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국제정치논총 63권 3호] 2023.09
▫️ 한국과 미국의 동맹관념 변화에 관한 연구: 구조토픽모델(STM)을 중심으로 / 성기은, 신성균
▫️ 한미 사이버 안보협력의 진화: 복합지정학의 시각 / 신승휴
▫️ 미중관계에 대한 남북한 주권게임 양상 연구 / 이중구
▫️ 세계내전 개념과 미중갈등: 칼 슈미트의 세계내전 개념이 지닌 현재적 함의에 관하여 / 표광민
[한국정치학회보 57권 3호] 2023.09
▫️ 북한 위협과 대통령 지지도의 선택적 결집 / 박진수, 이한수
[한국과 국제정치 39권 3호] 2023.09
▫️ 정전체제와 관련한 북한의 입장과 함의: 주한미군 문제를 중심으로 / 안경모
▫️ 남북관계의 패러다임: 1국가론과 2국가론 / 배기찬
▫️ 권위주의 정권 시기 반공주의의 유산과 한국정치: 북한요인 동원의 지속과 변화 / 신종대
▫️ 중국의 반접근/지역거부(A2/AD) 전략과 딜레마: 삼각 억지와 강압을 중심으로 / 김재학, 김성현, 홍건식
[동향과 전망 119권] 2023.10
▫️ 미국 주도 '신뢰 가치 사슬'은 작동 가능할까?: 전기차 배터리를 중심으로 / 김양희
▫️ 한미일 안보 협력에 대한 성찰: 한일 안보 협력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/ 안문석
[아세아연구 66권 3호] 2023.09
▫️ 상호주의와 안보딜레마: 분석적 고찰 및 한반도 안보 사례추적 / 반길주
▫️ 6·25전쟁 직후 한국 공군 내 조종사적성검사 도입에서 한·미 공군의 역할 / 강창부
[동서연구 35권 3호] 2023.09
▫️ 시진핑 3기 체제의 정치 및 정책적 함의 분석 / 이지용
▫️ Authoritarian Media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: The Case of North Korea / Clara H. Suong
[아태연구 30권 3호] 2023.09
▫️ Stability-Instability Paradox and the Korean Peninsula: How Nuclear Deterrence Can Lead to Inter-Korean Limited Conflicts / 임상수
▫️ 북방 국가의 굴기와 세계 식량체계: 러시아와 중국의 식량안보 전략 및 농업협력 / 김도훈
[군사 128권] 2023.09
▫️ 한국의 국방의제설정과정: 유형과 특징, 그리고 정책적 함의 - 전작권 전한 연기 및 재연기, 한반도 사드 배치, 한·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중심으로 / 최영찬, 김경진
▫️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 대비 이스라엘 공군의 군사력 운용과 건설 / 조관행, 홍성표
▫️ 6·25전쟁 초기 전쟁 전략의 변화와 군수지원 체제의 구축 / 이상호
[안보와 전략 23권 3호] 2023.09
▫️ 북한이탈주민의 사기범죄 피해 원인에 관한 연구: 생활양식-일상활동이론(L-RAT)을 중심으로 / 최영관, 박성철
▫️ 제재·코로나 시기 제·개정 법령을 통해 본 북한의 경제정책 / 양문수
[한국군사학논총 12권 3호] 2023.09
▫️ 6·25전쟁 시 UN군과 공산군의 심리전 비교분석 / 정우열
▫️ 북핵 제재의 효용성 재고를 위한 국제 수출통제체제의 문제점 검토: 전략적 소통(Strategic Communication)을 중심으로 / 최영근, 길병옥
▫️ 관광산업을 통한 통일 한국 재정확보 가능성 연구 / 이창원
[Asian Perspective 47권 3] 2023.09
▫️ How Did the Ukraine War Change Putin’s “Turn to the East”? / Gilbert Rozman
▫️ Constructing a “Border” with China: The Russian Approach / Alsu Tagirova
▫️ Fragmented Cooperation: The Role of State-Owned and Private Companies in Sino-Russian Energy Collaboration / Marcin Kaczmarski
▫️ Russian and Chinese Approaches to UN Peacekeeping in an Era of Stabilization / Natasha Kuhrt
▫️ "Big Triangle" No More? Role Expectation and Mutual Reassurance Between China and Russia in the Shifting US-China-Russia Relations / Xin Zhang
▫️ The Arctic in Japan's Basic Plan on Ocean Policy: Toward a Comprehensive Free and Open Maritime Vision / Julie Babin
▫️ Cooperation on Transboundary Fine Dust: Revisiting Korea’s Prudential Environmental Diplomacy Toward China and Its Policy Effectiveness / Muhui Zhang
▫️ Accountability for Human Rights Crimes in North Korea: Jurisdictional Dilemmas in South Korea / Stephan Sonnenberg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경제학연구 71권 3호] 내성적 최적통화지역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남북한 통화통합 추진 관련 논의 / 서정의 (2023.09)
