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북한법연구 31호] 2024.06
▫️ 북한 김정은 정권의 법제 변화와 사법적 준비 / 박정원
▫️ 북한 화산법제의 개선과제: 화산 재난관리를 중심으로 / 오형근
▫️ 북한의 핵전략에 관한 ‘핵무력정책법’의 함의 / 전석진
▫️ 북한인권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: 북한주민의 헌법정책적 보호의 관점에서 / 진호성
[한국국가전략 9권 2호] 2024.07
▫️ 러-우 전쟁이 미국의 국방전략과 한반도 안보에 주는 영향 / 권보람
▫️ 대만해협과 한반도에서의 무력충돌 가능성, 그리고 동맹대응 / 앤드류 여
▫️ 중국의 미래전 전망과 전략: “지능화 정보화 해상 국지전”과 “초한전(超限战)” / 차정미
▫️ 세계 분쟁 시대의 미국 경제 국정 운영 / 미레야 솔리스
▫️ 20세기 초반 미국과 21세기 중국의 팽창 양상 비교: 중국해군의 약점과 지역 패권 추구의 한계 / 김인한
▫️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을 통해 본 우리 군의 기습 대응 방안 / 한주성
[문화기술의 융합 10권 4호] 2024.07
▫️ 북한 소형 드론 위협 사례에 대한 연구 / 이광재
▫️ 북한 사이버 공격 변화양상에 대한 연구 / 박찬영, 김현식
▫️ 군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통일의 장단점 분석 / 이철희, 이경행, 박상혁
▫️ 한반도 통일의 현대사적 당위성과 과제 / 홍경석, 이경행, 박상혁
[국방연구 67권 2호] 2024.06
▫️ 재래식·핵 억지력의 통합 운용: 한반도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/ 김재엽
▫️ 유엔사의 재활성화 요인과 전략적 가치 재고찰 / 임기훈
▫️ 일본의 우주안보정책과 미일협력 / 이정환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 [국가안보와 전략 24권 2호] 2022-2023년 대만해협 위기 평가와 한국의 대비 방향 / 이택선, 이홍정 (2024.06)
▫️ [중국어문논역총간 55집] 시진핑 시대 중국의 ‘둥베이진흥’ 정책이 한반도통일시대 구상에 미치는 영향 / 공상철 (2024.07)
▫️ [국제지역연구 28권 3호]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의 대(對)북 인식 변화: 동인, 특징, 쟁점 / 이태림 (2024.07)
▫️ [국제지역연구 28권 3호] 로지스틱스(Logistics)와 군사동맹: 왜 아시아에는 NATO가 없는가? / 김성현, 이재인, 김재학 (2024.07)
▫️ [국방정책연구 40권 2호] 한·미 재래식핵통합(CNI) 구현을 위한 한국군 항공우주력 발전방향 / 남기성 (2024.07)
▫️ [국방정책연구 40권 2호] 사회심리학・군사이론 관점에서의 인지전 수행개념 연구: 이스라엘 - 하마스 무력충돌을 중심으로 / 오상훈, 여창재, 송봉근 (2024.07)
▫️ [법학논고 86집] 헌법재판소의 대북전단 살포금지 및 처벌규정의 헌법위반성 판단에 대한 검토 / 박진완 (2024.07)
▫️ [해사법연구 36권 2호] UN 대북제재 이행을 위한 항만 관계부서의 협력에 관한 연구 / 함상연, 최석윤 (2024.07)
▫️ [건설법무 10권 1호] 북한 물권법의 법적 쟁점과 통일 후 북한 국유재산의 사유화 방안 / 이종덕, 손홍락 (2024.06)
▫️ [사회복지정책과실천 10권 2호] 북한이탈주민의 자살문제에 관한 연구: 북한 및 남한 출신 지지자원의 보호적 역할 비교를 중심으로 / 류원정, 양혜린 (2024.07)
▫️ [현대소설연구 94호] 조해일의 연작소설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상상력 고찰: 「무쇠탈」, 「임꺽정」, 「통일절 소묘」 연작을 중심으로 / 오태호 (2024.07)
▫️ [국어문학 86집] 김수영 시와 트랜스모더니티 통일 / 이인영 (2024.07)
▫️ [한국언어문학 127집] 김정은 시기 북한희곡에 나타난 위기 극복 담론과 극적 재현 / 최상민 (2024.07)
▫️ [한말연구 65권 21호] 조선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재 비교 분석 및 학문적 의의 『조선어:류학생용』(1982)와 (2022)를 중심으로 / 김한근 (2024.07)
