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구독하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7월호
2022. 7. 12.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7월호
웹에서 보기
▍
KPI OLIVE LETTER는 연구자 및 학술 관심자를 위해 북한
∙
통일 분야 학술논문, 한반도 관련 주요 언론기사, 학술회의 영상, 단행본 신간 등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료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월간 뉴스레터 서비스입니다.
[북한학연구 18권 1호] 2022.06
▫️
북한 '사회주의 기업 책임관리제'의 추진과정과 특징 / 추석용
▫️
북한 '인프라스트럭쳐' 연구의 확장 가능성과 예시: 포스트 사회주의 인프라 연구 동향과 북한 연구에의 시사점 / 박민주
▫️
김정은 시기 북한 관광지구 개발 사업의 목표와 위기 대응 / 장영덕, 류경아
▫️
전환기 정의(Transitional Justice) 이론으로 본 전시 납북자 문제: 성과와 한계 분석 / 남기정
[국가안보와 전략 22권 2호] 2022.06
▫️
미국의 파트너십 확대를 통한 대(對)중국 견제 전략과 함의 / 이홍정, 임경한
▫️
미・중 복합 지정학적 갈등과 러시아의 전략적 입장 및 대응 / 서동주
▫️
한국의 재래식 전력의 한반도 억제태세 기여와 역할: 확장억제 신뢰성 제고를 중심으로 / 함형필, 이만석
[국제・지역연구 1권 2호] 2022.06
▫️
한・중관계 30년의 분석과 평가 / 조영남
▫️
한중 외교관계 30년: 회고와 전망 / 김한권
▫️
한중 군사관계 30년: 회고와 전망, 그리고 발전방안 / 박창희
[아세아연구 65권 2호] 2022.06
▫️
한국의 핵무장 가능성 / 박용수
▫️
북한 협동농장 개혁에 대한 고찰: 협동농장 경영방식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/ 정은찬
▫️
1960년 전후 북한의 고대 '조일' 관계사 연구: '남선경영론'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/ 조인성
[한국과 국제정치 38권 2호] 2022.06
▫️
북한 시장화의 정치학: 김정은 시대, 경제적 변화의 정치적 함의 / 윤철기
▫️
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전략경쟁: 쟁점과 접점 / 김예경
[동서연구 34권 2호] 2022.06
▫️
대북 경제제재의 효과성 분석: 유엔안보리 대북제재가 경제-핵무력 병진노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/ 조선빈, 김용호
▫️
South Korea’s Evolving Balanced Diplomacy and China: A Discourse and Big Data Analysis of President Moon Jae-in’s Perception / 황수영, 서승원
[통일교육연구 19권 1호] 2022.06
▫️
강원도 특성을 반영한 평화・통일교육 프로그램 발전방안 / 하상섭
▫️
보이텔스바흐 합의 원칙에 따른 학교통일교육 발전방안 연구 / 최슬기
▫️
한반도 통일교육의 전개와 실천 방안 / 박찬석
▫️
성인 학습자 참여 동기 증진을 통한 평화・통일교육 방안 연구 / 이인정
▫️
Lisa Feldman Barrett의 정서 구성주의 기반 초등 통일정서교육 / 강혁
▫️ '
탈북청소년'이라는 범주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/ 김정원
▫️
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시민권에 관한 연구 / 이탁연, 강진웅
[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31권 1호] 2022.06
▫️
Tasks of North Korea Policy of the Yoon Suk-yeol Government: Déjà vu or a New Paradigm / 박종철
▫️
U.S. Policy of the New South Korean Government: Outlook and Implications / 박인휘
▫️
The China Policy of the Yoon Government and South Korea-China Relations / 김흥규
▫️
Conceptualizing India-Pakistan Competing Counterforce Strategies and Possibility of Conflict in South Asia / Zafar Khan
▫️
The Discourse of the Socialist Grand Family Seen through the North Korean Film "Our Family's Problem" and "Our Family's Problem Begins Again" / 박수진
