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구독하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8월호
2022. 8. 12.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8월호
웹에서 보기
▍
KPI OLIVE LETTER는 연구자 및 학술 관심자를 위해 북한
∙
통일 분야 학술논문, 한반도 관련 주요 언론기사, 학술회의 영상, 단행본 신간 등 연구자에게 필요한 자료와 소식을 알려드리는 한반도평화연구원의 월간 뉴스레터 서비스입니다.
[통일과 평화 14권 1호] 2022.06
▫️
인도태평양 시대 유엔과 동북아시아의 정당성 경쟁 / 권민주
▫️
인권, 또 하나의 전선: 인권 규범의 미중 갈등 쟁점화와 아시아 태평양 국가들의 대응 / 김지은
▫️
인정(Recognition)을 위한 외교적 투쟁: 1970년대 비동맹외교 투쟁을 중심으로 / 김진욱
▫️
남북한 사회통합을 위한 법의 역할과 과제: '법치주의'의 정립을 중심으로 / 최은석
▫️
50-60대 북한이주남성들의 일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: 일의 심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/ 전주람, 신윤정
▫️
[서평] 한반도 평화를 위한 조건과 과제 / 최규빈
[통일정책연구 31권 1호] 2022.06
▫️
북한 연구와 신유물론의 접점: 일상생활연구를 위한 '행위적 실재론'
・
'사이보그 선언'의 방법론적 가능성 / 박민주
▫️
북한의 상징정치: 김정은 시대 삼지연 중심으로 / 박성열, 정원희, 한지만
▫️
북한 대기오염방지정책과정의영향요인 연구: 조직행태 모델의 적용 / 허선혜
▫️
파키스탄 및 북한의 핵전략 연구: 비핀 나랑의 '비대칭 확전 태세'의 접근과 한계를 중심으로 / 김민성, 임현지
▫️
EC-121기 사건과 미국의 한반도 위기에 대한 대응 / 김차준
▫️
통일 이후 남북 사회통합 요인분석: 북한이탈주민 FGI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/ 신재은, 조문영, 이석원
▫️
한중수교 이전 양국관계 발전과정을 통해 본 비정부행위자의 역할 및 정부와 협력관계 (1979~1989년) / 서수정
[한국동북아논총 27권 2호] 2022.06
▫️
미국과 유럽의 철도협력 정책이 동북아 철도협력에 주는 함의 / 홍석훈
▫️ 북한의 핵・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핵전략 변화 연구 / 박재완
▫️ '
전성카드'가 북한 소액금융 및 송금시스템에 미친 영향 분석 카드 사용 실태를 중심으로 / 정은이
▫️
2022년 북한 <설명절 경축공연> 연구 / 한승호
[한국국가전략 7권 2호] 2022.07
▫️
인도
・태평양 시대 한미동맹의 과거, 현재, 미래 / 앤드류 여
▫️
미국의 인도
・태평양 전략과 한미동맹: 통합억제와 전 세계 대비태세 / 박원곤
▫️
북한 핵개발과 동맹 억지력 강화 / 브루스 클링너
▫️
외교 증진 및 북한 핵위협 관리에 있어 한미동맹 도전과 기회 / 패트리샤 킴
▫️
북한 핵
・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의 연합 억제 및 대응 방향 / 정연봉
▫️
연속된 '균형'(balancing): 김정은 시기 대미전략 10년 / 박원곤
[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8권 1호] 2022.06
▫️
바이든 정부의 세계 및 동맹체제 전략: 정체성 정치, 문명충돌,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을 중심으로 / 차문석
▫️
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・한미관계 방향과 정책적 과제 / 남광규
▫️
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: 인구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/ 엄현숙, 여현철
