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통일과 평화 16권 3호] 2024.12
▫️왜 한국인은 핵무장을 원하는가? 북한 위협과 미국 불신 / 정성철 (2024.12)
▫️컨조인트 실험을 통해 본 한국 대중들의 핵무장 비용 민감성 / 이경석 (2024.12)
▫️미국 확장억제에 대한 한국 대중의 신뢰도와 대북 억제 수단 선호도 / 정구연 (2024.12)
▫️신호전달수단으로 미국의 대북억제(對北抑制)와 대한보장(對韓保障)에 대한 한국인의 신뢰 / 홍예림, 조동준 (2024.12)
▫️김정은 정권의 식량정책 효과 평가: 가용량(FAD)과 획득성(FED) 중심으로 / 박성열, 정원희 (2024.12)
▫️북한 주민의 감정사회화 경험 연구: 사상감정의 수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/ 안종숙 (2024.12)
▫️한국전쟁 유엔군 전사자 추모공간의 평화적 의의: 1964년 유엔기념묘지 추모관 건립 / 이정선 (2024.12)
▫️늦봄 문익환의 통일문학과 통일운동 소고(小考) / 조성면 (2024.12)
▫️2024 파리올림픽 남북스포츠 교류: 정치 과잉과 스포츠 정치화 / 김창금 (2024.12)
[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10권 2호] 2024.12
▫️김정은 연설문에 나타난 애민정치: 정당화 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/ 정원희, 임재천 (2024.12)
▫️북한의 도발 요인에 대한 연구: 2019~2023 / 정금성 (2024.12)
▫️김정은 정권의 내구성 연구: 제8차 당대회 이후 정치리더십 변화를 중심으로 / 김창환, 지효근 (2024.12)
▫️북한의 사회적 불평등 원인에 관한 연구: 고졸 청년의 농촌 배치를 중심으로 / 엄현숙 (2024.12)
▫️통일을 위한 인문학과 통일교육 / 김상범 (2024.12)
▫️일본의 납치 피해자와 그 가족에 대한 지원과 과제 / 이기완, 여현철 (2024.12)
[통일교육연구 21권 2호] 2024.12
▫️아렌트 ‘정치적 평등’의 통일교육적 의의: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/ 권미정 (2024.12)
▫️통일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재고: 평화교육, 다문화교육, 민주시민교육, 세계시민교육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/ 박형빈 (2024.12)
▫️학교 통일교육의 현안과 개선 방안: 2022 개정 초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/ 엄현숙 (2024.12)
▫️대학 통일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: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사례를 중심으로 / 박형준 (2024.12)
▫️재외 한국학 전공 대학생의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한 인식 탐구: 공공외교 관점에서 통일교육을 위한 시사점 고찰 / 강구섭 (2024.12)
▫️이데올로기론을 통한 4·3과 5·18 속의 반공주의 분석 / 안승대 (2024.12)
▫️탈북대학생 학업성취 영향요인 분석 / 이혜란 (2024.12)
▫️북한의 대남·통일정책 전환과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정책과 교육의 과제 / 신효숙 (2024.12)
▫️북한의 교육 인프라 구축 추진과 사교육 참여의 혼종성 / 한승대, 김용현 (2024.12)
[국제지역연구 29권 1호] 2025.01
▫️권위주의 국가의 ‘식량 안보화’ 현상에 대한 고찰: 시진핑 정권의 식량 정책을 중심으로 / 이지선 (2025.01)
▫️한중관계의 회복? 외교 안보 분야의 쟁점, 그리고 불확실성 / 이장원 (2025.01)
▫️남북대화의 전략적 선택구조: 2018년 4월 남북정상회담을 중심으로 / 정기웅 (2025.01)
▫️미중 기술 패권 경쟁 속 사이버 안보: 민관 협력 전략과 생태계 비교 / 정다훈 (2025.01)
▫️대만과 남중국해 분쟁: 중재재판, 주권논쟁과 양안관계를 중심으로 / 김중섭, 공유식 (2025.01)
▫️인권의 본질과 인권교육의 지향 탐구 / 김용신 (2025.01)
[그 외 북한/통일관련 학술지 논문]
▫️[동향과 전망 123호]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: 국제 정치적, 한반도적 상상 또는 설계 / 구갑우 (2025.02)
▫️[동향과 전망 123호] 글로벌 공화주의의 지정(경) 전략 / 이일영, 정준호 (2025.02)