▫️
Middle Power Diplomacy and North Korea Revisited / Jeffrey Robertson
▫️
How the Ukraine War Transforms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Agenda / Richard Weit
z
▫️
The Two Plus Four Treaty and Korean Unification/ Susanne Pittelkow / 민인영
[한국군사학논집 78호] 2022.06
▫️
게임이론을 적용한 단계적 동시교환 원칙의 비핵화 로드맵 연구 / 이상규
▫️
대남도발에 대한 강경대응전략의 실효성: 인도-파키스탄 사례를 중심으로 / 김창준, 박성수, 권성진
▫️
제2차 세계대전시 독일의 패전요인 고찰: 무기체계 연구개발 및 전시생산체제를 중심으로 / 이강경, 김금률, 김현식, 문용득
▫️
전작권 전환정책 변동요인 분석 / 신승규
▫️
한국 국방예산의 결정요인 분석 / 임준오, 박종구
[군사연구 153호] 2022.06
▫️
한국 군사전략의 변천과 발전방향 / 김희수
▫️
제2차 세계대전시 미・영 연합군의 승전 요인 고찰: 무기체계 연구개발 및 전시생산체제를 중심으로/ 이강경, 황수현, 문은석
[군사 123호] 2022.06
▫️
6・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및 유품의 사료적 가치 검토 / 고종성
▫️
퍼트넘의 양면게임이론에 근거한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에 관한 재조명: 협상전략과 윈셋의 변화를 중심으로 / 박재홍
[한국학 45권 2호] 2022.06
▫️
북한 고등학교 『조선력사』 교과서 '머리말~발해와 신라' 부분의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 고찰 / 박찬흥
▫️
1970~1980년대 북한의 병자호란 인식과 역사서술 / 장정수
▫️
과학에서 문학으로: 1950~1960년대 초 북한에서 항일무장투쟁사 교육의 변화 / 조수룡
[역사와교육 34호] 2022.05
▫️
북한 역사교과서의 9세기 농민항쟁 서술과 중세사 이해 / 이정빈
▫️
북한 교육의 학생층 포섭 전략과 역사의 재해석 / 김재웅
[초등도덕교육 78호] 2022.06
▫️
공감의 신경과학적 이해에 기초한 초등학교 평화・통일교육 방향 / 박형빈
▫️
도덕교육에서의 화쟁회통 통일교육 방안연구 / 신동의
▫️
존슨의 평화교육에 대한 비판적 평가 / 최윤정
[인문사회 13권 3호] 2022.06
▫️
김정은 집권 10년간 북한군의 변화에 관한 연구 / 이영철
▫️
예비유아교사의 통일인식과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유아통일교육에 대한 요구 / 이지영, 김희영
[한국도서관・정보학회지 53권 2호] 2022.06
▫️
남북한 도서관의 중장기 교류협력 방안 연구 / 조현성, 전영선, 김소연, 김태경, 최재황
▫️
개정된 북한도서관법의 변화와 특징 분석 / 최재황, 양세라
[겨레어문학 68호] 2022.06
▫️
자막의 세계, 북한 조선어 보기와 초국적 공동체에 관한 상상 / 전우형
▫️
송영 극작술의 변곡점과 관통선: 천리마시대의 문학과 <박연암>의 징후적 독해 / 이광욱
[대동문화연구 118호] 2022.06
▫️
월남 학병세대 선우휘의 이광수 표상: 단편 「黙示」(1971)를 중심으로 / 최주한
▫️
2017년 북한 핵실험과 혐오정치, 김정은, 트럼프, 극우-요나스 요나손, 《핵을 들고 도망친 101세 노인》(2018) / 이행선
[신앙과 학문 27권 2호] 2022.06
▫️
탈북민 목회자들의 회심에 대한 콜라지(Colaizzi)의 현상학적 연구 / 박병애
▫️
독일통일과정에서의 동서독교회의 역할을 통해 본 북한 교회 세우기의 과제 / 송훈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2022.05-06
▫️
[한국여성학 38권 2호] 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: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 / 김성경 (2022.06)
▫️
[비교경제연구 29권 1호]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형성요인 / 김성희, 정승호, 김병연
▫️
[코기토 97호] 경계에서 이야기하기: 탈북여성의 자기서사와 '다른' 고백의 정치 / 김경연, 황국명 (2022.06)
▫️
[정신건강과 사회복지 50권 2호]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자살 생각과 시도의 위험요인: 자살의 대인관계이론을 중심으로 / 남보영, 신자현 (2022.06)
▫️
[한국해양경찰학회보 12권 2호] 북한이탈주민의 경제범죄 피해 경험이 행동 및 심리적 대응방식에 미치는 영향 / 최영관, 박성철 (2022.05)