▫️
북한 브랜드 연구: 북한의 세계지적재산권기구(WIPO) 등록상표를 중심으로 / 전병길
▫️ 북한 보건의료 체계의 한계와 남북 협력방안 / 정유석
▫️ 김정은 시기 북한의 경제발전 전략과 B2B 플랫폼을 매개로 한 남북경협 구상 / 최용섭
▫️
김정은 시기 북한 재정 연구: 최고인민회의 국가예산안 변화를 중심으로 / 김수현, 박순성
▫️
지속 가능한 대북정책을 위한 남남갈등 쟁점 분석 / 홍석훈
▫️
김정은 정권의 생존전략과 '과학
・기술
・
교육'의 역할 / 김정호, 조윤영
[국방정책연구 38권 2호] 2022.07
▫️
억제와 위기 안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: 성공 조건과 실패 요인을 중심으로 / 이만석
▫️
김정은 시대 핵개발 가속화 요인: 완충체계의 전략적 공간을 중심으로 / 박장호
▫️
전술 핵무기 재배치가 한반도 위기관리에 미칠 영향 연구: 전략적 소통을 중심으로 / 최영근
▫️
극초음속활강체의 특성과 군사적 함의: 한반도 내에서 활용될 경우를 중심으로 / 조홍일
[한국군사학논총 11권 2호] 2022.07
▫️
강대국들의 하이브리드전(Hybrid Warfare)과 주요 사례분석 / 김남철
▫️
S
imon의 합리적 선택 행위모형으로 본 6.25전쟁에 관한 미국의 군사전략 연구 / 배상희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2022.06-07
▫️
[분석과 대안 6권 2호] 다극체제와 동아시아 안보: 국제질서 재편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논의의 재고찰 / 이성원 (2022.07)
▫️
[국제지역연구 26권 3호] GDELT를 활용한 한반도 평화지수 개발: 남북관계의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/ 이성우 (2022.07)
▫️
[환경생물 40권 2호] 한반도 환경협력을 위한 국제사회 동향과 미래 협력방안 / 임철희, 최현아 (2022.06)
▫️
[헌법재판연구 9권 1호] 개성공단 전면중단조치 위헌확인 헌법소원 사건 평석 / 권은민 (2022.06)
▫️
[법학논총 46권 2호] 국제법상 한반도 자결권에 관한 고찰: 북한 급변사태를 중심으로 / 이서희 (2022.06)
▫️
[성균관법학 34권 2호] 헌법상 국제평화주의에 대한 현대적 해석: 통일헌법의 기본방향으로서 평화헌법을 중심으로 / 김수진 (2022.06)
▫️
[서울국제법연구 29권 1호] UN 총회 한국정부 승인 결의(제195호) 성립 과정과 의미 분석 / 정인섭 (2022.06)
▫️
[서울국제법연구 29권 1호] 유엔 가입 30년과 새로운 30년: 국제평화와 정의를 위한 한국의 역할 / 신각수(2022.06)
▫️
[현대유럽철학연구 66호] 신남철과 아고니아(agonia)의 주체 / 심의용 (2022.07)
▫️
[현대유럽철학연구 66호] 일제의 근대 식민지 도시 '대평양' 건설과 평양 조선인들의 대응 / 윤정란 (2022.07)
▫️
[행정논총 60권 2호] 갈등이론의 사회과학적 토대에 관한 연구: 한국 역사와 근대 서구의 평화사상가들을 중심으로 / 정용덕 (2022.06)
▫️
[한중사회과학연구 20권 3호] 한중관계 30년 평가와 미래발전에 대한 소고: 구동존이를 넘어 화이부동으로 / 이기현 (2022.07)
▫️
[한중사회과학연구 20권 3호] Unstable Due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: International Politics of Tolerance and Autonomy / 최창용, 임을출 (2022.07)
▫️
[어문론집 90권] 한중번역 실제와 분석: 드라마 <사랑의 불시착> 북한어 어휘를 중심으로/ 최연연, 심보경 (2022.06)
▫️
[문화와융합 44권 7호] 북한배경 청소년 대상 온라인 생애진로설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/ 신윤정, 지은, 윤호정, 김지선, 전주람 (2022.07)
▫️
