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통일인문학 95권] 2023.09
▫️ 역사 왜곡과 법적 규제: 제주 4·3특별법 제13조를 중심으로 / 고성만
▫️ 북한 군중의 정념적 형상계 / 송치만, 이민주, 백일, Li, Kaijun
▫️ 동아시아 현대사 맥락의 통일과 평화: 내셔널리즘, 분단체제, 그리고 중국 / 박상수
[통일전략 23권 2] 2023.09
▫️ 바이든(J. Biden) 행정부의 비핵화 전략 3.0: 정권교체기 한국의 전략적 대응 / 이다윗
▫️ 코로나시대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강화 방안: 보호에서 자립으로 / 석인선
▫️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과 통일교육: 쟁점과 과제 / 이은숙
[한국동북아논총 28권 3] 2023.09
▫️ 공유하천 분쟁에 대한 국제사법재판소의 판결사례와 남북한 공유하천 분쟁시 한국에의 함의 / 권재범
▫️ 핵 비확산 체제와 북한의 핵전략 변화: '거짓 협박'에서 '핵 비확산 체제의 취약점 공략'까지 / 김정호
▫️ 북한 농업법제 변화: 농장의 자율성 확대 vs. 정부의 시장개입 강화 / 김일한
▫️ 군사적 수정주의 행태가 핵 포기에 미치는 영향 및 북한의 핵 포기에 갖는 함의 고찰 / 김민정
[평화학연구 24권 3호] 2023.09
▫️ 역대 정부의 통일정책과 통일 NGO 운동에서 나타난 '평화'에 대한 시론(時論) / 한수아
▫️ 미·중 기술 디커플링과 세계의 양분화, 그리고 공생주의적 미래 경제 / 고경민
▫️ '민족주의'적 통일교육의 한계와 대안: 세계시민주의의 관점에서 / 차승주
▫️ 중국 중앙지와 지역지에 노출된 한중관계 담론 분석 / 주민욱
▫️ 대북 인권정책의 방향 제언: 북한 여성 인권 개선을 중심으로 / 김태원
▫️ 김정은 시대 북한 금융정보화 정책 연구: 전자지급결제시스템의 도입을 중심으로 / 조현성
▫️ 후계체제 구축과정에서 김주애 논쟁에 관한 고찰 / 라훈일
▫️ 근대화와 산업평화: 소련의 공업화와 노동규율, 1928-1933 / 조준배
▫️ 레바논 유엔 평화활동에서 인간안보 실천방안에 대한 고찰: 지역주민들의 UNFIL 활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를 중심으로 / 김세하, 윤지원
[동향과 전망 119권] 2023.10
▫️ 미국 주도 '신뢰 가치 사슬'은 작동 가능할까?: 전기차 배터리를 중심으로 / 김양희
▫️ 한미일 안보 협력에 대한 성찰: 한일 안보 협력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/ 안문석
[국제지역연구(한국외대) 27권 4호] 2023.10
▫️ 남북대화의 전략적 선택구조: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구성 사례를 중심으로 / 정기웅
▫️ '정치 제도화'와 김정은 시대 북한 최고인민회의: 입법, 대의, 감독 기능을 중심으로 / 유승철, 안경모
▫️ 탈단극시대, 중견국 외교의 종언? 중견국 담론의 지식사회학과 대한민국 대전략 패러다임 변동 / 차태서
[한국과 국제사회 7권 5호] 2023.10
▫️ 북한의 핵 사용 유형과 방사성 물질의 거동에 기초한 국민 방호 대비 방향 / 류동관
▫️ The US-China Technological Competition and Its Impact on South Korea: With Reference to the Semiconductor Industry / 김도경
▫️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 변화와 한국의 안보: 주한미군과 확장억제전략을 중심으로 / 윤희철
▫️ 전쟁원인이론에 의한 러-우전쟁 발발원인에 관한 연구: 전쟁의 3가지 수준별 분석을 중심으로 / 김영식, 김광현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국제지역연구(국제지역학회) 27권 3호] 북한 우주개발에 대한 남북한 인식과 법적 분석 / 최은석, 엄정식 (2023.09)
▫️ [평화연구 31권 2호] 이스라엘-요르단 홍해해양평화공원 사례 분석을 통한 남북 접경협력 시사점 검토 / 이경희, 나용우 (2023.10)
▫️ [한중사회과학연구 21권 4호] 미중 전략적 경쟁 시대: 중국과 남북한의 '일대일로'협력 가능성 연구 / 胥芊, 이상만 (2023.10)
