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구독하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3월호
2022. 3. 13.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3월호
웹에서 보기
▍
KPI OLIVE LETTER는 연구자 및 학술 관심자를 위해 북한
∙
통일 분야 학술논문, 한반도 관련 주요 언론기사, 학술회의 영상, 단행본 신간 등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료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월간 뉴스레터 서비스입니다.
[통일과 법률 49호] 2022.02
▫️ 서해 5도의 남북공동어로구역 설정을 위한기준과 과제 / 김민배
▫️ 북한 주민의 법적 지위에 대한 고찰 - 이중적 지위의 관점에서 - / 이규창
▫️ 북한주민의 재산관리 종료 절차에 대한 논의 / 이은정
▫️ 북한 부동산관리법에 투영된 북한 민법의 특징과 평가 / 김영규
[한국과 국제사회 6권 1호] 2022.02
▫️ 남북한의 '평화' 개념 비교연구: 사회사적 의미론을 중심으로 / 권지민
▫️
남북한 산림 분야 교류 협력 성과와 협력 과제 / 김재기, 양용환
[국가전략 28권 1호] 2022.02
▫️ 한국형 전략사령부 창설 방안의 모색 / 정경운
▫️ 1991년 남북 단일팀 성사와 단절에 관한 고찰: 제41회 지바 세계탁구선수권대회를 중심으로 / 최진환
[인문사회 21 13권 1호] 2022.02
▫️ 탈북여성의 학부모 경험과 정체성 타협에 관한 연구 / 김수경
▫️ 북한이주여성 청년들의 행복경험에 관한 FGI 연구 / 전주람, 이재영
[한국언론학보 66권 1호] 2022.02
▫️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지난 23년간 ‘북한이탈주민’을 어떻게 보았는가?: ‘북한이탈주민’, ‘탈북민’, ‘새터민’ 관련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/ 박종민, 주호준, 정영주, 김현우
[국토계획(JKPA) 57권 1호] 2022.02
▫️ The Analysis of the Industrial Structures of Pyongyang / 안형준, 이영성, 김현수, 채호동
[대한건축학회 38권 2호] 2022.02
▫️ 북한 명산의 정치적 표상 재편과 금강산의 변화, 1945-1998 / 성나연, 전봉희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토지공법연구(KPLLR) 97권] 남북한 의료법제의 비교와 통일의료법 제정 방안 연구 / 최용전
▫️
[법학논총 34권 3호] 남·북한 형법 통합의 전제조건과 방향 / 최진호
▫️ [인문과학연구 34호] 북한 조선소년단의 표상 연구 / 키다에미코
▫️ [서울과 역사 110호] 북한의 서울점령기 인민군 원호사업과 군기기금헌납운동 / 김선호
▫️
[교육문화연구 28권 1호]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김정은 시기 북한의 초·중등 교육 특징 분석:「인민교육」을 중심으로 / 이건웅, 차성현
▫️
[선교신학 65호] 탈북 기독교인의 주체사상 극복에 대한 연구: 근거이론(Grounded Theory) 연구 접근 / 박병애
▫️ [아동과 권리 26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의 아동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: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/ 임세와, 양옥경
▫️
[J Korean Acad Nurs 52권 1호] 북한이탈여성의 건강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/ 임세미, 강윤희
▫️ [한국웰니스학회지 17권 1호] 북한이탈주민 관련 학위논문 동향 분석 / 오태봉, 이희주
▫️ [사회복지실천과 연구 19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문화적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-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- / 박서희, 조영실, 김욱