[한국부패학회보 27권 2호] 북한 김정은 시대 인간상과 부패 억제에 관한 연구 / 백인주, 정유석, 정대진 (2022.06)
▫️
[부동산분석 8권 2호] 북한의 주택배정제도와 비공식 주택시장 발전의 제한성: 김정은 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/ 최봉대 (2022.07)
▫️
[역사교육연구 43호] 북한 김정은 시대의 역사교육 변화: 『조선력사』 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/ 박진동 (2022.07)
▫️
[한국일본교육학연구 27권 2호] 한국과 일본의 평화교육 연구 동향 비교 / 이정희 (2022.06)
▫️
[성인계속교육연구 13권 2호] 사회통합을 위한 탈북청년 사회교육 사례연구: 「해솔직업사관학교」의 사례를 중심으로 / 최현숙, 임세영 (2022.06)
▫️
[성인계속교육연구 13권 2호]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/ 이병준, 이지인 (2022.06)
▫️
[Crisisonomy 18권 6호] 북한이탈주민의 지각된 건강상태, 건강증진행위, 병원선택의향이 의료에 대한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/ 김미영, 조정림 (2022.06)
▫️
[한국모자보건학회지 26권 3호] 북한 어린이 건강과 모자보건 전문가들의 역할 / 최성우 (2022.07)
[서울대 통일평화 연구원-국회미래연구원]
▫️
공동학술회의 '한반도 중장기 미래전략: 연합적 거버넌스의 탐색' / 구갑우 외 (2022.07.25)
[통일연구원]
▫️
학술회의 '한반도 정세와 새로운 대북정책의 모색' / 박인휘, 정성윤 (2022.07.13)
▫️
월례토론회 The New Wave 제1차 '동아시아 군비경쟁과 신냉전: 윤석열 행정부와 한반도 안보' / 김영준 외 (2022.07.07)
▫️
월례토론회 The New Wave 제2차 '북한의 전략도발 전망 및 대응' / 이상민 (2022.07.14)
▫️
월례토론회 The New Wave 제3차 '북한의 핵교리 진화와 최근 핵확전 개념' / 황일도 (2022.07.20)
▫️
월례토론회 The New Wave 제4차 '미중 및 북미의 함수관계' / 주재우 (2022.07.27)
[세종연구소]
▫️
세종정책브리프 '북한의 대남・대외 엘리트 변동과 정책 변화 전망: 리선권과 최선희를 중심으로' (2022.07.18)
[한반도평화포럼]
▫️
월례토론회 '북핵문제, 어떻게 풀 것인가?' / 김성배, 이춘근, 전봉근 (2022.07.27)
[하와이대학교 한국학센터]
▫️
제23회 World Korea Forum 2022 '세션2: Peace, Prosperity & Unification of Korea and Foreign Powers' / 김성민 외 (2022.06.29-30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
[이슈브리프 369호] 한미일 정상회담 평가와 시사점 / 성기영 (2022.07.04)
▫️
[2022 하반기 정세 포커스] 정세 개관, 대외 정세, 북한의 정세와 남북관계, 신안보 정세 / 국가안보전략연구원 (2022.07.06)
▫️
[전략보고 170호] 김정은 정권의 국방력 강화와 우리의 대응방향 / 변상정, 김인태 (2022.07.28)
▫️
[국가안보와 전략 22권 2호] 국가안보와 전략 / 이홍정 외 (2022.07.14)
▫️
[노동신문분석] 북한「로동신문」사설 분석 2022-1(1분기) / 이기동 (2022.07.21)
[세종연구소]
▫️
[정세와 정책] 통일을 누가 지지하나? / 강명세 (2022.07.01)
▫️
[정세와 정책] 2022년 상반기 북한의 경제 평가와 시사점: 당 중앙위 제8기 제5차 전원회의 확대회의를 중심으로 / 최은주 (2022.07.01)
▫️
[정세와 정책] 제7차 북한 핵실험 준비의 의미와 한미 억제전략의 과제 / 김정섭 (2022.07.01)
▫️
[세종논평] 북한의 전술핵무기 전방 실전배치 전망과 작전계획 수정의 함의: 북한 당중앙군사위원회 8기 3차 확대회의 평가 / 정성장 (2022.07.01)