▫️[국제학논총 40권] 북한 대남·통일전략 방향 전환의 배경과 함의: 남북관계와 대외정책에 주는 시사점 / 모춘흥, 홍용표 (2024.12)
▫️[한국과 세계 7권 1호]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전략과 핵태세 연구: 핵 관련 법 내용을 중심으로 / 이태호 (2025.01)
▫️[Pacific Focus 39권 3호] North Korea's Nuclear Strategy: Limited Nuclear Use and Escalation Management / Yoo Inseok (2024.12)
▫️[한국동북아논총 29권 4호] 북한에 대한 인식 분석: 정치적 요인 / 조원빈 (2024.12)
▫️[한국과 세계 7권 1호] Cyber Panopticon: How North Korea Violates Human Rights Through Digital Surveillance / 문예찬 (2025.01)
▫️[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36권 4호] Economic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of Strengthened Relations with Russia amid the Russia–Ukraine War / 정승호, 이종민 (2024.12)
▫️[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36권 4호] Analysis of China’s Influence on North Korea: Perspectives, Misconceptions, and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 of Influence / Li Li, Debin Zhan (2024.12)
▫️[한국동북아논총 29권 4호] 김정은 시기 북한 해외파견노동자의 발생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: 국내 선발의 메커니즘과 수용국 회사의 편익을 중심으로 / 정은이, 박종철 (2024.12)
▫️[국제학논총 40권] Natural Gas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: Implications for the Post Russia-Ukraine War Period / 신상윤 (2024.12)
▫️[한국경제포럼 17권 4호] 북한위협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 / 장한익, 김옥경 (2025.01)
▫️[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11권 1호] 물류ㆍ경제적 측면에서 남북철도 복원사업의 필요성 연구 / 이주섭 (2025.01)
▫️[문화기술의 융합 11권 1호] 한국군의 인지전 대응 전략 / 이호일, 심준학, 이제영, 최원준 (2025.01)
▫️[문화기술의 융합 11권 1호] 군수지원 드론의 임무 특성 기반 운용체계 구축과 성능 평가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/ 김지연 (2025.01)
▫️[동아연구 44권 1호] 상용 지구관측위성의 군사적 활용성 연구: 북한의 대남 해양감시 이용을 중심으로 / 김현중 (2025.01)
▫️[동아연구 44권 1호] 해양 영유권 확장 수단으로서의 중국 해양경찰의 능력 강화 평가: 남중국해 분쟁 사례를 통한 분석 / 김현승 (2025.01)
▫️[국방정책연구 40권 4호] 1970년대 에티오피아-소련 동맹형성 요인 분석 / 이표규 (2025.01)
▫️[국제학논총 40권] 한미 우주동맹 강화를 위한 사례 연구: 중국 정찰풍선ㆍ추정체 관련 미국의 ‘격추’ 대응을 중심으로 / 김혜림 (2024.12)
▫️[법학논총 61권] Prescriptive Discussions on Autonomous Weapons Systems in the AI era / 조홍제 (2025.01)
▫️[문화기술의 융합 11권 1호] 북한 시, 군발전법 연구: 제정 배경과 주요 내용, 적용을 중심으로 / 노은경 (2025.01)
▫️[법학논총 61권] ‘DMZ의 평화’를 위한 남북 협력 및 다자간 거버넌스 구축 방안 / 조인재 (2025.01)
▫️[인권연구 7권 2호] Applying Judicial and Non-Judicial Approaches for Human Rights Accountability in North Korea / Patricia Goedde, 송세련 (2025.01)
▫️[법학연구 24권 4호] 한국전쟁과 국가보안법: 김수영의 시 「“김일성만세(金日成萬歲)”」를 중심으로 / 권민자 (2024.12)