▫️ [인권과 정의 516권] 북한 부동산이용권의 거래를 위한 준거법 설정에 관한 연구: 독일의 선례를 기초로 하여 / 장병일 (2023.09)
▫️ [한국민족운동사연구 116권] 북한 농업현물세의 수취와 국가재정으로의 이전(1945~1950) / 예대열 (2023.09)
▫️ [디자인웍스 6권 3호] 사례를 통한 한반도 통일 디자인 연구의 유형별 특징 및 향방 고찰 / 김성우 (2023.09)
▫️ [다문화교육연구 16권 3호] 사회인지 관점에 기반한 통일에 대한 긍정정서가 통일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: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/ 이희재, 신윤정, 김지선, 윤효정 (2023.10)
▫️ [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권 9호] 북한 무인기 도발에 관한 Z세대의 안보 의식 조사 / 송세관 (2023.09)
▫️ [한국학연구 86권] 세대 간 가치 변화 이론 시각에서 본 한국인의 대북인식 변화 고찰: 희미해지는 '우리' 의식, 회복 가능한가? / 채지혜 (2023.09)
▫️ [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4권 9호]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관계 모바일 활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/ 허세미 (2023.09)
▫️ [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권 5호] 북한이탈주민의 유튜브 방송에 나타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환경 연구: 1인 논평 채널을 중심으로 / 조위수 (2023.09)
▫️ [문화와 융합 45권 9호]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난 반복의 기능 연구: <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>를 중심으로 / 조위수 (2023.09)
▫️ [문화와 융합 45권 9호] 해방기 아동 잡지의 문학장 형성과 담론 연구: 남·북한 아동 잡지를 중심으로 / 신정은 (2023.09)
▫️ [영화연구 97권] 한반도 최초의 전투영화, <초소를 지키는 사람들>(주인규, 1950) 국가건설기 프로파간다의 형식과 효과 / 오영숙 (2023.09)
▫️ [한국문화 103권] 한반도 지하의 파르티잔 이론: 최인훈 연작 「총독의 소리」를 매개로 / 윤인로 (2023.09)
▫️ [중어중문학 93권] 중국인에 의한 한국전쟁 기억화: 중국 '항미원조영화(1949-1966)' 생산 배경과 영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/ 안영은 (2023.09)
▫️ [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7권 2호] 『한국전쟁 체험담 집성』에 비친 6·25전쟁 시기 주민의 삶에 관한 탐구: 사회복지 측면에서 / 최옥채 (2023.09)
▫️ [사회적질연구 7권 3호]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in North Korea: Realities and Problems / 이종운 (2023.09)
▫️ [한국장애인복지학 61권] 국제사회의 북한 장애문제 인식 고찰: UN장애인권리협약 조약: 보고체제 문서를 중심으로 / 정지웅 (2023.09)
▫️ [민족연구 82권] Commonalities and Implications of the Ukrainian War and the 6·25 Korean War / 우평균 (2023.09)
▫️ [민족연구 82권] 탈북학생 학업중단율의 변화 요인 분석: 사회경제적 여건과 교육지원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/ 김인성 (2023.09)
▫️ [청소년학연구 30권 9호] 탈북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/ 채경희 (2023.09)
▫️ [군진간호연구 41권 3호] 북한이탈여성의 군 간호원 생활 경험 / 전정희, 조순영, 김혜원 (2023.09)
▫️ [재활심리연구 30권 3호] 북한이탈여성이 경험한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: Mandelbaum의 생애사 분석방법을 토대로 / 양민숙, 강수운, 이동훈 (2023.09)
▫️ [현상과 인식 47권 3호] 북한 내 한류 현상 연구의 현재와 미래 / 조현성 (2023.09)
▫️ [현상과 인식 47권 3호] 라인홀드 니버는 제국주의자인가? 한국 전쟁과 정치적 현실주의에 관한 연구 / 유경동 (2023.09)
▫️ [倫理硏究 142권] 남북한 통일공동체 형성을 위한 민족주의의 재평가 / 변종헌 (2023.09)
▫️ [倫理硏究 142권] 통일교육을 위한 북한 체제의 이해와 제한점 / 신원동 (2023.09)
▫️ [한국CDE학회 논문집 28권 3호] 로블록스를 이용한 가상 통일 한반도 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구축 / 조윤정, 우정엽, 송인호, 최상수 (2023.09)