▫️
[세종정책프리프] 북한의 대남
・
대외 엘리트 변동과 정책 변화 전망: 리선권과 최선희를 중심으로 / 정성장 (2022.07.18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북한의 2022년 전반기 전략동향 분석 / 손효종 (2022.07.04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핵벼랑끝 전술의 진화 / 이상규 (2022.07.06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북한의 7차 핵실험 지연과 전략적 노림수 / 서찬양, 전경주 (2022.07.07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북한의 '공세적 핵전략' 평가와 ‘실존적 위협’ 전망 / 박용한 (2022.07.18)
▫️
[동북아안보정세분석] 북한 전술핵무기의 지휘통제체계 및 군수관리체계 전망 / 이상규 (2022.07.29)
[통일연구원]
▫️
[현안분석] 남북대화 (어떻게) 가능한가? / 서보혁 (2022.07.01)
[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]
▫️
[IFES Brief] 김정은 전승절 기념 연설 평가 및 전망 / 김동엽 (2022.07.29)
[국립외교안보연구소]
▫️
[IFANS FOCUS] The U.S.-Led Indo-Pacific Economic Framework: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ic Implications and Prospects / 강선주 (2022.07.14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
[KDI 북한경제리뷰 2022년 7월] 북한경제 연구환경의 변화, 북한의 코로나 19 유행과 향후 전망, 북한의 자생적 건자재시장 연구 / 북한경제연구실, 신영전, 최설 (2022.07.29)
[한국은행]
▫️
2021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 (2022.07.27)
[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]
▫️
[통일여론보고서] 2022년 2분기 평화통일 여론
・
동향 분석보고서 (2022.07.22)
[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]
▫️
[북한사회 Brief 31호] 북한사회 도시화, 정보화, 소비화 주요자료 (2022.08.05)
[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
[북한도시브리프6호] 북한도시 주요 동향, 북한의 코로나 관련 동향 종합, 북한의 도시와 일상 연구 소식 (2022.08.05)
[한반도 동향 관련]
▫️
[통일부]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2년 7월
▫️
[통일부] 월간북한동향 2022년 6월
▫️
[
KINU한반도동향] 2022년 6월 / 장철운,김세라,안정은,권주현,김아영,윤훈희,용혜민,탁민지 (2022.07.08)
▫️
[중앙일보] 윤영관, 반도체 춘추전국시대와 '칩4 동맹' (선데이칼럼)(2022.07.02)
▫️
[VOA] 퀸타나 북한인권보고관, "국제형사재판소, 북한 범죄 기소 앞서 사건파일 구축해야…7차 핵실험은 재앙" (인터뷰)(2022.07.05)
▫️
[조선일보] 남성욱, 인사 통해 대외 메시지 전하는 北, '막말 측근' 전면에 내세운 이유는… (한반도워치)(2022.07.06)
▫️
[조선일보] 빅터 차, 결국엔 한
・
미
・
일 '3국 협력'으로 가야 한다 (칼럼)(2022.07.09)
▫️
[뉴스펭귄] 댄 스미스, "북한 기후적응 돕는 건 한국에게도 이득" (인터뷰)(2022.07.11)
▫️
[VOA] 에스퍼 전 국방장관, "북한 위협, '실재적' '즉각적'...한국, 중국 강압에 맞서고 쿼드 가입해야" (인터뷰)(2022.07.12)
▫️