▫️
[인간발달연구 29권 2호] 북한이탈주민의 노년의 삶 경험 연구 / 배미랑 (2022.06)
▫️
[한국학연구 81호] 재일조선인과 탈북자, 그들의 '경계': 디아스포라에게 '국가'라는 물음 / 김미영 (2022.06)
▫️
[국제관계연구 27권 1호] 한국 정치사회의 통일노선 계보: 지속과 변화 / 엄상윤 (2022.06)
▫️
[이베로아메리카 24권 1호] 한국-쿠바 국교 정상화: 북방정책과의 연계 / 정기웅 (2022.06)
▫️
[신아세아 29권 2호] 1970년대 미중 데탕트와 남북공동성명 / 엄정식 (2022.06)
▫️
[중국학연구 100호] 한중 ‘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’의 딜레마: 한중수교 30년의 평가 / 이희옥 (2022.05)
▫️
[동북아역사논총 76호] 중국의 '백두산공정'과 대응 / 문상명 (2022.06)
▫️
[한국군사 11호] 북한의 전략적 도발과 대응방향 / 문성묵 (2022.06)
▫️
[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23권 2호] 국제사회 극체제 변화 속 북한 국방력 강화가 북한 안보-경제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 / 하상섭 (2022.06)
▫️
[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권 6호] 극초음속미사일 위협 감소를 위한 대응 전략 / 류승현, 김동진, 김문국 (2022.06)
▫️
[해양정책연구 37권 1호] 『로동신문』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김정은 시대 수산사업소 정책 연구 / 황주희, 윤인주 (2022.06)
▫️
[국제통상연구 27권 2호] 북한 거울무역통계 활용 및 타당성 검증 방법연구: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력공급량 추정을 중심으로 / 서정민 (2022.06)
▫️
[유라시아연구 19권 2호] SDGs 관점에서 개성공단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: 개성공단의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/ 진윤호 (2022.06)
▫️
[홍익법학 23권 2호] 북한의 사경제활동과 비공식 노동시장화에 대한 제도적 고찰 / 송현욱 (2022.06)
▫️
[법학논집 26권 4호] 북한의 노동력 배분제도 / 이수연 (2022.06)
▫️
[법과정채연구 22권 2호] 통일대비 형법 적용을 위한 법적 동화에 관한 연구 / 최진호 (2022.06)
▫️
[영남법학 54호] 독일에서의 형법적 과거청산에 대한 소고 / 김동률 (2022.06)
▫️
[교정복지연구 78호] 통일대비 남북한 교정행정 개선 방향: 북한 이탈 수용자와 남한 재소자를 중심으로 / 정상규 (2022.06)
▫️
[지질학회지 58권 2호] 구동독광산 구조개편 사례를 통해 본 통일 이후 북한 폐광지역 지원방안 / 임윤구, 정대교 (2022.06)
▫️
[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권 3호] 남북한 도로교 설계기준을 반영한 교량 상부구조 활하중 분석 / 임광모, 김경철, 강재윤, 손민수, 고경택 (2022.06)
▫️
[한국지역지리학회지 28권 2호] 파주의 지정학과 중심지 변동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/ 김지영 (2022.05)
▫️
[고문화 99호]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공간재생 방안: 도봉구 평화문화진지 사례를 중심으로 / 이현정 (2022.06)
▫️
[일본공간 31호] 한류드라마 『사랑의 불시착』에서 나타나는 일본 내 북한 인식의 변화: 일본인 전문가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 / 하승희 (2022.06)
▫️
[열상고전연구 77호] 북한 과학원 기관지 인민창작(구전문학)(1960-1962)의 발간과 개작 양상: 구전문학자료집(설화편)(1964)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/ 김광식 (2022.06)
▫️
[한국어교육 33권 2호] 북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운영 사례 분석 연구: 김형직사범대학교의 ‘조선 교환 장학생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/ 김한근 (2022.06)
▫️
[대한화학회지 66권 3호] 김정은 시대 북한 고급중 1 화학 교과서 시각자료 분석 / Byoung Wook Min, Hyun Ju Park (2022.06)
▫️