▫️ [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25권 3호] 학교 평화·통일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2022 개정 교육과정 / 김상범 (2023.09)
▫️ [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62권 3호] 남북한 특수교육 용어 비교 / 이영주, 이효신 (2023.09)
▫️ [초등도덕교육 84권] 자연적 의무의 통일교육적 함의 연구 / 김상범 (2023.09)
▫️ [초등도덕교육 84권]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도덕과 통일교육 논의 / 박찬석, 신성호 (2023.09)
▫️ [초등도덕교육 84권]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사회통합교육 방안: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도덕 교과서의 집필 방향 및 유의점 모색 / 박형빈 (2023.09)
▫️ [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2권 3호] 북한 공장대학교 영어교과서 읽기지문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/ 윤미정, 김정렬 (2023.09)
▫️ [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5권 2호] 대학생 통일교육 효과성 연구: 통일교육선도대학 신입생 사례 / 최경원, 최인숙 (2023.09)
▫️ [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5권 2호]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현실적 방안 연구 / 이성희 (2023.09)
▫️ [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5권 2호] 새로운 통일정책 방향 모색 / 류홍채 (2023.09)
▫️ [대한토목학회논문집 43권 5호] 프로슈밍지표를 통한 접경지역 기반 남북한 그린데탕트 실천 잠재력 분석 / 안진희, 고경택, 김영석 (2023.10)
▫️ [움직임의 철학: 한국체육철학회지 31권 3호] 남북 스포츠교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탐색: 통일스포츠를 향한 빅퀘스천 / 김영갑 (2023.09)
▫️ [한국버섯학회지 21권 3호] 북한 학술지에 게재된 버섯과학 연구동향 분석(1978~2023) / 조우식 (2023.09)
▫️ [한국기독교와 역사 59권] 기독교와 사회주의의 대화가능성 모색한 '제3지대' 통일운동: 재독활동가 이영빈을 중심으로 / 하희정 (2023.09)
▫️ [장신논단 55권 3호] 시장화에 따른 북한사회 변화와 한국교회 대북지원에 대한 함의 / 유영식 (2023.09)
▫️ [기독교교육 논총 75권] 평화통일교육의 과제를 통해 본 기독교통일교육의 방향 탐구 / 오덕열 (2023.09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[2023 홍릉 국방포럼] 인도-태평양 시대 지역질서의 현재와 미래 / 조남훈 외 (2023.09.13)
▫️ [2023 홍릉 국방포럼] 한미동맹의 국방협력과 발전방향 / 이호령 외 (2023.09.13)
▫️ [2023 홍릉 국방포럼] 위협환경의 변화와 각국의 대응 / 박찬우 외 (2023.09.13)
▫️ [2023 홍릉 국방포럼] 인도-태평양 시대 방산협력과 방위산업의 미래 / 박준수 외 (2023.09.13)
[국립외교원]
▫️ [국립외교원 60주년 기념식] 글로벌 가치 연대를 위한 외교전략 / 김현욱 외 (2023.09.01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국방포럼] 중국의 핵전략 어떻게 볼 것인가 / 김정섭 외 (2023.09.20)
▫️ [정세토론회] 인도-태평양 전략과 한일협력: 지속가능한 협력방안의 모색 / 최윤정 외 (2023.09.27)
[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]
▫️ [2023 통일의식조사] 신냉전 한반도, 멀어지는 통일 (2023.09.26)
[최종현학술원]
▫️ 한미일 삼각공조를 통한 공동 안보 및 번영 / Philip S. Goldberg 주한미국대사 (2023.09.18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[북한과 세계] 한미의 대북 군사 옵션 4가지 / 박원곤 (2023.09.05)
▫️ [북한과 세계] 전쟁 직전까지 갔던 한반도 / 박원곤 (2023.09.07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러 정상회담, 북한이 무조건 지는 게임인 이유 / 박원곤 (2023.09.12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한의 한반도 전쟁계획과 담판 가능성 / 박원곤 (2023.09.14)
▫️ [북한과 세계] 러시아와 북한이 '우주'에 집착하는 이유 / 박원곤 (2023.09.19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러 정상회담 이후 동북아 정세와 한국의 대응 / 박원곤 (2023.09.21)
▫️ [북한과 세계] 김주애와 북한 4대 세습의 향방 / 박원곤 (2023.09.26)
[통일연구원]