▫️[한국과 세계 7권 1호] Stereotyping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Supporting Policy in South Korea: Policy Discourse Analysis based on Governmentality / 류이현 (2025.01)
▫️[우리어문연구 81호] 주체문예이론의 기원: 해방기 김일성의 문예이론의 변개(變改)와 그 허구성 / 남원진 (2025.01)
▫️[인문학연구 38호] 중국대학에서 한반도 지역 및 외국학 인재 양성의 새로운 추세 / 장국강, 김해령 (2025.02)
▫️[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권 2호] 범교과 학습 주제로 살펴본 학교 통일교육 / 엄현숙 (2025.01)
▫️[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4권 1호] MZ 세대 통일교육의 인문학적 학습 도구로서 김수영의 시 분석: 통일 담론을 통한 한국문화 이해를 위하여 / 홍순희 (2025.01)
▫️[윤리교육연구 75호] 남북관계의 변화와 학교 통일교육의 대응 방안 / 김병연 (2025.01)
▫️[윤리교육연구 75호] 대학수학능력시험 ‘생활과 윤리’ 통일교육 문항 분석 / 조정환, 송애리 (2025.01)
▫️[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4권 1호] 북한 출판『조선어 배우기』러시아어판과 『조선어(류학생용)』교재 비교 연구 / 주은진, 굴하요, 고혜민 (2025.01)
▫️[관광학연구 49권 1호] 북한 원산-금강산국제관광지대 형성 과정 연구: 행위자-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/ 이수연 (2025.01)
▫️[평화와 종교 18호] ‘종교차별’에서 ‘종교이해’로의 패러다임 전환: 종교와 법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/ 안신 (2024.12)
[동아시아연구원]
▫️[EAI-API 컨퍼런스] 한일협력 2050: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- 미래 안보 과제와 해법 / 짐보 켄, 전재성 (2025.01.17)
▫️[EAI-API 컨퍼런스] 한일협력 2050: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- 재세계화를 향한 경제 협력 / 테라다 다카시, 이정환 (2025.01.17)
▫️[EAI-API 컨퍼런스] 한일협력 2050: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- 인공지능 시대 한일협력 / 백서인, 시오노 마코토 (2025.01.17)
▫️[EAI-API 컨퍼런스] 한일협력 2050: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- 기후위기와 에너지 협력 / 하라다 다이스케, 임은정 (2025.01.17)
▫️[EAI-API 컨퍼런스] 한일협력 2050: 미래세대의 공통과제 해결 - 인구위기, 대중문화, 정체성 / 한준, 사가라 요시유키, 박지수 (2025.01.17)
▫️[제8기 EAI 아카데미] 한국 민주화의 빛과 그림자: 왜 이렇게 되었을까? / 강원택 (2025.01.21)
▫️[제8기 EAI 아카데미] 의회 정치: 정치의 부재와 타협의 실종 / 하상응 (2025.02.03)
▫️[박원곤의 북한과 세계] 핵 전쟁을 개시할 수 없는 북한이 핵 전쟁을 원하는 이유 / 박원곤 (2025.01.24)
[통일연구원]
▫️[연구보고서] 북한 주민의 시장 생활 / 나용우, 최지영, 황주희, 박민주, 허정필 (2025.02.03)
▫️[연구보고서] 글로벌 중추국가 한국의 통일외교환경 분석: 유럽, 중동, 인도 / 김상기, 김강석, 이기태, 최윤정 (2025.02.03)
▫️[연구보고서] 북한 주민의 군대 생활 / 서보혁, 김갑식, 박영자, 장철운, 황수환, 강영은, 윤여령 (2025.02.03)
▫️[북한인권백서] 북한인권백서 2024 / 이무철, 김수암, 이금순, 이규창, 조정아, 최규빈, 조현정, 김태원, 김아영, 홍예선, 윤훈희, 노현우 (2025.01.24)
▫️[온라인시리즈]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: 트럼프와 외교·안보 라인 주요인사들의 발언을 중심으로 / 오경섭 (2025.02.04)
▫️[온라인시리즈] 북한 주민들은 과연 핵을 원하는가? 위협, 이념, 그리고 일상의 경험 / 김택빈 (2025.02.05)
▫️[현안보고서] KINU 북한 동향(2024년 하반기) / 북한연구실 (2025.01.22)
▫️[연례정세전망] 2025 한반도 정세 전망 / 통일연구원 (2024)
[국가안보전략연구원]
▫️[이슈브리프] 시진핑 주석의 2025년 신년사 분석과 함의 / 양갑용 (2025.01.07)
