 민간인 보호 / 안준형 (2024.10)
▫️[국방정책연구 40권 3호] AI 국방정보시스템 도입 시 예상되는 AI 고유 보안 취약점 분석 및 보안 가이드라인 연구 / 최종현, 장백철 (2024.10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3호] 심리전의 사례분석과 한국군의 심리전 발전방향 / 정우열 (2024.10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3호] 한반도 미사일 군비통제 검증레짐 적용 방향 연구: 미·소(러) 미사일 군비통제 검증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/ 서천규, 최우혁 (2024.10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3호] 대만지역에서 미․중 전쟁 가능성과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: 세력전이론을 중심으로 / 권영호, 길병옥 (2024.10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3호]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이 한국의 안보정책에 주는 함의 / 김영성 (2024.09)
▫️[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8권 10호] 유엔군사령부(United Nations Command: UNC)관련 연구 경향 분석 및 제언: 2003년∼202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/ 이정훈 (2024.10)
▫️[관광학연구 48권 7호] 북한의 관광 담론 형성에 관한 연구: 2012~2019년 경제연구학술지를 중심으로 / 정진영 (2024.10)
▫️[대한지리학회지 59권 5호] 이주민 장소만들기에 대한 관계적 접근: 수도권 탈북민 대안학교 설립과 정착을 중심으로 / 장주은, 신혜란 (2024.10)
▫️[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권 19호] 뉴스 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이슈와 언어 문제 탐색: 2019-2024 / 이안용 (2024.10)
▫️[미래연구 15권 3호]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/ 이수연 (2024.10)
▫️[한국과 국제사회 8권 5호] 북한이탈주민 청년의 경제적 적응 과정에 관한 근거 이론 연구 / 손인배, 전우택, 문의인, 신보경 (2024.10)
▫️[한국근대문학연구 25권 2호] 1990년대 초 북한 영화에 재현된 연애 이미지와 균열된 지배담론: <도시처녀 시집와요>를 중심으로 / 조은선 (2024.10)
▫️[한국연구 17호] 1950~60년대 월남민의 철원 정착과 삶 / 이준희 (2024.10)
▫️[사회와 철학 48호] 한반도 체제 문제와 저작공동체 개념 / 윤환철 (2024.10)
▫️[로컬리티 인문학 32호] 조선시대 고전문헌 속 평양팔경 문화경관 인식 / 허선혜 (2024.10)
▫️[어문론총 101호] 북한의 문법론 연구 동향: 2005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의 4대 학술지를 중심으로 / 박효정 (2024.09)
▫️[윤리교육연구 74호] 남남갈등과 통일교육의 불연속성에 관한 연구: 2016, 2018, 2023년 통일교육지침서를 중심으로 / 허선혜 (2024.10)
▫️[윤리교육연구 74호] 통일교육의 인문학적 자원으로서 『장자』의 타자론 / 황인석 (2024.10)
▫️[윤리교육연구 74호]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재구성과 초등도덕과 통일교육 수업모형 개발 / 박소영, 김홍수 (2024.10)
▫️[국제지역연구 28권 4호] 통일문제 이해도의 주관적 인식: 배경 및 효과 / 김재한 (2024.10)
▫️[교육문화연구 30권 5호] 학교 통일교육의 통일담론에 관한 연구: 고등학교 [생활과 윤리]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/ 김상무 (2024.10)
▫️[경관과 지리 34권 3호] 대학생의 통일과 북한인식에 관한 연구: 통일부 통일특강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/ 신애경, 이혁진 (2024.09)
▫️[음악과 현실 68호] 창작오페라 《임주섭의 “영천아리랑”》 연구: 로컬적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/ 류영욱, 정효인 (2024.10)
▫️[한국체육사학회지 29권 3호] 북한 탁구의 변천사 / 현주 (2024.09)
▫️[한국대기환경학회지 40권 5호] OCO-2 위성자료와 딥러닝을 이용한 한반도 XCO2 모니터링과 예측 / 이권호, 김관철 (2024.10)
▫️[환경정책 32권 3호] 김정은 시기 북한의 국내 기후변화 연구와국제 연구 협력 동향: 연구 주제 분석 / 윤순진, 김은진, 박정현 (2024.09)
▫️[한국과 국제사회 8권 5호] 성경 속 전쟁 분석이 한국군 비대칭 전략에 주는 함의: 형태별 비대칭 전략을 중심으로 / 김미정, 김광현 (2024.10)
[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]
