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현대북한연구 27권 3호] 2024.12
▫️북한의 소련 경제원조 수취 경험: 1964년 평양선언 갈등의 기원과 전개 / 장초 (2024.12)
▫️북한 유일 지배 체제 형성과 교육의 역학 관계 / 김서경 (2024.12)
▫️북한의 고등학교 「조선력사」의 고대사 인식과 민족 서사의 변화 / 강진웅 (2024.12)
▫️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보유 동인과 핵포기 유인 연구 / 박준혜 (2024.12)
▫️북한 주민들의 노래 개사를 통한 현실 풍자와 규범의 전복: 폐쇄된 사회의 창조적 저항 / 하승희 (2024.12)
[북한연구학회보 28권 2호] 2024.12
▫️한반도 중립화 통일론의 역사성과 한계 / 김연철 (2024.12)
▫️두 남자 이야기: 생애사를 통해 본 북한 남성의 군대 및 해외 체험 / 양연희 (2024.12)
▫️1970~80년대 남북한의 대유엔 외교경쟁: 정책변화와 유엔 전문기구를 중심으로 / 김차준 (2024.12)
▫️독일 공영방송은 통일을 어떻게 기억하고자 하는가: ARD의 ‘타게스샤우’ 뉴스를 중심으로 / 김리아 (2024.12)
▫️지리적 문화기술지를 통한 북한 도시연구의 방법론적 확장: 시장화 이후 평양시 기업소 노동자의 지역 노동공동체 사례분석 / 백명숙, 김성배 (2024.12)
▫️북한의 녹색경제 이행과 생태근대화 담론: 중국의 생태문명 건설 담론과 비교적 시각 / 이경수 (2024.12)
[통일정책연구 33권 2호] 2024.12
▫️국제 질서와 연결의 정치학: 한반도 차원의 의미 / 박인휘 (2024.12)
▫️연결성과 무기화된 상호의존: 미중 첨단기술 경쟁을 중심으로 / 이승주 (2024.12)
▫️지정학적 리스크의 동시성과 연결의 군사안보 전략 / 이상현 (2024.12)
▫️북한 지전략(地戰略)의 패턴 분석 및 사례 연구 / 김진하 (2024.12)
▫️북한의 영토 인식 변화 연구: ‘국토완정’과 ‘영토완정’ 비교를 중심으로 / 박소혜 (2024.12)
▫️북한의 전략적 가치 변화와 북미 데탕트 가능성: 키신저 전략 및 역키신저 전략 사례로 본 북미관계 전망 / 민경태 (2024.12)
▫️북러 조약의 쟁점과 의미・전망 / 김영환, 박민형 (2024.12)
▫️김정은 시기 지방발전을 위한 경제림 확대 정책 연구 / 김혜인, 박소영 (2024.12)
▫️북한 사회주의상업법의 성격변화: 평등분배제의 완전 폐지 / 김영희, 김병욱 (2024.12)
▫️통일 이후 북한 주민의 정신건강 법·정책 제언: ‘외상 후 울분장애(PTED)’와 ‘아노믹 우울’을 중심으로 / 유수정, 장민수, 남복현, 송다솜 (2024.12)
▫️북한이탈주민 초기 정착지원 방안 연구: 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 구축을 중심으로 / 이경희, 김성진 (2024.12)
[통일인문학 100집] 2024.12
▫️통일인문학의 현재, 인문적 전환의 독특성과 과제들 / 박영균 (2024.12)
▫️전이와 놀이하기의 수행성: ‘시의 서사화 활동’의 치료적 맥락을 중심으로 / 홍재범 (2024.12)
▫️한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: 디지털 역사학과 공공역사의 적용과 전망 / 윤혜민 (2024.12)
▫️한민족 이산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제고 방안: 정부의 노력과 역할을 중심으로 / 김진환 (2024.12)
▫️전쟁 속 청소년의 경험을 반영한 역사 수업 사례 연구: 조선인 가미카제와 학도의용군을 중심으로 / 이준석 (2024.12)
▫️북한 청년세대의 집단기억: 러시아 파병 북한군을 중심으로 / 이형종 (2024.12)
▫️북조선예술총련맹(北朝鮮藝術總聯盟)의 탄생과 그 이면 / 남원진 (2024.12)
▫️김준태 시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과 통일의 길 / 천유철 (2024.12)
[북한학보 49권 2호] 2024.12
▫️북한의 고등학교 김일성 혁명력사 교과서 분석: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사와 혁명전통의 창조 / 강진웅 (2024.12)
▫️북·러 신조약의 특성과 북·러 관계의 성격: 대피동맹이론의 적용 / 우평균 (2024.12)
▫️AI 시대의 통일교육: 통일교육 AI 플랫폼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/ 두일철, 김나영, 전영선 (2024.12)
▫️평양민속공원의 건립과 해체: 김정은시대 민족유산보호정책의 변화 / 박계리 (2024.12)
