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북한연구학회보 28권 1호] 2024.06
▫️ ‘세뇌와 공포’에서 ‘인정과 눈물’로: ‘오류인정’ 사례를 통해 본 김정은 리더십 연구 / 김민관, 허재영
▫️ ‘김일성원수혁명활동연구실’의 형성과 권력 동학 / 이창현
▫️ 북한의 비공식 신발제조 활성화 실태 분석 / 최설
▫️ 내핍의 시대 ‘자체로 해결’하는 주체 만들기: 북한의 애플리케이션 생산과 권장을 중심으로 / 최선경
▫️ 사전 표제어로 본 남북한 경제 용어 네트워크의 사회적 함의: 『거울 2.0』과 『표준국어대사전』을 중심으로 / 최효정
▫️ 김정은 집권 이후 '생태환경정치'의 출현 / 오삼언
▫️ 탈북대학생의 교육포부(Educational Aspirations) 인식 유형 연구: Q방법론을 중심으로 / 박희진, 하승희
[통일정책연구 33권 1호] 2024.06
▫️ 북한 두 국가 선언의 전략적 의도와 균형화 조치: 김정은의 ‘위협인식’을 중심으로 / 이승열
▫️ 북한의 ‘적대적 두 국가론’과 남북관계 전망 / 이중구
▫️ ‘우리’(들)의 공간으로서 한반도 문제 다시 생각하기: ‘우리’를 둘러싼 남북한 담론・정책 변화와 한반도 교차승인의 미래 / 김태경
▫️ 탈북민의 구술을 통해 본 북한의 프로파간다 문화: 시각적 프로파간다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중심으로 / 권혁희
▫️ 김정은 집권 10년 도시건설 평가와 전망 / 권주현, 김혁
▫️ 사이버 안보의 이슈연계와 북한의 사이버-핵 넥서스 / 안형률, 정민기
▫️ 1958년 중국인민지원군 철군과 북한의 대응: 북・중・소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/ 량미화
▫️ 북한 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역사적 변천 (1946-53) / 김성수
▫️ 김정은 시기 북한의 자연유산 정책 특성 연구 / 김서린
▫️ [서평] Kim Jong Un and the Bomb: Survival and Deterrence in North Korea / 김민성
▫️ [서평] 핵의 변곡점: 핵물리학자가 들여다본 북핵의 실체 / 백승준
[통일과 평화 16권 1호] 2024.06
▫️ 북한의 ‘두 개 국가론’: 민족/민족주의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/ 정영철
▫️ 바이든 정부의 대북 정책과 그 대안들: ‘적대적 방치’ vs. 평화공존과 트럼프 2.0의 ‘거래적 방치’ / 이혜정
▫️ 북한의 38선 경비부대 창설과정과 제한전 구상 / 김선호
▫️ “독일은 제2의 한국이 되어서는 안 된다”: 한국전쟁의 그늘에서 서독 재무장에 반대하는 여성 평화 운동가의 활동 / 막스 알텐호펜
▫️ 1953~1957년 중립국감독위원회의 활동과 북한의 대응 / 김도민
▫️ 1950년대 중·후반 이승만 정부의 유엔 가입 시도와 남·북한 동시가입론의 대두 / 류기현
▫️ 북한이탈주민의 관점으로 본 북한 시민사회의 실태: 재구성된 시민사회지표(CSI)를 중심으로 / 전순영
▫️ 독일 통일 여론의 변화와 세대: 민주주의는 어떻게 통일을 이뤘는가? / 김학재
▫️ 도명학 소설의 자본주의 비판과 가치 교환의 (불)가능성 / 나준성
▫️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2023: 전황과 전망 / 이문영
▫️ [현장보고] 북한의 두 국가 선언과 민간 남북교류협력 전망 / 이예정
▫️ [현장보고] ≪겨레말큰사전≫을 통해 본 남북 공동 국어사전의 위상과 과제 / 모순영
▫️ [서평] 텍스트의 유동성과 진실성: 탈북작가 설송아의 『태양을 훔친 여자』(2023)에 대한 서평 / 배개화
[통일인문학 98집] 2024.06
▫️ 남북 문학계의 고전 산문 장르사의 쟁점과 접점 / 김종군
▫️ <홍길동전>에 대한 남북 문학연구의 쟁점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 / 박재인
▫️ ‘광주인민봉기’의 정치와 문학적 재현 / 김종곤
▫️ 북한 언어 정책과 정치: ‘평양문화어’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/ 전영선
▫️ 노태우, 김영삼 정부의 ‘통일방안’ 추진과정 연구 / 이시종
▫️ 1961년 베를린위기와 북한체제의 공고화 / 도지인
▫️ ‘4·3 트라우마 재현’이라는 역사 교과서 저항 방식에 대한 성찰적 고찰: ‘한국사 교과서 4·3기술 근거 삭제’ 논란을 중심으로 / 이정원
▫️ 살림과 연대의 극적 상상력: 배봉기 희곡 <물의 노래>에 나타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을 중심으로 / 권순대