▫️[이슈브리프]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산 가스 송출 중단(2025.1.1.): 유럽 에너지 위기와 정치적 회복력의 시험대 / 조은정, 오일석 (2025.01.08)
▫️[이슈브리프] 미국 국방부 ‘중국 군사력 보고서(2024)’의 주요 내용과 함의 / 박병광 (2025.01.13)
▫️[이슈브리프]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 주요 내용과 2025년 경제정책 전망 / 유현정 (2025.01.14)
▫️[이슈브리프] 트럼프와 그린란드: 북극 미·중경쟁 심화 / 오일석, 조은정 (2025.01.16)
▫️[이슈브리프] 일본 방위산업전략 추진 동향 및 시사점 / 주동진 (2025.01.17)
▫️[이슈브리프] 해저케이블 절단의 안보적 위협: 순싱39호의 대만 해저케이블 절단 사례 / 정현욱, 김소정 (2025.01.20)
▫️[이슈브리프] 트럼프 2기 미국의 대북 인권정책 전망 / 김원식 (2025.01.22)
▫️[이슈브리프] 제47대 美 트럼프 대통령 취임사 분석: 외교안보적 함의 / 하경석 (2025.01.22)
▫️[이슈브리프] 이시바 총리 신년사 함의 / 김태주 (2025.01.24)
▫️[이슈브리프] 北 노동당 제8기 제30차 비서국확대회의 평가와 전망 / 김인태 (2025.02.04)
▫️[전략보고] 해외 독재정권의 붕괴사례와 북한에 대한 시사점 / 고재홍 (2025.01.10)
▫️[전략보고] 북한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인권 침해 가능성 및 우리의 대응 방안 / 김민정 (2025.01.15)
▫️[전략보고] 트럼프 2.0 시대 한국의 경제안보 리스크와 대응방향 / 김경숙 (2025.01.17)
▫️[전략보고] 북한 ‘적대국가론’ 의도를 통해본 ‘평화공존론’의 한계 분석 / 성기영 (2025.01.20)
▫️[전략보고] 트럼프 2기 유럽의 안보 전략: 동맹론 vs. 자강론 / 조은정 (2025.01.20)
▫️[전략보고] 중북관계 이상기류에 대한 평가와 전망 / 양갑용, 이기동 (2025.01.21)
▫️[전략보고] 미국의「상업 우주 통합 전략」과 시사점 / 홍건식 (2025.01.21)
▫️[전략보고] 한미 대북 사이버안보 협력의 현황과 과제 / 김소정 (2025.01.23)
▫️[전략보고] 트럼프 집권 2기 미중관계 전망과 시사점 / 박병광 (2025.01.24)
[외교안보연구소]
▫️[IFANS FOCUS] Grand Strategy and China Policy of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/ 최우선 (2025.01.14)
▫️[IFANS FOCUS] 이스라엘 하마스 휴전의 배경과 함의 / 인남식 (2025.01.20)
▫️[IFANS FOCUS] Background and Implications of the Israel-Hamas Ceasefire / 인남식 (2025.01.22)
▫️[IFANS FOCUS] Trump-Kim Bromance 2.0? The Differences between 2018 and 2025 / 황일도 (2025.01.23)
▫️[IFANS FOCUS] 미국의 가자지구 선언의 배경과 함의 / 인남식 (2025.02.05)
▫️[IFANS PERSPECTIVES] U.S. Regulation on Connected Vehicles: Reconfiguring Supply Chains and Global Challenges / 엄도영 (2025.01.24)
▫️[IFANS PERSPECTIVES] The North Korean Economy, North Korea-China Economic Cooperation, and North Korea-China-Russia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: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 / 이상숙 (2025.02.03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트럼프 2기 정권과 일본의 대우크라이나 지원: 분석 및 함의 / 윤석정 (2025.01.06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미국 트럼프 2기 대(對)중남미 불법 이민자 (반)이민 정책 전망과 시사점 / 하상섭 (2025.01.06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2024년 브라질 G20 정상회의의 결과와 함의: G20 정상회의의 변형과 미래 불확실성 / 강선주 (2025.01.08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트럼프 2.0 시대 동남아의 대응 방향과 시사점 / 박민정 (2025.01.09)