▫️월북·망명음악가 정추의 노래집 『젊은이의 노래』(1970)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연구 / 이경분 (2024.12)
[국가안보와 전략 24권 4호] 2024.12
▫️2024년 북러조약 체결: 전략적 의미와 한국의 대응 전략 / 서동주, 김정기, 이상준 (2024.12)
▫️병역자원 감소와 군사체계의 유연전략성: 국방인력체계의 개혁과제 / 윤대엽 (2024.12)
▫️군사적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/ 김근희, 조홍주 (2024.12)
▫️미중갈등의 최전선은 왜 대만인가? 사서(四書)로 살펴본 유교의 화이론(華夷論) / 구진영 (2024.12)
[한국과 국제정치 40권 4호] 2024.12
▫️한반도 유사시 미군의 증원 전망 / 류인석 (2024.12)
▫️신냉전과 한반도 적대의 시대: ‘적대적 두 국가론’ vs. ‘8.15 통일독트린’ / 강혜석 (2024.12)
▫️‘근미래무기’와 김정은 정권의 핵무기 고도화 간 동학(動學)에 관한 연구 / 이병철 (2024.12)
▫️조선인민군 군사칭호에 관한 연구: 1948년 창설부터 한국전쟁 및 1955년까지 / 이성춘 (2024.12)
▫️장제스의 한국전쟁 참전 시도와 미국과 한국, 중국의 전략적 판단 / 박은경 (2024.12)
[평화학연구 25권 4호] 2024.12
▫️북한 정보접근권 문제 연구 / 배진 (2024.12)
▫️북한의 글로벌 사우스(Global South)전략 / 박형준 (2024.12)
▫️Solidification of the ROK-US Alliance Amid Conflict: Concerns of Alliance Risks Due to the Potential Nullificationof the Nuclear Umbrella Commitment / 김지일 (2024.12)
[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(IJKUS) 33권 2호] 2024.12
▫️Empty Promise Fulfilled? North Korean Human Rights through the UPRs and the VNR / 최원근 (2024.12)
▫️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: International Responses and the ROK’s Tasks / 조정현 (2024.12)
▫️Military Power for a Unified Korea: Strategic Directions and Principles for Building Effective Defense Forces / 이동선, 요르단카 알렉산드로바 (2024.12)
▫️Revisiting the Proposed Strategic Restraint Regime (SRR) between India and Pakistan: A Road Towards Sustaining Peace and Stability in South Asia / Zafar Khan (2024.12)
[세계지역연구논총 42권 4호] 2024.12
▫️윤석열 정부의 보훈 정책: 국가 수호적 보훈 인식을 중심으로 / 김병문 (2024.12)
[아세아연구 67권 4호] 2024.12
▫️‘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 계승’의 규범적 의미 / 장영수 (2024.12)
[군사발전연구 18권 2호] 2024.12
▫️북핵능력 고도화와 전쟁발생 가능성 변화 전망: 세력전이론을 중심으로 / 김한규 (2024.12)
▫️북한의 군사전략에 관한 고찰: 정권안보와 공세전략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/ 류인석 (2024.12)
▫️남북한 군사통합 저해요인에 따른 대응전략 연구: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 관점을 중심으로 / 이호석, 장상국 (2024.12)
▫️AI 드론의 전시 전력화 및 활용방안 / 임채훈, 권헌철, 김다솜, 이한기 (2024.12)
▫️6.25전쟁의 발발 원인이 현 한반도에 주는 함의: 전쟁의 3가지 수준별 분석을 중심으로 / 김하랑, 김광현 (2024.12)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[국제정치논총 64권 4호] 관료조직의 핵심임무와 정책과소반응: 2003년 주한미군 감축 협의 연기 정책결정과정을 중심으로 / 조영웅 (2024.12)
▫️[동서연구 36권 4호] 강대국 세력균형에 대응하는 미-중 갈등 경계국가 전략 연구: 베트남⋅필리핀의 지정학적 특수성에 따른 전략적 자율성 비교 / 정혜영 (2024.12)