[한겨레] 데릭 숄레이 미 국무부 차관, "한국의 글로벌 핵심 역할 지지" (인터뷰)(2022.07.12)
▫️
[중앙일보] 에버라드, 북한이 핵실험을 하지 않고 있는 이유 (칼럼)(2022.07.15)
▫️
[중앙일보] 박영호, '힘을 통한 평화'가 토대, 호혜성 없는 대화
・
거래 그만둬야 (한반도평화워치)(2022.07.19)
▫️
[중앙일보] 김병연, 김정은의 7차 핵실험 딜레마 (중앙시평)(2022.07.20)
▫️
[VOA] 시미즈 한 '트루 노스' 감독, "북한 정치범수용소 기록은 '소명'…각국 북한인권 정책에 반영 희망" (인터뷰)(2022.07.21)
▫️
[한겨레] 정욱식, 북한이 크게 달라졌다, 어떻게 해야 할까 (칼럼)(2022.07.25)
▫️
[VOA] 헤이글 전 국방장관, "북한 핵공격 가능성은 '현실'...북 전술핵 사용 '제한적'으로 끝나지 않을 것" (인터뷰)(2022.07.28)
▫️
[동아일보] 주성하, 탈출할 수 없는 지옥이 펼쳐지나 (칼럼)(2022.07.28)
▫️
[중앙일보] 권영세 통일부장관, "비핵화 위해 북한이 우려하는 안보문제 다룰 수도" (인터뷰)(정용수의 평양사람들)(2022.07.29)
▫️
『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』 김민준,김영란,박명훈,박영준,신은섭,이형구, 도서출판 민족재단, 2022.06.15
▫️
『6
・25전쟁에서의 소부대 전투기술』 러셀 A. 구갤러, 조상근(옮김), BG북갤러리, 20220.06.20
▫️
『오공단: 미국 정책 연구원의 삶과 체험』 오공단, 이조출판사, 2022.06.25
▫️
『실패한 정치는 전쟁을 부른다: 한국의 외교·안보정책에 대한 비판』 정상돈, 박영사, 2022.06.25
▫️
『핵전쟁 위기:쿠바 미사일 위기의 교훈』 세르히 플로히, 허승철(옮김), 삼인, 2022.06.30
▫️
『DMZ 관광과 판문점투어의 전망대』 장승재, 밥북, 2022.07.01
▫️
『패권의 미래』 이승주, 전재성,김상배,유인태,김연규,김용신, 21세기북스, 2022.07.01
▫️
『몰래골 통일바치』 신익순, 좋은땅, 2022.07.15
▫️
『북한 땅의 쓰나미』 장혜련, 바른북스, 2022.07.15
▫️
『통일의 눈으로 봉화를 다시 보다: 나의 통일감성여행답사기』 강동완, 너나드리, 2022.07.17
▫️
『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착각: 우크라이나전쟁, 그리고 평화가 당연하지 않은 미래』 이진우, 휴머니스트, 2022.07.18
▫️
『미중 경쟁과 대만해협 위기: 남북한은 동맹의 체인에 연루될 것인가』 길윤형, 장영희, 정욱식, 갈마바람, 2022.07.20
▫️
『한반도 평화론』 문병철, 신세림, 2022.07.25
▫️
『차가운 평화의 시대: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, 미중 기술패권』 최계영, 인문공간, 2022.07.29
〈올리브레터〉구독신청
〈올리브레터〉의견남기기
💡
더 조사가 필요하거나 추가할만한 학술지가 있다면
본 설문
에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.
💾
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로 지난호 다시보기
❝
한반도평화연구원은 평화의 한반도를 앞당기기 위해
연구하고 전파하고 교육하는 일을 계속하면서
연구자들과 현장활동가, 관심자 분들을 돕겠습니다.
❞
사단법인 한반도평화연구원
kpi@koreapeace.or.kr
서울시 서대문구 성산로 527 하늬솔빌딩A 403호
02-744-7109
수신거부
Unsubscribe
공유하기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
구독하기
이전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7월호
2022. 7. 12.
다음 뉴스레터
[KPI] 북한 ∙ 통일 연구자를 위한 월간 <올리브레터> 9월호
2022. 9. 13.
KPI 올리브레터 아카이브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