▫️ [지식정보기술논문지 17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디지털 조력이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/ 이홍재, 박미경, 한수영
▫️ [국가와 정치 28권 1호] 스나이더의 ‘안정-불안정 역설’ 재해석 및 변형된 사례 연구: 카르길 전쟁과 연평도 포격전 사례를 중심으로 / 이선희
▫️ [재외한인연구 56호] 저출산고령사회 대안 모색 기획연구, 남북공생을 위한 재일코리안과 북한이탈주민의 역할 (가능성)에 대한 탐색적 연구 / 황혜경, 전호성
▫️
[횡단인문학 10호] 남북한 동질화(同質化) 지표개발을 위한 예비적 고찰 / 오윤정
▫️ [동양미술사학 14권] 비반복적 본색과 예술적 필치 -1970년대 북한의 조선화 형식론- / 홍지석
▫️
[동양미술사학 14권] 아시아 5개국 재외 한인 미술의 정체성 -≪코리안 디아스포라, 이산을 넘어≫전 사례를 중심으로- / 박본수
▫️ [몽골학 68호] 몽골의 대북 원조에 관한 연구 -1950년대를 중심으로- / 오미영
[강원도, 평창군, 한국국제협력단(KOICA), 2018 평창기념재단] 2022 평창평화포럼 '종전선언과 그 너머 (The Declaration to End the Korean War and Beyond)' (2022.02.22-24)
▫️ [세계인터강원협력네트워크(GIG)발족식] 인터강원과 세계 / 최영한, 안드레아스 윌랜드, 찰리 라멘토, 그레이스 하몬, 아이린 스퀼라치, 댄 샤함, 죠슈아 뭉크자갈, 로빈다르 사츠데보, 이부 하나, 캘빈 추아
▫️ [특별주제세션 1]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과 남북 평화증진방안 / 베른하르트 젤리거, 김경성, 마고매드 막디브, 이양구
▫️ [파트너세션 9] 한미 평화전략 온라인 세션 / 김우상, 신경수, 영 김, 루이스 페인, 존 파소
▫️
[평화공공외교세션 1] ‘평창 평화정신’과 공공외교 / 류태경, 정기웅, 문경연, 김태균, 송진호, 김성규
▫️
[평화공공외교세션 2] 한미수교140주년과 한반도 및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전략 / 윤영관, 김창수, 안인해
▫️ [DMZ평화지대세션 1] DMZ 평화지대와 그린 데탕트 / 안병진, 코스타스 콘스탄티누, 정욱식, 이영주
▫️ [UN SDGs 세션 1] 접경지역에서의 개발-환경-평화 넥서스 접근 방안 모색 / 싱고 스티픈 므와초피, 패트릭 미한, 김보경, 김영완, 임시정, 소예니, 송수전
▫️ [UN SDGs 세션 2] 2022년 글로벌 평화 도전과 과제 / 패트리샤 가르시아, 찰리 앨런, 이누즈카 타다시, 알렌 워어
▫️ [경제세션 1]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을 통한 남북관광실현과 수익모델 / 박경만, 심상진, 짐 로저스, 이철진
▫️
[경제세션 2] 남북철도 연결, ‘철도가 가면 평화가 온다’ / 나희승, 이정철, 프랑소와 다벤느, 아틸라 키쉬, 허영
[통일연구원, 국가안보전략연구원, 국립외교원] 남북기본합의서 발효 30주년 기념 학술회의 (2022.02.21)
▫️
남북기본합의서 발효 30년: 평가와 전망 / 김연철, 이상근, 이제훈, 진희관, 이정철, 홍민, 최용환, 이상숙
[대외경제정책연구원] 2022년 상반기 KIEP 한반도 신경제 국제 세미나 (2022.02.24)
▫️
미래의 한반도 평화·안보 구상: 대북제재, 코로나, 기후변화 / Gary Clyde Hufbauer, 김준형, Joseph Yun, 이정철, 이종규, 최장호, Justin Fendos, 장영욱, Hazel Smith, 김정연, Thomas Byrne, 엄주현, 김다울, 김세진, 문경환, 최용호, 노동운, 나용우
[그 외 학술회의/동영상]
▫️ [통일연구원] 2022 한반도 연례정세전망 (통일부 출입기자단 초청 간담회) / 이상신, 홍제환, 이기태, 이우태 (2021.12.15)
▫️ [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] 제84차 통일학포럼 'MZ세대의 통일의식' / 김성희 (2022.01.19)