▫️ [분석과 대안 7권 3호] '신냉전(new cold war)' 담론에 관한 비판적 소론: '차가운 평화(cold peace)'의 정치적 결과 / 백준기 (2023.10)
▫️ [다문화사회연구 16권 3호] 남북교류협력 거버넌스 분석: 법제도, 민간 행위자를 중심으로 / 김태경, 이경수 (2023.10)
▫️ [한국정책학회보 32권 3호] 인민일보 보도 분석을 통한 중국의 대북 정책 변인에 관한 연구: 중국의 시진핑 집권 시기를 중심으로 / 박인규 (2023.09)
▫️ [한국보훈논총 22권 3호] 우크라이나 전쟁이 한반도에 갖는 함의: 국제법상 인도주의 및 인권의 관점에서 / 김태원 (2023.09)
▫️ [국방정책연구 39권 3호] 북한의 핵강압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 / 이만석, 김선홍, 함형필 (2023.10)
▫️ [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4권 9호] 북한 무인기 도발에 관한 Z세대의 안보 의식 조사 / 송세관 (2023.09)
▫️ [미래사회 14권 3호] 예비전력(豫備戰力)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: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/ 양승봉, 최순원 (2023.10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79권 3호] 북핵 위협 대비, 3축 체계 쟁점과 최신화 방향 / 유기현, 김성학 (2023.10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79권 3호] 한반도 지역 통신 및 정찰 임무 수행을 위한 군 저궤도 위성군 설계 / 조성환, 김용철, 이호찬, 박복기 (2023.10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79권 3호] 한·미 상호운용성 강화 방안 고찰 / 이강경, 장상혁 (2023.10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79권 3호] 한국군 합동전영역지휘통제(JADC2) 전략: 美 JADC2 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/ 김중희, 최영찬 (2023.10)
▫️ [국방과 보안 5권 1호] 북한 악성코드 프로파일링을 통한 분석과 대응방안 연구 / 김정윤 (2023.10)
▫️ [대한산업공학회지 49권 5호] Text Mining을 활용한 북한의 도발 수준 및 형태 예측 / 차선교, 윤봉규 (2023.10)
▫️ [한국범죄심리연구 19권 3호]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/ 윤민우 (2023.09)
▫️ [한국공안행정학회보 32권 3호] 북한 치안체제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: 김정은 정부를 중심으로 / 김창윤 (2023.09)
▫️ [한국정책과학학회보 27권 3호] 북한의 「제대군관생활조건보장법」에 대한 소고: 배경, 의의, 쟁점을 중심으로 / 이철수 (2023.09)
▫️ [한국연구 14권 14호] 서남지구전투경찰대의 진압작전과 중요 빨치산 전과: 창설부터 1954년 7월까지 / 이윤정 (2023.10)
▫️ [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8권 5호]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Trade Environment in South Korea with the Opening of the Trans-Korean Railway / 이형석 (2023.10)
▫️ [농업경제연구 64권 3호] 북한 쌀 시장의 지역 간 통합과 거래 구조 / 임채환, 안동환 (2023.09)
▫️ [세계지역연구논총 41권 3호] 2012~2022년 남북한 해양산업법제 변화 비교연구 / 채수란 (2023.09)
▫️ [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6권 2호] 김정은 시기 북한의 산림정책과 남북산림협력의 방향과 과제 / 권숙도 (2023.10.)