[국어교육 177호]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<조선어실천문법(실습생용)> 교재 분석 연구: 김일성종합대학과 김형직사범대학을 중심으로 / 오현아, 전영근 (2022.05)
▫️
[한국문예비평연구 74호] 해방기 북한 토지개혁 소설의 욕망과 농민해방: 토지개혁 초기 소설들에 기입된 서사적 공백을 중심으로 / 임세화 (2022.06)
▫️
[사회과학연구 30권 1호] 젠더 관점에서 본 천리마 시대 여성과 재호명 / 현인애 (2022.06)
▫️
[한국문화연구 42호] 유영준(劉英俊)의 생애와 활동: 신여성 의사에서 좌익 여성운동 지도자까지 / 이희재 (2022.06)
▫️
[영주어문 51호] 남북협상파 문인으로서의 김기림 / 김재용 (2022.06)
▫️
[미술사학보 58호] 초기 북한미술과 소련미술의 영향 관계 연구: 1950년대 유화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/ 안민영 (2022.06)
▫️
[현대미술사연구 51호] Politics of the Thaw at the Crossroads of Internationalism: North Korea and the Art of Socialist Countries Exhibition in Moscow, 1958-1959 국제주의의 기로에 선 해빙의 정치: 북한과 1958-1959년 모스크바 《사회주의 제 국가 조형예술 전람회》 / 이영지 (2022.06)
▫️
[한독사회과학회 32권 2호] 사회주의 국가에서 무용의 의미: 동독과 북한비교 / 현주, 안지호 (2022.06)
▫️
[한국예술연구 36호] 북한판 배뱅이굿 분석 연구: 『력사에 이름을 남긴 음악인들(2)』의 배뱅이굿 이야기를 중심으로 / 정다은 (2022.06)
▫️
[문화와융합 44권 6호] 북한 가야금병창 공연활동에 관한 고찰: 조선문학예술년감(1998-2018) 을 중심으로 / 천주미 (2022.06)
▫️
[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40권 3호] 통일 한국의 새로운 국가상징 제안 연구 / 김온유, 이중섭, 김이연, 이진구 (2022.06)
▫️
[대학과 선교 52호]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신자유주의 체제의 복음화 전략에 대한 비판적 연구 / 송진순 (2022.06)
▫️
[선교와신학 57호] 민족 화해와 통일을 준비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제언: 정류 이상근 박사의 국가관과 통일관을 중심으로 / 강혁 (2022.06)
[한반도평화포럼]
▫️
6・15 남북공동선언 22주년 기념 토론회 "한반도 정세와 초당적 협력 모색" / 이정철, 방인성 (2022.06.15)
[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]
▫️
민화협-국회 동북아평화미래포럼 "6・15공동선언과 한반도 전환기 평화모색" / 전봉근, 정성장, 유호열 외 (2022.06.15)
[통일연구원]
▫️
통일연구원-GW한국학연구소 공동세미나 "북한의 코로나19 대유행: 공중보건위기 상황의 정치경제" (2022.06.21)
[그 외 학술회의/동영상]
▫️
[숭실평화통일연구원] 2022 국제학술대회 "체제변화와 북한 도시민의 삶" / 김성배, 박성열, 이문영 외 (2022.06.08)
▫️
[평화재단] 2022 평화재단 국제심포지엄 "대전환기, '생명안보'와 '기후평화'의 길을 찾다" / 조한범, 남기정 외 (2022.06.08)
▫️
[한국언론진흥재단] 2022 한미 언론 합동 토론회 "한국의 새정부 출범과 한-미 관계, 대북정책 전망" / 스콧 워커, 홍민, 임상우 외 (2022.06.09)
▫️
[강원연구원] 2022 강원도 평화경제특구 온라인 포럼 "평화경제통일특구 남북협력의 연계 방안" / 이영성 (2022.06.21)
▫️
[외교부] 2022 세계신안보포럼 "신흥안보 위협의 과거와 현재, 그리고 미래" (2022.06.21-22)
▫️
[세종연구소] 제5차 세종국방포럼 "제7차 북한 핵실험과 한미 억제전략의 과제" / 장혁, 김정섭 (2022.06.22)
▫️
[평화드림포럼] 2022 6・25 한반도 평화의 날 포럼 / 한완상 외 (2022.06.23)
▫️
[통일보건의료학회] 2022 통일보건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"북한 주민 및 북한 주민 건강증진을 위한 통일보건의료 최신 연구 동향" / 손인배, 노진원 외 (2022.06.24)
[통일연구원]
▫️
[현안분석] '남북 그린데탕트'를 통한 지속가능한 평화 / 나용우 (2022.06.02)
▫️
[현안분석] 국제사회 북한인권 동향과 대북인권정책 추진 방향 / 김수암 (2022.06.09)
▫️
[현안분석] 윤석열 정부 이산가족정책 추진 방향과 과제 / 이규창 (2022.06.10)
▫️