▫️[주요국제문제분석] 트럼프 2기 미중관계 전망: 경제안보를 중심으로 / 최진백 (2025.01.16)
▫️[정책연구시리즈] 미국 행정부의 대외전략 변화 / 최우선, 전혜원, 인남식 (2025.01.15)
▫️[정책연구시리즈] 글로벌 사우스(Global South)에 대한 외교 전략 / 강선주, 송지선, 김동석 (2025.01.21)
▫️[국제정세전망] IFANS Forecast 2025 / 외교안보연구소 (2025.01.13)
▫️[IFANS STUDY REPORT] 미 바이든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 특징 / 정혜영 (2024.12.27)
▫️[IFANS STUDY REPORT] 한·미·중 재생에너지 정책 비교: 의무할당제(RPS)와 발전차액지원제도(FIT)를 중심으로 / 이보얀 (2025.01.08)
[한국국방연구원]
▫️[KIDA 안보전략 FOCUS] 미국 신행정부 대비 NCG 2.0 준비 필요성과 핵심과제 / 이상규 (2025.01.21)
▫️[KIDA 안보전략 FOCUS] 확장억제 및 독자 핵무장에 대한 국민 인식 / 염승선, 최수온 (2025.01.22)
▫️[KIDA 안보전략 FOCUS] 북한에 대한 “핵국가”(Nuclear Power) 호칭을 둘러싼 논란과 대책 / 전성훈 (2025.02.03)
▫️[WoWW Report] 2024 세계분쟁: 대만해협 분쟁 / 세계분쟁 사업팀 (2025.02.03)
▫️[WoWW Report] 2024 세계분쟁: 우크라이나 전쟁 / 세계분쟁 사업팀 (2025.02.03)
▫️[WoWW Report] 2024 세계분쟁: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 / 세계분쟁 사업팀 (2025.02.03)
▫️[국방정책전문연구시리즈] 2025 국방정책 환경 전망과 과제 / 미래전략연구위원회 (2024.12.30)
[한국개발연구원]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총괄: 북한경제 2024년 평가 및 2025년 전망 / 이종규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북한의 대외 경제 평가와 향후 전망: 중북 무역과 러북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/ 김규철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북한 대내 경제 평가 및 전망: 시장 물가환율을 중심으로 / 남진욱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북한경제 평가와 2025년 북한경제 전망 / 북한경제연구협의회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최근 북한의 경제정책과 그 영향: 시장 지표 변동과 지방발전정책을 중심으로 / 최지영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년 북한의 대외 관계 분석: 러북 관계를 중심으로 / 최장호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북한의 실물 및 산업분야 / 이석기 (2025.01)
▫️[KDI 북한경제리뷰] 2024/25년 북한의 식량농업 동향과 전망 / 김영훈 (2025.01)
[세종연구소]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분단80년, 국제질서의 변천과 대북정책의 진화 / 전성훈 (2025.02.25)
▫️[세종정책브리프] 트럼프2기 행정부 출범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대응 / 이기태 (2025.02.25)
▫️[세종포커스] 트럼프-이시바 미일 정상회담의 평가 및 시사점 / 이면우, 이기태 (2025.02.19)
[아산정책연구원]
▫️[이슈브리프] 2025 아산 국제정세전망: 서로 다른 ‘리뉴얼(Renewal)’ 구상의 각축 / 아산정책연구원 (2025.01.02)
▫️[이슈브리프] 2024년 북한 대외정책 평가 및 2025년 전망 / 차두현, 홍상화 (2025.01.08)
▫️[이슈브리프] 한국은 오커스 필러 2(AUKUS Pillar 2)에 가입해야 하는가? / 피터 리 (2025.01.13)
▫️[이슈브리프] 중국의 글로벌 사우스 전략: 현황과 함의 / 이동규, 김지연 (2025.01.16)
▫️[이슈브리프] 북한의 2024년 12월 노동당 전원회의 평가 / 한기범 (2025.01.23)
▫️[리포트] An Indo-Pacific Allied Shipbuilding Enterprise / 피터 리 (2025.01.24)
[한반도평화연구원(KPI)]
▫️[KPI 이슈브리프] ‘공평’의 개념이 우리 사회에 주는 함의 / 안창남 (2025.01.31)
지난 KPI 올리브레터를 보실 수 있습니다.