▫️ [한말연구 64권 46호] 북한 문법서 『현대국어문법론』(2015)의 '문장의 구조적류형' 연구: 『한국어 문법 총론』(2015)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/ 김건희 (2023.10)
▫️ [인문과학연구 78권] 남북한의 안중근 인식 비교 / 강응천 (2023.09)
▫️ [인문연구 104권 104호] 탈북이주여성의 민주시민교육 경험과 그 이후: A단체의 민주시민교육 참가자를 중심으로 / 신난희 (2023.09)
▫️ [동양고전연구 92권] 북한의 최한기 저작 번역과 해석 / 이행훈 (2023.09)
▫️ [드라마 연구 71권] 전쟁 이후의 전쟁: 포스트냉전시대 한국 전쟁영화의 계보와 욕망 / 이하나 (2023.10)
▫️ [드라마 연구 71권] 해방기 북한의 사실주의 연극론 연구: 주영섭과 라웅의 연극론을 중심으로 / 김정수 (2023.10)
▫️ [드라마 연구 71권] 빨치산 수기 『남부군』의 영화화 연구: 전쟁에 대한 대중 정서와 의식의 변화 / 박소영 (2023.10)
▫️ [문화와 융합 45권 9호] 분단희곡에 나타난 재현의 경향성에 대한 연구: "선쌰인의 전사들", "깐느로 가는 길", "소", "빨갱이, 갱생을 위한 연구" 등을 중심으로 / 최상민 (2023.09)
▫️ [영상기술연구 42권] 전투 영화 장르의 초국가적인 트로프에 관한 연구: 한국전쟁 남북 "분단 영화" 비교 분석: 인천상륙작전(2016)과 월미도(1982)를 중심으로 / Unger Michael Anthony (2023.10)
▫️ [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9권 10호] <강철비>의 북핵 서사 연구 / 김용성 (2023.10)
▫️ [교육과학연구 54권 3호] 북한 중등교사들의 교수방법 실행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/ 조현정 (2023.09)
▫️ [윤리교육연구 70권] '2022 도덕과 교육과정' 통일교육 분석: 도덕과 통일교육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에 근거하여 / 김윤경, 고정아 (2023.10)
▫️ [교양교육연구 17권 5호] 비대면 통일교육 프로그램이 MZ세대 대학생의 통일의식과 리더십 역랑에 미치는 효과: FGI 중심으로 / 오은경 (2023.10)
▫️ [다문화사회연구 16권 3호] 한국어 경력 교사의 성찰적 상호문화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: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비판적 문화 인식을 중심으로 / 박소연, 강영훈 (2023.10)
▫️ [복음과 선교 63권 3호] 북한사회 5M의 변화에 따른 북한선교의 새로운 모색 / 주승현 (2023.09)
▫️ [韓國宗敎 56권]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연대: '공동체'에서 '공생체'로 / 허남진 (2023.10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국방포럼] 「전쟁과 군사혁신」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의 교훈 / 김정섭 외 (2023.10.25)
[최종현학술원]
▫️ [최종현학술원-美브루킹스연구소 특별 컨퍼런스] 한미동맹 70주년과 앞으로 70년 (2023.10.20.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이스라엘-하마스 충돌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남북관계 파급효과 / 이중구 (2023.10.26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한정권의 사상통제 강화와 그 시사점 / 박원곤 (2023.10.05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한의 핵무기 전략과 '서울 불바다론' / 박원곤 (2023.10.10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한의 핵무력 헌법화와 '불가역적' 핵보유 의지 / 박원곤 (2023.10.12)
▫️ [북한과 세계] 이스라엘-하마스 사태가 한반도에 주는 함의 / 박원곤 (2023.10.18)
▫️ [북한과 세계] 북한의 '하마스 식' 도발 가능성과 한국의 대응 전략 / 박원곤 (2023.10.25)
▫️ [북한과 세계] 팔레스타인-북한 관계와 김정은의 큰 그림 / 박원곤 (2023.11.01)
[통일연구원]
▫️ [온라인시리즈] 시급한 북한 억류자 문제해결 / 이규창, 김수암 (2023.10.06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이스라엘-하마스 사태와 외교·안보·대북정책에의 함의 / 서보혁 (2023.10.13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러의 군사협력과 외교적 밀착의 전략적 함의 / 홍민 (2023.10.23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미 국방부 「2023년 사이버 전략」과 시사점 / 홍건식 (2023.10.10)