[현안분석] 다자협력 방식을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/ 최규빈 (2022.06.15)
▫️
[현안분석] 미・중 공급망 경쟁과 한국의 경제안보 외교 / 이재영 (2022.06.16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
[이슈브리프 362호] 2022년 한미정상회담과 글로벌 중추국가: 억지, 경제안보, 글로벌 기여의 실행력을 위한 전략적 고려사항/ 김경숙, 홍건식 (2022.06.02)
▫️
[이슈브리프 363호] 나토가 대통령을 정상회담에 초청한 배경과 한국-나토 협력 방향 / 이수형, 김성배 (2022.06.08)
▫️
[이슈브리프 364호] 조선노동당 8기 5차 전원회의 결과와 의미: 심각한 상황 인식과 부족한 대책 / 이상근 (2022.06.13)
▫️
[이슈브리프 365호] 북한 대남・대미 부문 책임자 교체의 의미: 대화를 위한 준비인가? 경색국면의 지속인가? / 김종원 (2022.06.15)
▫️
[이슈브리프 366호] 김정은 시대 과학인재들의 약진과 북한 과학기술의 딜레마 / 변상정 (2022.06.15)
▫️
[이슈브리프 367호] 한미 정상회담과 IPEF: 미국의 의도와 한국의 전략적 과제 / 김태주, 김종원 (2022.06.17)
▫️
[이슈브리프 368호] 북한 당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3차 확대회의 결과와 의미 / 김보미 (2022.06.28)
[세종연구소]
▫️
[세종정책브리프 2022-10] 북한 코로나19 대응 방역 현황과 대북 보건의료 지원방향 / 황나미 (2022.06.02)
▫️
[정세와 정책 2022-6] 한・미・일 안보협력 전망: 동력과 한계, 바람직한 접근방향 / 차두현 (2022.06.02)
▫️
[정세와 정책 2022-6] 제4차 QUAD 정상회의의 결과와 시사점 / 김기범 (2022.06.02)
▫️
[정세와 정책 2022-6] 한미정상회담 성과와 과제 / 이대우 (2022.06.02)
▫️
[연구보고서] 2021 세종-EU 세미나 연구결과 보고서 (2022.06.13)
[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]
▫️
[주요국제문제분석] 한미정상회담 분석 / 김현욱 (2022.06.13)
▫️
[주요국제문제분석] 미일정상회담 평가 및 전망 / 조양현 (2022.06.16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미일 정상회담의 평가와 안보적 함의 / 장혜진 (2022.06.10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쿼드 정상회의의 결과와 한국 국방전략에 대한 함의 / 김기범 (2022.06.17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2022년 제19회 샹그릴라 대화의 주요 특징과 함의 / 권보람 (2022.06.23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미국의 2022년도 전반기 전략동향 분석 / 강석율 (2022.06.24)
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]
▫️
[IFES Brief]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5차 전원회의 평가 / 김상범 (2022.06.14)
▫️
[IFES Brief] 이란 핵 협상 동향 평가와 한국에 주는 시사점 / 이병철 (2022.06.24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
[KDI 북한경제리뷰 2022년 6월] 북한경제, 위기와 코로나19 그리고 다음은?, 코로나와 성장률: 중국 동북3성 vs. 북한 / 이석, 전선미 (2022.06.30)
[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
[북한도시브리프 4호] 북한도시 주요 동향, 북한 도시와 일상연구소식, 북한도시 Focus: 평양의 밤문화 대동강구역 식당가의 불법심야영업 사례, 북한주요도시 시장물가 지표 (2022.06.09)
[서울대 아시아연구소]
▫️
[아시아브리프] 독일통일 30년이 한국에 주는 교훈 / 류우익 (2022.06.27)
[한국수출입은행]
▫️
[연구보고서]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북한개발협력 / 북한・동북아센터 (2022.05.16)
[한반도 동향 관련]
▫️
[통일부]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2년 6월
▫️
[통일부] 월간북한동향 2022년 6월
▫️
[KINU한반도동향] 2022년 5월 / 장철운,김세라,안정은,권주현,김아영,윤훈희,용혜민,탁민지 (2022.06.09)
▫️ [중앙일보] 박명림, 나라의 비약을 생각한다 (중앙시평)(2022.06.01)