▫️ [온라인시리즈] 관광법의 채택, 북한 대외개방의 신호탄인가? / 나용우 (2023.09.06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'전술핵공격잠수함' 진수 공개 분석 / 홍민 (2023.09.10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 정권수립일(9.9절) 기념행사에서 주목되는 세 개의 시선 / 정은미 (2023.09.11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·러 정상회담 평가와 전망 / 현승수 (2023.09.14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한미동맹 70주년의 교훈: 의미와 성과 / 정성윤 (2023.09.27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9차 회의 분석 / 최지영, 김진하, 박영자 (2023.09.30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유엔 안보리 북한인권 논의 재개의 의미와 과제 / 김원식 (2023.09.04)
▫️ [이슈브리프] 러북정상회담의 결과와 파급영향 / 이상근 (2023.09.19)
▫️ [이슈브리프] 한미연합훈련(UFS) 관련 북한의 대응 특징 / 김보미 (2023.09.06)
▫️ [이슈브리프] 이산가족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: 범위 확대와 거버넌스 구축 / 안제노, 이상근 (2023.09.18)
▫️ [전략보고] 나토(NATO) 파트너십의 발전과 전략적 함의 / 이수형 (2023.09.05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 '신냉전' 구조 활용구상에 대한 평가 / 최용환, 이기동 (2023.09.26)
▫️ [전략보고] 러-우 전쟁 이후 북러 밀착: 현황과 전망 / 장세호, 김성배, 최용환 (2023.09.08)
▫️ [전략보고] '쌀의 정치경제'로 추적해 본 북한의 식량난 / 이지선 (2023.09.15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IFANS FOCUS] 2023년 브릭스(BRICS)의 확장: 지정학적 새 판짜기의 시동 / 강선주 (2023.09.05)
▫️ [IFANS FOCUS] 2023년 러북 정상회담 평가와 향후 지역 정세 전망 / 이태림, 이상숙 (2023.09.22)
▫️ [세종논평] 중국-ASEAN 남중국해 행동규범 합의 문제 / 배긍찬 (2023.09.11)
▫️ [정세와 정책] 북·러 정상회담과 한반도 안보환경 변화 / 홍현익 (2023.09.27)
▫️ [Global NK 논평] 김정은의 어린 딸 김주애 등장 의미와 시사점 / 최경희 (2023.09.11)
▫️ [여론브리핑] 2023년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①: 미국과 한미관계 (2023.09.25)
▫️ [여론브리핑] 2023년 EAI 동아시아 인식조사 ②: 중국과 한중관계 (2023.09.25)
▫️ [이슈브리핑] 2023 한미동맹 국민인식 분석: 포괄적 동맹에 대한 기대와 우려 / 손열 (2023.09.26)
▫️ [이슈브리핑] Young Asians'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Democracy / Ganbat Damba, Hansu Park (2023.09.27)
▫️ [이슈브리핑] '중국은 싫지만 한중관계는 중요' 한국의 대중 정책 방향은? / 이동률 (2023.09.27)
[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 [북한도시브리프] 북한도시 Focus, GIS 위성으로 보는 북한 도시, 빅데이터로 본 북한 도시 키워드 (2023.09.25)
[KB경영연구소]
▫️ 미국의 對중 규제 강화와 한국 반도체 산업 영향 / 심경석 (2023.09.20)
▫️ 『한 여자의 뒤바뀐 운명: 남과 북의 삶』 이춘미, 부카, 2023.08.10
▫️ 『직항은 없다: 인천에서 평양으로 떠난 네덜란드 부자의 북한 여행』 바트 반 그늑튼 저, 김휘아 역, 크루, 2023.08.25
▫️ 『북한 박물관 기행』 정용일, 정창현, 굿플러스북, 2023.09.06
▫️ 『느릿느릿 사소한 통일: 외국에서 본 남한 북한』 송광호, 하움출판사, 2023.09.07
▫️ 『북한문화, 닮은 듯 낯선 모습』 임채욱, JMG, 2023.09.10
▫️ 『전선에서의 증언: 외교 현장에서 본 북한 인권』 김수권, 시사경제신문사, 2023.09.15
▫️ 『디아스포라 기행: 추방당한 자의 시선』 서경식 저, 김혜신·최재혁 역, 돌베개, 2023.09.20
▫️ 『연결된 위기: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한반도 핵위기까지, 얄타체제의 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』 백승욱, 생각의힘, 2023.09.22
▫️ 『북한의 핵패권: 사회주의 핵개발 경로와 핵전술 고도화』 이춘근, 인문공간, 2023.09.22
▫️ 『평화공원 조성을 전제한 비무장지대 연구 및 답사』 서무송, 푸른길, 2023.09.22
▫️ 『남북한 국가관계 구상: 대북정책의 뉴 패러다임』 김계동, 명인문화사, 2023.10.05
▫️ 『디커플링과 공급망 전쟁: 미중 전쟁과 뉴노멀 그리고 위기의 대한민국』 이철, 처음북스, 2023.10.10
▫️ 『평양골드러시』 고호, 델피노, 2023.10.16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