▫️[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회의] 숫자에 가려진 핵무장 여론의 실체 (2024.10.10)
▫️[제26차 평화학포럼] 한반도 밖에서의 탈분단 실험과 공존: 영국 뉴몰든 한글학교를 사례로 / 이향규 (2024.10.24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방위산업의 미래, K-방산의 글로벌 성공 스토리 / 김동범 (2024.10.07)
▫️두개의 전쟁이 보여준 진실…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/ 유기현 (2024.10.21)
▫️김정은의 자충수? 신의 한수? 북한 특수부대의 러시아 파병, 과연 어떤 결과를 낳을까 / 이호령, 두진호 (2024.10.24)
▫️화성-19형 시험발사 성공…북한 미사일 기술의 현주소는? / 신승기 (2024.11.08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[통일연구원]
▫️[연구총서] 2025년 북핵 쟁점: 군축・군비통제 담론 대응 중심으로 / 정성윤, 백승준, 이중구 (2024.10.24)
▫️[정책연구시리즈] 통일의 정치사상적 기초: 자유, 민주주의, 인권에 입각한 통일 이론의 의미와 쟁점 / 홍철기 (2024.10.31)
▫️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의 전략적 의도와 향후 전망 / 홍민 (2024.10.29)
▫️[온라인시리즈] 트럼프의 귀환과 한반도: 시사점과 대응 방향 / 정성윤, 김민성, 백승준 (2024.11.06)
▫️[통일연구 브리프] 통일연구 브리프 2024년 09월/10월호 Vol. 6 / 통일연구 브리프 편집위원회 (2024.10.24)
▫️[이슈브리프] ‘국군의 날’ 기념행사에 대한 북한의 비난 의도 / 임수진 (2024.10.10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 최고인민회의 14기 11차 회의 결과와 함의 / 이기동, 고재홍 (2024.10.11)
▫️[이슈브리프] 하이브리드 위협 대응을 위한 정책 고려사항 / 김소정 (2024.10.15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군의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파병 배경 및 함의 / 임수진 (2024.10.22)
▫️[이슈브리프] 필리핀의 남중국해 전략과 역내 질서에 대한 함의 / 유현정 (2024.10.30)
▫️[이슈브리프] 최근 북한의 해킹 공격 사례와 대응 방향: 보안 솔루션 구축과 경각심 제고 / 정준오 (2024.10.31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군 러시아 파병의 의미와 쟁점 / 최용환 (2024.11.01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 비핵화에 대한 두 가지 접근법 / 임수호 (2024.11.07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군 러-우전쟁 파병의 지정학적 의미 분석 / 김성배 (2024.11.07)
▫️[이슈브리프] 트럼프 포비아 평가와 시사점 / 김태주 (2024.11.08)
▫️[전략보고] 독일의 핵억지력 전략 (Nukleare Abschreckungsstrategie) 쇄신과 정책적 시사점 / 임태훈 (2024.10.18)
▫️[전략보고] 미중갈등에 따른 태평양도서국의 진영화와 한-태평양도서국 전략 / 주동진 (2024.10.29)
▫️[전략보고] 북한인권 증진과 통일 문제 연계 전략: 배경과 과제 / 김원식 (2024.11.04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[IFANS FOCUS] The Implications of the Assassination of Hezbollah Leader Hassan Nasrallah: Escalation of the Israel vs. Iran Game / 인남식 (2024.10.08)
▫️[IFANS FOCUS] Deployment of DPRK Troops to Russia: Implications under International Law / 남승현 (2024.11.08)
▫️[IFANS PERSPECTIVES] Revisiting North Korea’s “Two Hostile States” Doctrine: Based on the Kim Il Sung Text / HWANG Ildo (2024.11.06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북·러 동맹과 한국의 정책 / 최우선 (2024.10.25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미국 차기 행정부의 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 / 이효영 (2024.10.25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최근 사이버 위협 실태와 한국의 인태 사이버 안보 외교전략 / 송태은 (2024.10.29)
▫️[동북아안보정세분석(NASA)] 북한 헌법 개정과 남북관계 단절: 북한의 예상 행동과 한국의 대응 방향 / 전경주 (2024.10.22)