▫️ [공감한반도연구회] 제2회 공감세미나 '최적의 대한민국 대북·대중 정책을 찾아서' / 김병연, 김창범, 김천식, 김태효, 김홍균, 박철희, 신각수, 우정엽, 유성옥, 윤덕민, 조태용 외 (2022.02.16)
▫️ [민주평통] 한반도 정세와 한국 주식시장의 연관성은? | 한반도정세, 한국경제 그리고 주식시장 / 김광석 (2022.02.22)
▫️ [세종연구소] 제3차 세종국방포럼 '선제타격·사드 논란과 북핵 대응 전략의 재점검' / 김정섭, 신범철 (2022.02.23)
[
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 332호] 유엔과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단절 배경과 전망 / 이지선 (2022.02.25)
▫️ [전략보고 157호] 신정부 남북경협 정책 입안 時 몇 가지 고려사항 / 임수호 (2022.02.22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01] 남북 ‘9.19 군사합의’의 유지 및 발전 전망 / 고재홍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03] 북한의 핵개발 전략 변화: 냉전기에서 핵무력 완성기까지 (1948-2017) / 김보미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05] 한반도 복합 평화론: 평화 동력의 상호연계를 위하여 / 김원식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06] 제8차 노동당 대회와 북한 정치: 통치이념, 전략노선, 권력구조를 중심으로 / 김일기, 김호홍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10] 김정은 시대 권력구조 재편과 김정은의 통치구상 / 안제노, 이수석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14] 북한의 대외·대남전략 경로변경의 정치 동학 / 이수석, 안제노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15] 북한 경제전략 변화의 정치동학: 이데올로기, 이익갈등, 경제정책 / 임수호 (2022.02.25)
▫️ [연구보고서 2021-19]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/ 최용환 (2022.02.25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 [기타보고서] Dialogue on the North Korean Economy, February 2022 / 이석기 (2022.02.07)
▫️
[북한경제리뷰 2022년 1월] 2021년 북한의 거시경제 분석과 2022년 전망, 지속된 코로나19와 북한의 대외무역: 2021년 북한의 대외무역 평가, 2021년 북한의 산업 및 실물 동향, 최근 북한의 정책대응 동향과 전망, 최근 북한의 식량·농업 상황과 전망, 2021년 북한의 시장 물가 및 환율의 추세와 특징 / 이석 외 (2022.02.10)
▫️
[Working Paper] Marketization during Kim Jong-un’s Era / 김병연 (2022.02.24)
▫️
[북한경제리뷰 2022년 2월] 2022년 남북관계의 전망과 정책적 고려사항, 북미간 전략경합과 2022년 남북관계. 2022년 남북 군사관계의 전망과 정책적 고려사항 / 조동호 외 (2022.02.28)
[통일연구원]
▫️ [현안분석]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6차 회의 분석 / 홍민, 홍제환, 최지영 (2022.02.10)
▫️ [KINU한반도동향] 2022년 1월 / 장철운, 김혜민, 서양아, 김소연, 권주현, 김아영, 윤훈희, 용혜민, 탁민지 (2022.02.10)
▫️ [현안분석] 최근 북한 법제정비 특징과 의미 -재산집행법, 육아법, 해외동포권익옹호법- / 이규창 (2022.02.23)
[세종연구소]
▫️ [정세와정책 2022-2월호 제10호] 북한의 미사일 연속 시험발사 배경과 한반도 정세 전망 / 정성장 (2022.01.28)
▫️ [세종정책연구 2021-09] 탈냉전기 정부별 대북정책 평가와 향후 개선방안 / 홍현익 (2022.02.07)