▫️ '문학지리학’으로 보는 김창걸의 소설: 작가의식과 만주 ‘장소’인식을 중심으로 / 김나
▫️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내 미군점령지에서의 중·동부 유럽 출신 독일인 난민 통합문제에 대한 인식과 정책 변화 / 신정훈
[평화학연구 25권 2호] 2024.06
▫️ 북한 3대 세습정권의 연방제 통일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/ 변선숙, 오영달
▫️ 대북 확장억제전략과 북핵 문제 / 이신욱
▫️ 미중패권과 한중관계의 변화와 도전: 구동존이에서 화이부동으로, 미중관계·한중관계·양안관계를 중심으로 / 김진호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경제와 사회 142호] [서평] 글로벌 위기의 현실주의적 관성에 대한 세계체제론적 해부 / 김태균 (2024.06)
▫️ [신아세아 31권 2호] 신냉전 시대와 외교 유형론 정교화: 전통외교 vs. 가치외교 / 반길주 (2024.06)
▫️ [신아세아 31권 2호] 바이든 시기의 미·중관계와 중국의 한·중관계의 한·미동맹 종속화: 우리의 전략적 해법 / 주재우 (2024.06)
▫️ [아세아연구 67권 2호] Revisiting Carter’s Policy on Korea: Troop Withdrawal, National Security, and Human Rights / 이동규, 이주영 (2024.06)
▫️ [고려법학 113호] NWFZ Treaty Regime an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/ 이창위 (2024.06)
▫️ [아세아연구 67권 2호] 수령체제가 창출한 ‘주체형의 인간’ 속성과 그 모순 / 김윤희 (2024.06)
▫️ [담론201 27권 2호] 북조선 일본군 ‘위안부’ 재현의 정치: 젠더, 트랜스내셔널, 미래성의 징후들 / 김성경 (2024.06)
▫️ [담론201 27권 2호] 조선노동당 비밀문서를 통해 본 북한 사회의 변화 / 정원희 (2024.06)
▫️ [지식융합연구 7권 1호] 김정은의 정치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이미지 변화: 2013-19년 조선중앙TV 신년사 방송을 중심으로 / 김동욱, 김남성 (2024.06)
▫️ [Acta Koreana 27권 1호] North Korea Discovers the Maghreb: Propaganda Narratives in the Formative Phase of Pyongyang's Northwest African Diplomacy / 발라즈 샬론타이 (2024.06)
▫️ [동서연구 36권 2호] Russia as a Donor: What is Behind the Aid? / Anna Micheler (2024.06)
▫️ [동서연구 36권 2호] Germany as a Nuclear Power?: How Nuclear Taboo Shaped the Discourse on West German Nuclearization / Philipp Windhab, 김재천 (2024.06)
▫️ [동향과 전망 121호] ‘중국식 현대화’ 담론의 구조와 동학 / 이남주 (2024.06)
▫️ [디아스포라연구 18권 1호] 중국 선양(沈阳) 시타(西塔) 코리아타운의 초국가 공동체에 관한 연구 / 김혜련 (2024.06)
▫️ [한국동북아논총 29권 2호] 양안 관계와 동아시아 국제관계: 양안과 미국, 일본을 중심으로 / 김진호 (2024.06)
▫️ [일본연구논총 59호] 아베 신조의 피살과 정치적 파생 문제들 / 김숭배 (2024.06)
▫️ [세계지역연구논총 42권 2호] 일본 기시다 정부의 핵정책: 핵군축·비확산정책과 핵억지력 강화의 딜레마 / 이상현 (2024.06)
▫️ [세계지역연구논총 42권 2호] 1960년대 말 한국의 SEATO 가입 검토 연구: 왜 한국은 SEATO 가입을 추진했고 좌절되었는가? / 정재욱 (2024.06)
▫️ [민주주의와 인권 24권 2호] 세계시민교육의 모호성과 대안 모색: 공화적 애국주의와 순화된 애국주의 / 채진원 (2024.06)
▫️ [군사 131호] 인천상륙작전(Operation Chromite)의 계획수립과정과 4가지 작전계획 / 서치종 (2024.06)
▫️ [한국군사학논총 13권 2호] 김정일 정권의 내구성 변화에 대한 연구: 정치리더십을 중심으로 / 김창환, 지효근 (2024.06)
▫️ [한국군사학논총 13권 2호] 북핵 선제타격 가능성과 TDS의 억지 충족성 평가 연구 / 김국현 (2024.06)