▫️[동북아안보정세분석(NASA) 북한 특수작전군 파병부대의 예상 임무와 한국의 대응 방향 / 전경주, 두진호 (2024.11.07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최근 북한의 재난 재해 상황 및 대응: 2024년 북한 수해를 중심으로 / 강민조 (2024.10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7월 압록강 홍수량 및 홍수범람 범위 추정 / 김주훈 (2024.10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글로벌 기후 위기와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 동향 / 이경희 (2024.10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북한의 농업 기상과 식량 작물 작황 / 김영훈 (2024.10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최근 북한의 수해와 농업생산 전망 / 김혁 (2024.10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북한의 자연재해 및 피해 실태 / 김지윤 (2024.10)
[세종연구소]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북중관계에서 동맹과 북핵문제: 중국의 시각 / 짱롱판 KT&G 차이나 펠로우 (2024.10.11)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통합억제 관점에서 본 북핵 억제 방안 / 신범철 (2024.10.14)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美 대선 이후 북한의 핵위협 예상 행보와 우리의 대응 방안 / 조장원 (2024.10.22)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일본의 이시바 신내각 출범: 배경 및 그 함의 / 이면우 (2024.10.24)
▫️[세종포커스]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 2024의 결과분석과 시사점 / 이면우 (2024.10.10)
▫️[세종포커스] 북한의 ‘두 국가 선언’에 대응한 ‘하나의 한국 정책’ / 전성훈 (2024.10.21)
▫️[세종포커스]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군사적 특성 및 시사점 / 조장원 (2024.11.04)
▫️[세종포커스]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북핵정책과 북·미 핵군축협상 전망 / 전성훈 (2024.11.07)
[아산정책연구원]
▫️[이슈브리프] 2024년 미국 대선 후보 안보 분야 공약의 특징과 의미 / 양욱, 최완규 (2024.10.14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과 대남 적대감 고취: ‘적대적 두 국가관계’ 규정의 딜레마 탈출 시도 / 차두현 (2024.10.22)
▫️[이슈브리프]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 방향: 국제해양법재판소(ITLOS)의 ‘기후변화에 관한 권고적 의견’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/ 신소현, 임정희, 이신형 (2024.10.22)
▫️[이슈브리프] South Korea’s Pacific Islands Strategy and Cooperation with Like-minded Partners / 피터 리, 김민주 (2024.10.28)
▫️[이슈브리프] 중국의 핵전력 강화와 한국안보에의 영향 / 양욱, 이만석 (2024.10.30)
▫️[이슈브리프] 한-아세안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수립: 배경, 의의와 향후 과제 / 이재현 (2024.11.06)
▫️[이슈브리프]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 및 우리의 대응방향 / 차두현 (2024.11.08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[EAI 이슈브리핑] 2024 한국인의 핵무장 지지 분석: 워싱턴 선언의 안심 효과 사라졌나? / 김양규 (2024.10.22)
▫️[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] 서론: 변화를 원하는 유권자, 변하지 않는 자민당과 야당 / 손열 (2024.10.31)
▫️[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] ① 탈 아베 시기 진입과 정치 쇄신 압력 속 이시바 정권의 딜레마 / 이주경 (2024.10.31)
▫️[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] ② 자민당 정치의 위기: 장기집권, 정치자금, 정치개혁 / 김성조 (2024.10.31)
▫️[2024 일본 선거 이슈브리핑] ③ 이시바 자민당의 ‘지키다’ 지향과 경제정책의 향배 / 이정환 (2024.10.31)
[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[평화통일논평] 북한의 ‘적대적 두 국가론’과 동독의 ‘두 국가론’ / 박성열 (2024.10.16)
▫️[KPI 이슈브리프] 북한선교를 넘어 한반도선교로 / 김의혁 (2024.10.30)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