▫️ [중앙일보] 에버라드, 북한이 미사일을 쏘아대는 이유(에버라드 칼럼) (2022.02.04)
▫️ [국민일보] 윤상혁, 북한에서 기독인으로 산다는 건… 말 아닌 삶으로 드리는 예배”(저자와의 만남) (2022.02.04)
▫️ [중앙일보] 윤석열, 비핵화에 단호한 尹 “북, 제재 완화 원하면 사찰부터 수용해야”(단독 인터뷰) (2022.02.09)
▫️ [연합뉴스] 문재인, 문대통령 서면인터뷰…"군사대결 대신 대화·외교 가장 큰 보람" (2022.02.10)
▫️ [중앙일보] 시그프리드 헤커, “북, 바이든 임기 말 핵무기 65개 보유 가능” (2022.02.15)
▫️ [경향일보] 백학순, 북·미 충돌과 차기 한국정부의 선택(정동칼럼) (2022.02.15)
▫️ [연합뉴스] 킨타나 "대북전단살포금지법 처벌 수위가 문제"(일문일답) (2022.02.19)
▫️ [조선일보] 김병연, “복잡한 정책 문제, 정치인이 한방에 해결할 순 없어” (2022.02.23)
▫️ [동아일보] 남성욱, 길잃은 문재인 정부 대북 유화정책 5년, 백서 만들어 귀감 삼아야(화정안보인터뷰) (2022.02.24)
▫️ [중앙일보] 에버라드, 북한의 괴이한 정치의식, 주민들은 어찌 볼까(에버라드 칼럼) (2022.02.25)
▫️ [연합뉴스] 콜린 크룩스, '코로나 봉쇄' 평양 있었던 새 英대사 "대북 백신지원 성사되길"(인터뷰) (2022.02.25)
▫️ [중앙일보] 최문순, ‘평화도지사’ 최문순의 남북관계 해법(월간중앙 파워 인터뷰) (2022.02.26)
▫️ [아시아경제] 김성한, "한번 대화로 인센티브 안돼…北과 상시채널 구축"(여야 외교책사 인터뷰) (2022.02.28)
▫️ [아시아경제] 위성락, "北, 스냅백 통해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야"(여야 외교책사 인터뷰) (2022.02.28)
▫️ 『김근식의 대북정책 바로잡기』 김근식, 책밭, 2022.02.03
▫️ 『잊을 수 없는 생생 6ㆍ25 전쟁사』 정명복, 집문당, 2022.02.10
▫️ 『김정은 시대 북한의 선택 : 10년의 변화 10개의 키워드』 겨레하나 평화연구센터, 길그림, 2022.02.14
▫️ 『하노이의 길 : 엇갈린 남·북·미의 선택』 라종일 외, 파람북, 2022.02.20
▫️ 『한반도 평화대전략』 백학순, 세종연구소, 2022.02.21
▫️ 『한반도 열차, 시베리아 대륙횡단 철의 실크로드의 길을 찾아서 : 세계 곳곳을 누비며 하나 된 한반도 속에서 물류 허브 국가를 꿈꾸며!』 왕정환, 생각나눔, 2022.02.23
▫️ 『질서의 충돌, 움직이는 패권』 통일연구원 외, 박영사, 2022.02.25
▫️ 『(12개 주제로 생각하는)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』 진희관 외, 박영사, 2022.02.25
▫️ 『한반도의 평화문학을 상상하다 : 21세기 북한문학의 현장』 오태호, 살림터, 2022.02.25
〈올리브레터〉구독신청
〈올리브레터〉의견남기기
💡
더 조사가 필요하거나 추가할만한 학술지가 있다면
본 설문
에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.
💾
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로 지난호 다시보기
❝
한반도평화연구원은 평화의 한반도를 앞당기기 위해
연구하고 전파하고 교육하는 일을 계속하면서
연구자들과 현장활동가, 관심자 분들을 돕겠습니다.
❞
사단법인 한반도평화연구원
kpi@koreapeace.or.kr
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27 하늬솔빌딩A 403호
02-744-7109
수신거부
Unsubscribe
공유하기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
구독하기
이전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특별판 : 2021 국책연구기관 연구물
2022. 2. 24.
다음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4월호
2022. 4. 11.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