▫️ [한말연구 65권 23호] 북한문법서, <조선어학전서>『조선어기능문법』(2013) 연구: 제1편 기능문법에 대한 일반적리해를 중심으로 / 김건희 (2024.07)
▫️ [아시아영화연구 17권 2호] 김정은 시기 고구려 배경 북한 애니메이션의 특징: 역사만화영화 <고주몽>시리즈를 중심으로 / 홍주옥 (2024.07)
▫️ [역사문제연구 28권 2호] 1950년대 후반 남북한의 군축(軍縮)과 ‘평화’ 모색 / 이동원 (2024.07)
▫️ [고구려발해연구 79집] 북한 함경북도 청진시 부거리 일대 발해 고분 연구 / 김영길 (2024.07)
▫️ [고구려발해연구 79집] 2000년대 이후 북한의 고구려사 연구: 『조선단대사: 고구려사』(2006~2008) 분석을 중심으로 / 권순홍 (2024.07)
▫️ [국어교육연구 53집] 위기 사회와 리터러시 교육: 언어 문제를 중심으로 / 구본관 (2024.06)
▫️ [교육연구 46권 2호] 북한이탈 대학생의 학업중단 경험에 대한 탐구 / 김보미, 이정민 (2024.07)
▫️ [교육연구 46권 2호] 민주시민교육, 다문화교육, 평화교육을 통해 본 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/ 오덕열 (2024.07)
▫️ [초등과학교육 43권 3호] 남북한 초등 물질 영역의 교육 내용 비교 분석 / 신성찬 (2024.07)
▫️ [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3권 4호] 외국인을 위한 조선어 교재 연구: 김일성종합대학출판 『조선어』(2022)를 중심으로 / 조현용, 김낭예 (2024.07)
▫️ [윤리교육연구 73집]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‘북한 주민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이해 방안 제고: 아렌트의 전체주의 분석을 중심으로 / 권미정 (2024.07)
[서울시]
▫️ 2024 북한인권 서울포럼 / 줄리 터너, 엘리자베스 살몬, 제임스 히넌, 브라이언 마이어스, 유성옥, 김천식, 윤여상, 김일혁 (2024.07.11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 [박원곤의 북한과 세계] 북러조약 파헤치기: 61년 조약과 24년 조약은 어떻게 다를까? / 박원곤 (2024.07.09)
▫️ [7기 아카데미] 미국 국제 리더십의 미래와 다권역 질서의 도래 / 전재성 (2024.08.05)
▫️ [7기 아카데미] 중국의 세계 전략과 한반도의 미래 / 이동률 (2024.08.08)
[Woodrow Wilson Center]
▫️ One Year Later: The Path Forward for US-ROK-Japan Trilateral Relations / Sung-Yoon Lee, Dayna Barnes, Hayoun Ryou-Ellison (2024.08.10)
[전쟁기념사업회]
▫️ [제 3회 KWO 나지포럼] 6·25전쟁 교훈과 안보 정책 방향 / 김명섭 (2024.07.03)
▫️ [제 3회 KWO 나지포럼] 북한의 핵 위협과 대남 정책 전망 / 한미일 안보협력의 의미와 발전방향 / 박원곤, 박영준 (2024.07.03)
[민족문제연구소&식민지역사박물관]
▫️ [늦봄 문익환 30주기 특별전 연계특강] 통일운동의 선구자 늦봄 문익환 / 김연철 (2024.07.04)
[통일연구원]
▫️ [기타연구보고서] COI 보고서 발표 10년: 북한 인권 실태와 주요 이슈 / 이무철, 이규창, 김수암, 이금순 (2024.07.25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“트럼프의 공포”와 한국 핵무장 여론 / 이상신 (2024.08.01)
▫️ [온라인시리즈] 북한의 예방접종률 하락과 아동의 보건 위기 상황 / 최규빈 (2024.08.05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워싱턴 나토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전략적 함의 / 이수형 (2024.07.12)
▫️ [이슈브리프] NCG 제3차 회의의 의미 및 향후 정책과제 / 백선우, 이성훈 (2024.07.17)
▫️ [이슈브리프] 러북 신조약의 사이버안보 함의 및 시사점 / 김소정 (2024.07.22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 관광산업 육성 정책 추진의 의미와 한계 / 이상근 (2024.07.25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한 수해 대응의 특징과 문제점 / 이상근 (2024.08.02)