▫️[국제정치연구 27권 4호] 미국의 군사개입정책 변화와 양안 분쟁 개입 가능성에 관한 연구: 타이완의 지정학적 시사점과 전략적 딜레마 / 윤상용 (2024.12)
▫️[아태연구 31권 4호]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·러 관계 변화의 경제안보적 고찰: ‘경제적 위협균형’을 중심으로 / 김지영 (2024.12)
▫️[슬라브학보 39권 4호]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과 러시아 외교안보정책 전망 / 김성진 (2024.12)
▫️[국제.지역연구 33권 4호] 부상한 러북 신동맹: 지정학적 융합과 변화되는 게임진단 / 반길주 (2024.12)
▫️[지식융합연구 7권 2호] 동독과 중동유럽 체제전환이 남북한 통일에 주는 시사점 / 김경래 (2024.12)
▫️[일본연구논총 60호] 북일관계 60년과 한국 / 이기태 (2024.12)
▫️[국제정치연구 27권 4호] UN 회원국들은 북한 인권을 어떻게 보아왔나? 정례인권검토(UPR)을 중심으로 / 백승민, 한미애 (2024.12)
▫️[인권연구 7권 2호] Applying Judicial and Non-Judicial Approaches for Human Rights Accountability in North Korea / Patricia Goedde, 송세련 (2024.12)
▫️[아태연구 31권 4호] 북한 비공식 기업의 생산성 향상 기제로서 군사문화 수용 가능성 연구 / 조영웅, 서수정 (2024.12)
▫️[국제지역연구 28권 4호] 북한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관한 연구 / 강채연 (2024.12)
▫️[분쟁해결연구 22권 3호] 북한의 모자보건정책과 남북한 협력방안: 협력적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/ 이윤진 (2024.12)
▫️[분쟁해결연구 22권 3호] ‘포용’의 관점에서 본 김대중의 남북화해론에 관한 연구 / 김학재 (2024.12)
▫️[분쟁해결연구 22권 3호]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현황과 갈등의 이념화 현상에 관한 연구 / 임재형 (2024.12)
▫️[미래정치연구 14권 2호] 핵무장 정책 선호의 정치심리 기반: 도덕 기반 이론을 중심으로 / 윤광일 (2024.12)
▫️[정치와 공론 35권] 지방자치단체의 북한개발협력 지속가능성 연구(2000∼2022) / 최미경, 이화용 (2024.12)
▫️[한국자치행정학보 38권 4호]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기금 활용방안 연구- 전북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/ 윤호진, 주상현, 동창옥, 남현지 (2024.12)
▫️[군사 133호] 국가수립 전후 북한의 병역제도와 모병실태 / 김선호 (2024.12)
▫️[아태연구 31권 4호] 냉전 이후 군비경쟁의 변화: 동아시아 지역 군비경쟁을 중심으로 / 강지연 (2024.12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4호] 육군 무기체계에 대한 북한의 고고도 핵EMP 위협과 대응 방안 고찰 / 최장옥, 김외득, 나기장 (2024.12)
▫️[한국군사학논총 13권 4호] 남북한 군사통합 성공을 위한 방향 연구: 핵심요소별 군사통합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/ 장승우 (2024.12)
▫️[사회융합연구 8권 6호] 북한의 사이버전 역량변화와 위협 전망: 군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/ 홍준기, 박상중 (2024.12)
▫️[사회융합연구 8권 6호] 북핵 및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한국, 미국, 일본과의 미사일 방어 협력 강화 연구 / 양혜원 (2024.12)
▫️[국제관계연구 29권 2호] 한미 확장억제 태세 평가 및 발전 방향 / 김성한, 함형필 (2024.12)
▫️[군사발전연구 18권 2호] 미래 국방환경의 변화와 해외파병부대 구조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/ 홍준기, 박상중, 남석진 (2024.12)
▫️[국방과 보안 6권 2호] 통일 이후 군 내부자 위협에 대비한 인원보안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: 재통일 이후 독일 연방군의 보안 활동을 중심으로 / 김재승, 김태산 (2024.12)
▫️[국제.지역연구 33권 4호] 핵무력정책법에 드러난 북한의 핵전략: 핵태세 최적화 이론을 중심으로 / 이한준, 신성호 (2024.12)