▫️ [군사발전연구 18권 1호] 남북한 군비통제의 한계요인 분석: 9.19 군사합의 협상·이행·파기과정을 중심으로 / 김영성 (2024.06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80권 2호] 미국과 북한의 양자게임을 통한 한국의 북핵 억제정책 평가 / 김선홍, 김민지 (2024.06)
▫️ [한국군사학논집 80권 2호] 대량보복에서 유연대응으로: 미국 핵전략의 역사가 주는 교훈 / 이만석 (2024.06)
▫️ [한국군사회복지학 17권 1호] 북한이탈주민 일자리 창출과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제안: 포항시를 중심으로 / 이강문 (2024.06)
▫️ [아태연구 31권 2호]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의 사회적응 유형과 유형 예측요인: 잠재프로파일 분석(Latent Profile Analysis) / 김희진, 김혜진 (2024.06)
▫️ [한국과 국제사회 8권 3호] 사회주의 체제 전환기, 문학작품에 나타난 북한 사회의 갈등: 소설 『평양은 선언한다』를 중심으로 / 이연재 (2024.06)
▫️ [동양철학연구 118집] 상호문화주의를 기반으로 한 통일담론방향 모색: 맹자의 천하통일론을 활용하여 / 선병삼 (2024.05)
▫️ [동악어문학 93집] 설립 초기 김일성종합대학의 소련계 한인 교원들 / 정종현 (2024.06)
▫️ [인문학술 12호] 중국혁명과 북·중·소 관계, 1946~1950 / 한상준 (2024.06)
▫️ [중원문화연구 32집] 북한 역사학계의 『자본주의적 생산에 선행하는 제형태』의 수용과 ‘고대’ 논쟁의 종말 / 이경섭 (2024.06)
▫️ [한중인문학연구 83호] 1945-1950년 북한체제 형성기 영동지역의 청년동맹: 속초, 양양지역을 중심으로 / 이세진 (2024.06)
▫️ [무형유산 16호] 김일성·김정일 집권기 북한의 무형유산 인식과 김정은 시대의 계승 및 보호사업 / 이현빈(2024.06)
▫️ [한국문학과 예술 50집] 낯선 공존, 통일이라는 디스토피아: 이응준, 장강명의 가상 통일 소설을 중심으로 / 이정현 (2024.06)
▫️ [코키토 103호] 해방기 남북한 아카데미즘의 국어/조선어 언어정책론 / 이용범 (2024.06)
▫️ [한국문학과 예술 50집] 황해도 명창 장재천의 <안중근가>에 대한 음악적 연구 / 권도희 (2024.06)
▫️ [미술사연구 46호] 고구려 고분군 석면벽화 보존상태 진단기술 연구 / 유영경, 이화수 (2024.06)
▫️ [영화연구 100호] 김정일 집권기 미국영화 속 북한 표상 / 함충범, 강나영 (2024.06)
▫️ [근대서지 29권 29호] 그로테스크 캐리커처: 1950년대 북한 풍자만화에서 소련의 영향 / 홍성후 (2024.06)
▫️ [동북아 문화연구 1권 79호] The Globalization of North Korean Human Rights: Potential Roles for Applied Anthropology and Education / 섀넌 (2024.06)
▫️ [초등교육연구 39권 2호] 남북한 ‘연소와 소화’ 단원 비교 분석 / 신성찬 (2024.06)
▫️ [다문화교육연구 17권 2호] 북한배경 초등학생의 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/ 김지혜 (2024.06)
▫️ [한국구석기학보 1권 49호] 최근 발굴된 북한의 구석기시대 유적 / 한창균, 김현진, 서인선 (2024.06)
▫️ [동북아역사논총 84호] 중국의 백두산 관광정책과 뉴패러다임 / 윤휘탁 (2024.06)
▫️ [자원환경지질 57권 3호] 북한 석탄 자원의 부존 및 활용현황과 연구동향 / 고상모, 이범한, Otgon-Erdene Davaasuren (2024.06)
▫️ [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9권 3호] 가상머신에서의 동적 분석을 통한 APT 탐지에 관한 연구 / 이세열 (2024.06)
[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]
▫️ [제101차 통일학포럼] 북한의 사회문화 정책과 동향 / 전영선 (2024.05.16)
▫️ [제102차 통일학포럼] 북한의 국가와 법: 사회주의법치국가의 평가와 전망 / 강혜석 (2024.06.11)
▫️ [제24차 평화학포럼] 한국사회의 인종주의와 이주민 혐오 / 이소훈 (2024.06.19)
▫️ [제25차 평화학포럼] 아프간 난민과 함께한 울산의 1년 / 김영화 (2024.06.26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北, 오물풍선 도발의 의미…우리의 결단은? / 손효종 (2024.06.11)