▫️ [전략보고]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획득을 위한 對중국 접근 전략 및 시사점 / 박병광 (2024.07.30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 [주요국제문제분석] 북.일관계의 현황과 전망: 정상회담을 둘러싼 움직임과 납치문제를 중심으로 / 윤석정 (2024.07.19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 [동북아안보정세분석(NASA)] 『한미 한반도 핵억제 핵작전 지침』의 의의와 향후 핵·재래식 통합(CNI) 발전 방향 / 함형필 (2024.08.12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북한경제와 선택의 길 / 이석 (2024.07.31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중국의 개혁·개방 이후 경제 사회적 성과 / 이원경 (2024.07.31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도이머이 이후 베트남의 사회경제적 변화 / 김유리 (2024.07.31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북한의 민생경제 현황과 비핵화 이후 변화 가능성 / 김미연 (2024.07.31)
▫️ [KDI 북한경제리뷰] 개혁과 개방에 따른 북한 관광부문 성장효과 및 생활 변화 추정 / 이해정 (2024.07.31)
[세종연구소]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북한의 2024년 상반기 정책 평가: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/ 최은주 (2024.07.25)
▫️ [세종정책브리프] 중국의 지정학적 리스크: 중국의 시각 / 강용범 (2024.07.29)
▫️ [세종포커스] 미국 유권자와 한미동맹 / Gene Park (2024.07.10)
▫️ [세종포커스] 미국 대선 전망과 한국에의 시사점 / 이재묵 (2024.07.15)
[아산정책연구원]
▫️ [이슈브리프] 2024년 상반기 북한의 대남 도발 평가 및 전망 / 한기범 (2024.07.24)
▫️ [이슈브리프] 북러 밀착관계와 『북러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』의 함축성 / 차두현 (2024.07.31)
▫️ [이슈브리프] 미일동맹의 진화와 한국에의 함의 / 최은미 (2024.08.01)
[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]
▫️[북한사회 Brief] 도시화 주요 자료, 정보화 주요 자료, 소비화 주요 자료, 재해재난 주요 자료 (2024.07.05)
[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]
▫️ [평화통일논평] 블랙박스 해체하기: 북한도시에 작동하는 다양한 매커니즘 탐색 / 백명숙 (2024.07.15)
▫️ [통일부]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4년 7월 (2024.08.01)
▫️ [한겨레] 정욱식, '탈북한'과 ‘두 국가론’은 어떨까? (정욱식 칼럼)(2024.08.11)
▫️ [국민일보] 차두현, 캠프데이비드 체제 1년 (글로벌 포커스)(2024.08.12)
▫️ [한겨레] 김연철, 유엔사의 정전관리 책임 (김연철 칼럼)(2024.08.12)
▫️ 『유라시아와 한반도의 비전: 평화·통일·통합』 이승주, 김해순, 신만섭, 유경석, 오종문, 정무형, 진윤일, 지혜사랑, 2024.07.15
▫️ 『한반도 그린데탕트와 남북한 협력 방안』 남성욱, 이우균, 김재한, 강택구, 최현아, 정유석, 김수정, 김준, 박영사, 2024.07.25
▫️ 『11권의 그림책으로 만나는 평화통일 수업』 곽인숙, 김민희, 김선아, 이정원, 이효정, 살림터, 2024.08.08
▫️ 『열여덟 가지 인문학 개념으로 살펴보는 평화 사전』 변준희, 가치창조, 2024.08.15
▫️ 『시간을 걷다, 모던 서울』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, 지식의날개, 2024.08.15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