▫️[법제 707권] 북한의 국가불법 청산대상에 관한 고찰: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 경험을 바탕으로 / 박범영 (2024.12)
▫️[국제법학회논총 69권 4호] 남북한의 분단 극복을 위한 국제법적 고찰: ‘전체로서 한국’ 및 ‘one Korea’의 문제를 중심으로 / 이춘선 (2024.12)
▫️[법학연구 27권 4호] 한국의 자체 핵무장 가능성에 대한 법적 검토: NPT 탈퇴조건 충족여부를 중심으로 / 이상택 (2024.12)
▫️[법학논총 31권 3호] 핵표적화 논쟁의 국제법적 검토: 한미동맹의 통합억제력 제고를 위한 쟁점과 함의 / 안준형, 손한별 (2024.12)
▫️[교정연구 34권 3호] 남・북한 교정행정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/ 정상규, 주혜선, 이영경 (2024.12)
▫️[사법 1권 70호] 북한의 불법행위를 심리하는 소송의 준거법 지정 문제 / 박종원 (2024.12)
▫️[벤처창업연구 19권 6호] ADDIE 모형을 적용한 북한이탈주민 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/ 엄철현, 김다혜, 성창수 (2024.12)
▫️[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6권 3호]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분석 / 김현희 (2024.12)
▫️[다문화와 평화 18권 3호] 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잠재계층 유형과 특징: 북한에서의 가정 및 교육 경험 변인을 중심으로 / 이혜란 (2024.12)
▫️[한국사회정책 31권 4호] 남한출생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행복영향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연구 / 김효주 (2024.12)
▫️[한국보훈논총 23권 4호] 사회통합을 위한 통일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연구: 언론 빅데이터 중심으로 / 황미경, 공정원 (2024.12)
▫️[임상미술심리연구 14권 3호] 북한이탈여성의 외상 후 성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연구 / 성선호, 김윤, 정재원 (2024.12)
▫️[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9권 12호] 북한이탈주민의 정보화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자본과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/ 김준수, 조우홍 (2024.12)
▫️[스토리앤이미지텔링 28호] 넷플릭스 콘텐츠에 나타난 ‘북한’ 표상 연구 / 장성규 (2024.12)
▫️[한국어 의미학 86권] 「평양문화어보호법」을 통해 본 북한의 언어 통제 / 최효정, 도원영 (2024.12)
▫️[국제언어문학 59호] 북한 ‘허풍 방지’ 정책의 문학적 실천: 단편소설 <푸른잔디>(2022)를 중심으로 / 전영선, 한승호 (2024.12)
▫️[비평문학 94호] 남북한 문학사에서 백석과 이용악의 위상 변화와 그 의미 / 이경수 (2024.12)
▫️[국제언어문학 59호] 남북 교과서의 외래어 사용 양상 분석: 음악, 미술 교과를 중심으로 / 엄태경 (2024.12)
▫️[현대소설연구 96호] 재일한인문학과 인종주의: 최실의 『지니의 퍼즐』을 중심으로 / 이경재 (2024.12)
▫️[독어교육 91권 91호] 통일 이후 신세대 문학의 등장과 과거 동독의 재현: 동독 출신 제3세대와 제4세대 작가들의 글쓰기 비교 / 정영호 (2024.12)
▫️[범한철학 115권 4호] 함석헌과 ‘저항의 철학’: 탈식민・반독재・탈분단을 위한 민주주의 기획 / 박민철 (2024.12)
▫️[군사 133호] 닉슨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정책: 전략과 ‘정부정치’의 동학 / 류인석 (2024.12)
▫️[한국연구 18호] 1976년 5차 비동맹(쁠럭불가담) 정상회의와 남북한의 외교경쟁: ‘한반도 문제’ 안건과 결의안의 채택 과정을 중심으로 / 김도민 (2024.12)
▫️[민족문학사연구 86호] 잊혀진 항쟁: 1946년 10월 항쟁과 냉전기 민중운동사의 궤적 / 임세화 (2024.1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