▫️ [이슈브리프] 중국의 '77국 그룹과 중국' 정상회의 참석 함의와 시사점 / 양갑용 (2023.10.11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 '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' 개편 의미와 시사점 / 변상정 (2023.10.13)
▫️ [이슈브리프] 이·팔 전쟁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함의 / 박병광, 양갑용 (2023.10.25)
▫️ [이슈브리프] 진화하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 현황과 대응 / 김보미 (2023.11.01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주요국제문제분석] 2023 북·러 정상회담에 대한 중국의 대응 및 전망: 북·중·러 협력에 대한 중국의 우려 / 김한권 (2023.10.25)
▫️ [주요국제문제분석] 인도태평양 전략: 주요 이행 성과와 향후 과제 / 최원기 (2023.10.30)
▫️ [IFANS PERSPECTIVES] Walking a Fine Line between "Strategic Autonomy" and Alliance: A Perspective on Korea-China Relations amid U.S. Re-engagement with China / 김한권 (2023.10.05)
▫️ [IFANS PERSPECTIVES] Promoting Human Rights in the DPRK: Recent Developments at the UN and Critical Tasks Ahead / 남승현 (2023.10.26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인도태평양전략과 한일엽력: 지속가능한 협력방안의 모색 / 진창수 (2023.10.10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핵무기의 효용성 / 김광진 (2023.10.16)
▫️ [정세와정책] 미·중갈등과 아태지역제도의 변화: 2023 샌프란시스코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/ 문돈 (2023.11.01)
▫️ [정세와정책] 미중경쟁 시대 한중일 협력의 의미 / 이정환 (2023.11.01)
▫️ [정세와정책] 미국의 민주주의 위기와 대외정책의 딜레마 / 민태은 (2023.11.01)
▫️ [정세와정책] 다극화된 새로운 국제질서 출현과 중국의 일대일로(一带一路)전략의 확대 / 정재흥 (2023.11.01)
▫️ [정세와정책] 시진핑 체제 3연임 이후 해양안보와 한국의 인태전략 / 윤대엽 (2023.11.01)
▫️ [Global NK] 북러 정상회담 결과 분석 / 강윤희 (2023.10.16)
▫️ [Global NK] 통일에서 평화공존으로: 대북정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/ 김범수 (2023.10.31)
▫️ [이슈브리핑] 관계 개선을 바라보는 한일 국민의 거리: 2023년 한일 국민 상호인식조사 결과 분석 / 손열, 김양규, 박한수 (2023.10.12)
[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]
▫️ [북한사회브리프] 북한도시 Focus, GIS 위성으로 보는 북한 도시, 빅데이터로 본 북한 도시 키워드 (2023.09.25)
▫️ 『남북한 문화통합과 교육환경: 북한의 교육환경이 남북한 문화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』 이용을, 좋은땅, 2023.10.10
▫️ 『한반도 통일과 북한 인권: 통일과 인권에 대한 새로운 화두!』 김윤태, 하움출판사, 2023.10.11
▫️ 『전략국가, 조선 민주주의인민공화국: 유폐된 북의 참모습을 마주하다』 김광수, 선인, 2023.10.11
▫️ 『스탈린거리의 평양 책방: 1960년대 이전 북한의 번역서』 한상언, 김명우, 한상언영화연구소, 2023.10.18
▫️ 『동북아 매니징』 김신호, 1인1책, 2023.10.24
▫️ 『핵의 변곡점: 핵물리학자가 들여다본 북핵의 실체』 시그프리드 헤커, 엘리엇 세르빈, 천지현 역, 창비, 2023.10.27
▫️ 『평양안내』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평양학연구센터, 민속원, 2023.10.30
▫️ 『통일한국 지식재산권: 글로벌 IP허브국가를 꿈꾸며』 박종배, 북코리아, 2023.10.31
▫️ 『국회의 통일정책 입법』 김기옥, 퍼플, 2023.10.31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