▫️ [조선일보] 남성욱, '코로나 대동란'에 도발 수위 올린 北, 미사일로 방역 실패 가리기 (한반도워치)(2022.06.06)
▫️ [경향신문] 이정철, 경제안보라 쓰고 안보경제로 읽어서야 (정동칼럼)(2022.06.07)
▫️ [VOA] 자라테 전 차관보, "제2 BDA 조치, 암호화폐 분야서 가능…유엔 제재 한계로 민간 역할 중요" (인터뷰)(2022.06.10)
▫️ [중앙일보] 신봉길, 북핵, 남북한 공존 전제로 새 해법 찾아야 (한반도평화워치)(2022.06.14)
▫️ [경향신문] 백학순, 김대중 대통령과 6・15 남북공동선언 (정동칼럼)(2022.06.14)
▫️ [연합뉴스] 강영식, 북한의 코로나19 상황과 남북 교류의 조건은? (인터뷰)(2022.06.16)
▫️ [중앙일보] 에버라드, 코로나 해결 의지도 전략도 없는 북한 (칼럼)(2022.06.17)
▫️ [동아일보]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, IAEA 총장 "北 풍계리, 연쇄 핵실험 징후" (인터뷰)(2022.06.20)
▫️ [중앙일보] 최윤희, 전작권 전환, 연합 작전능력 확보 때까지 유보해야 (한반도평화워치)(2022.06.21)
▫️ [동아일보] 댄 스미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, "北, 핵탄두 매년 5~10기 만들 능력 갖춰… 이미 20기 이상 보유" (인터뷰)(2022.06.23)
▫️ [VOA] 로리그 해군전쟁대학 교수, "미 20공군 관계자들, 북한 도발 움직임 주시하고 우려… 북한 문제 다양한 관심" (인터뷰)(2022.06.25)
▫️ [한겨레] 정욱식, 미국이 윤 대통령을 나토에 초대한 이유 (칼럼)(2022.06.27)
▫️ [VOA] 제프 화이트, "북 해커들, 조직 범죄자들과 연계…최종 목적지는 무기 프로그램" (인터뷰)(2022.06.28)
▫️
『희망 정거장에 온 아이들』 박경희, 단비, 2022.05.20
▫️
『태평양 시대의 세계패권』 김영호, 뱃길, 2022.05.25
▫️
『북한 개발협력과 SDGs』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, 인간사랑, 2022.05.30
▫️
『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』 박영석 외, 대외경제정책연구원, 2022.06.02
▫️
『북에서 온 이웃』 주성하, 휴먼앤북스, 2022.06.07
▫️
『TV에서 볼 수 없는 북한』 가모시타 히로미, 논형, 2022.06.10
▫️
『국가 생물종 목록집: 북한지역 무척추동물(곤충제외)』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, 휴먼컬처아리랑, 2022.06.14
▫️
『국가 생물종 목록집: 북한지역 균류』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, 휴먼컬처아리랑, 2022.06.14
▫️
『북한을 보는 새로운 시선』 권은민, 박영사, 2022.06.15
▫️
『북한 김씨 3대 인간 청소 실태를 고발한다』 송봉선, 선인, 2022.06.15
▫️
『북한 영화의 대부: 정준채 평전』 정철훈, 선인, 2022.06.17
▫️
『권력이행기 북한의 예술정치』 김정수, 경진출판, 2022.06.20
▫️
『남은 사람들』 이건숙, 문학나무, 2022.06.20
▫️
『평화개념 연구』 서보혁 외, 모시는사람들, 2022.06.20
▫️
『김일성 전기』 표도르 째르치즈스키(이휘성), 한울아카데미, 2022.06.23
▫️
『북녘선교 연구방법론』 주성종, CLC, 2022.06.30
▫️
『평화교육 과거, 현재 그리고 미래를 그리다』 모니샤 바자즈 외, 살림터, 2022.06.30
〈올리브레터〉구독신청
〈올리브레터〉의견남기기
💡
더 조사가 필요하거나 추가할만한 학술지가 있다면
본 설문
에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.
💾
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로 지난호 다시보기
❝
한반도평화연구원은 평화의 한반도를 앞당기기 위해
연구하고 전파하고 교육하는 일을 계속하면서
연구자들과 현장활동가, 관심자 분들을 돕겠습니다.
❞
사단법인 한반도평화연구원
kpi@koreapeace.or.kr
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27 하늬솔빌딩A 403호
02-744-7109
수신거부
Unsubscribe
공유하기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
구독하기
이전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6월호
2022. 6. 13.
다음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8월호
2022. 8. 12.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