▫️ 북-러 `침략당하면 상호지원`…서로가 무엇을 얻기 위함일까? / 이중구 (2024.06.21)
▫️ 북러 군사협력의 실체와 김정은의 새로운 전략은? 북한 전원회의 전격 리뷰 / 신승기 (2024.07.05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[박원곤의 북한과 세계] 김정일·김정은 부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무기는 바로 OOO / 박원곤 (2024.06.13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2024-3차 NK FORUM] 러북 동맹 복원의 함의와 우리의 대응 / 윤창용, 현승수, 반길주, 고명현 (2024.07.09)
[Woodrow Wilson Center]
▫️ [Wilson Center NOW] Dispelling Myths and Misconceptions about North Korea / Sung-Yoon Lee (2024.06.14)
▫️ [Need to Know] Understanding North Korea: Dispelling Myths and Misconceptions / Sung-Yoon Lee (2024.06.14)
▫️ Putin’s Asian Diplomacy: Defense Pacts with North Korea and Cooperation with Vietnam / Sung-Yoon Lee (2024.06.28)
[통일연구원]
▫️ [기타연구보고서] KINU 통일의식조사 2024: 요약보고서 / 이상신, 민태은, 박주화, 이무철, 윤광일, 구본상 (2024.06.27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 최고지도부의 ’24년 3~5월 공개활동 분석 / 김갑식, 장철운 (2024.06.07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최근 북한의 대남 ‘저강도 다발성’ 도발 / 박영자 (2024.06.19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푸틴의 평양 방문과 러·북 관계 전망 / 현승수 (2024.06.24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인권침해에 대한 책임규명 방안 모색 / 이규창 (2024.07.01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 평가와 전망 / 오경섭, 황주희 (2024.07.03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러-우 전쟁에 대한 북한의 입장과 그 비판 / 서보혁 (2024.07.05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의 ‘오물 풍선’ 도발 관련 생화학 공격 위험성 진단 / 강경호, 김현중 (2024.06.12)
▫️ [이슈브리프] 미국의 임계 이하 핵실험의 의미와 시사점 / 김보미, 이성훈 (2024.06.12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의 ‘오물풍선’ 도발 의도 분석 및 하반기 남북관계 전망 / 성기영 (2024.06.14)
▫️ [이슈브리프] 푸틴 방북의 의미 및 전략적 고려사항 / 김성배, 김종원, 장세호 (2024.06.14)
▫️ [이슈브리프] 모디 3기 인도의 대외전략 전망과 시사점: ‘강한 인도’와 ‘유연한 한국’ / 조은정 (2024.06.25)
▫️ [이슈브리프]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한인권회의 의미와 과제 / 안제노 (2024.06.26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의 대남노선 전환과 대남영향력 공작 전망 및 고려사항 / 김일기 (2024.06.12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의 핵전략 분석 및 대응과제: 파키스탄, 러시아 사례와 비교 / 최용환 (2024.06.12)
▫️ [전략보고] 기시다 정부의 외교안보정책 추이와 시사점 / 김숙현 (2024.06.12)
▫️ [전략보고] 미 대선에 따른 한국의 안보리스크 및 대응방향 / 하경석 (2024.06.14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 대남기구의 ‘모자 바꿔쓰기’식 개편 / 김종원 (2024.06.17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의 통일노선 전환 이후 대한민국 신통일담론의 모색 / 성기영 (2024.06.17)
▫️ [전략보고] 인도-파키스탄의 핵지휘통제체계 결정요인 분석 / 김보미 (2024.06.21)
▫️ [전략보고] 러북 정상회담 결과 평가 및 對 한반도 파급 영향 (2024.06.21)
▫️ [전략보고]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로켓 공격이 한국형 ‘아이언 돔’에 주는 시사점 / 정준오 (2024.06.24)
▫️ [전략보고] 2024년 중국경제 전망 및 한중관계 파급영향 / 유현정 (2024.07.02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주요국제문제분석]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평가 / 조양현 (2024.07.03)
▫️ [동북아안보정세분석(NASA)] 미국의 핵대응 관련 모호성에 대한 한미의 인식 차이 / 이상규, 최수온 (2024.06.19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⋅러 밀착과 우리의 대응 / 박병광, 이상현, 조한범, 황일도, 이석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6월 정상회담 이후 북⋅러 경제협력 평가 및 전망 / 최장호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·러 정상회담 이후 북·러 경제관계 전망 / 이석기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·러 접근과 식량·농업 분야 협력 / 김영훈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·러 밀착과 북한경제: 교통·물류 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/ 안병민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·러 밀착과 북한경제: 에너지 부문 / 김경술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전반기 북·러 군사협력 동향 / 조남훈 (2024.07.12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·러 밀착과 해양·수산 분야 함의 / 윤인주 (2024.07.12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포커스] 김주애를 김정은의 첫째 아이로 보아야 하는 세 가지 이유 / 정성장 (2024.06.13)
▫️ [세종포커스]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정상회담 평가: 교류협력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/ 최은주 (2024.06.26)
▫️ [세종포커스] 북⸱러동맹 복원과 한국의 대응 / 홍현익 (2024.06.27)
▫️ [연구보고서] Common Pool Resource Management and Problems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North Korea / Peter Ward (2024.06.20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김주애의 북한 내 위상과 4대 권력세습 전망 / 정성장 (2024.06.28)
[아산정책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제9차 한-일-중 정상회의를 통해 본 3국의 동상이몽 / 이동규, 최은미 (2024.06.14)
[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 [북한도시브리프] 판옵티콘으로 본 북한도시 통제공간의 변화 / 정성준 (2024.06.10)
▫️ [평화통일논평] 탈북민의 사회통합과 남북한 사회통합의 준비 / 윤인진 (2024.06.13)
▫️ [통일부]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4년 6월 (2024.07.01)
▫️ 『북한 학생들은 학교에서 무엇을 배울까?』 장양기, 부크크, 2024.06.01
▫️ 『북중러 신세계와 미국의 몰락』 주권연구소, 도민재, 2024.06.15
▫️ 『갈라서며 다가서는 남과 북 사회이야기』 이우영, 선인, 2024.06.20
▫️ 『파도의 아이들』 정수윤, 돌베개, 2024.06.27
▫️ 『Life in the Prison State』 강동완, 너나드리, 2024.06.29
▫️ 『내 친구 김정은』 김금숙, 이숲, 2024.07.20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